•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Blended Learning 개발 ․ 운영의 전략과 개선방안을 다 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Blended Learning을 처음 도입하고자 할 때는 그 도입 타당성과 필요성에 대한 명확한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Blended Learning은 최근 들어 기업교육에서 매우 주목받 고 있는 교수설계 전략이지만 이러한 경향에 따라 맹목적으로 Blended Learning을 받아 들이는 것은 바람직한 접근이 될 수 없다. 각 기업은 Blended Learning을 본격적으로 도 입하기 전에 어떠한 요구로 Blended Learning을 필요로 하는지, Blended Learning을 개발 ․ 운영하여 기대하는 효과는 무엇이고, Blended Learning이 기업 경영상의 어떠한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분석 작업은 Blended Learning의 접근 전략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해줄 수 있다. Bersin(2004)은 한 정된 기업 자원을 가지고 최대의 성과를 낼 수 있는 영역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교육 훈련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하고 있으며 Blended Learning은 바로 최대의 기업 성과를 가져다 줄 수 있는 영역에 전략적으로 투입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기업은 어떤 영 역에 Blended Learning을 활용해야 그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지를 분석해서 전략적인

접근을 해야 한다.

둘째, Blended Learning의 다양한 교육방법간에 연계성이 강화되도록 설계해야 한다.

따라서 하나의 교육방법에서 진행된 교육 활동이나 산출물이 다른 교육방법의 내용과 활 동을 위한 선행 지식이나 기본 자료로서 활용되는 형태를 띠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교육방법간에 내용이 반복, 중첩되는 것은 피해야 하며 심화, 적용할 수 있는 활동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계는 단순히 설계 ․ 개발 차원에 머물지 않고 운영될 때도 각 교수방법의 운영자간에 유기적 연계 체제를 통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즉, 각 교수방법 의 운영자들은 담당 교수방법을 진행할 때 상호 다른 교수방법에서 수행한 내용과 활동 에 대한 확인과 독려를 함께 해야 하며 운영자간에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학습자 들의 학습 태도나 수준, 요구들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자신의 수업 진행에 반영해 야 한다.

셋째, 학습목표와 학습내용에 근거하여 차별화된 교수방법을 설계해야 한다. 개별 교수 방법의 특성을 파악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학습 목표와 학습 내용에 투입 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사례 조사에서 적용된‘변화관리 챔피언’과정은 온라인으로 기본적인 변화의 기법, 전략, 이론 등을 학습하게 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제시된 이론과 기법들을 실제 생활 속에서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를 다루기에는 부적합하다. 다른 사람들 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실제 각자의 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오프라인의 워크숍에서 그룹 토의를 활용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으며, 이론적 내용을 개인적 관점에서 성찰하고 적용 하기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넷째, Blended Learning 과정의 오리엔테이션 및 운영자간 교류를 강화해야 한다.

Blended Learning이 운영될 때 집합교육과 온라인 교육의 실행 주체나 조직이 다른 경 우가 많아 각각 담당하고 있는 교육 진행에만 신경을 쓰게 되어 학습자들의 입장에서는 각각 별개의 교육과정이 운영되는 것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 서 각 교육방법의 운영자들은 운영자 사전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각자가 운영하는 교수방 법 이외에 다른 교수방법에서 다루어지는 학습 내용과 주요 학습활동을 숙지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사전 오리엔테이션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서 유기적 인 학습활동이 진행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도 사전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Blended Learning의 구성과 각 교수방법에서 요구되는 학습활동과 그 필요성을 명확하 게 인식시켜야 한다. 이는 학습자가 다양한 교수방법에서 진행되는 학습 과정에 적극적으 로 참여하게 하는 전략이 될 수 있다. 운영자는 사전 오리엔테이션 이외에도 학습 진행

중의 정례화 된 미팅을 통해서 다른 교수 방법에서의 진행 내용과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야 한다. 다른 교수방법에서 나타난 학습자의 학습 태도나 활동의 정도, 반응 등은 자신 이 운영하는 교수방법에서 어떻게 진행하고 연계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다섯째, Blended Learning 과정의 평가는 통합적으로 설계해야 한다. Blended Learning의 설계 방식 가운데 특정 교육방법이 핵심적으로 사용되었다고 해서 핵심적 교 육방법에서 다뤄진 내용과 활동에 대해서만 평가하는 것은 다양한 교수방법을 사용하여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Blended Learning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Blended Learning의 각 방법을 통해 달성된 궁극적인 최종 목표를 측정할 수 있는 종합 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또, 평가는 모든 교수방법에 학습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유인책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법을 모두 활용하였다 면, 온라인 학습의 진도율이나 온라인 학습 평가점수 등을 포함하고 오프라인에서도 출석 율과 참여도, 오프라인 활동의 산출물이 모두 전체 평가 항목에 포함될 수 있도록 설계해 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섯째, 다양한 평가 방법과 평가도구를 활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Blended Learning은 단순한 지식의 암기나 이해 수준의 학습목표 달성을 추구하지 않는다. 즉, 보 다 고차원적인 학습목표를 달성하고자 할 때 Blended Learning의 방식을 취하게 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객관식이나 단답형의 평가 문항으로 지식의 기억 정도를 확인하는 평가는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평가방식 역시 적용, 분석, 비판적 사고, 성찰 능력 등의 학습목표 성취를 확인해 볼 수 있도록 다양한 평가 형태와 방식을 취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Blended Learning과정에 적합한 학습관리시스템의 기능 지원을 마련해야 한 다. 다양한 학습방법으로 진행이 되는 Blended Learning의 학습 프로세스에 맞춘 학습 관리시스템의 기능 개편도 필요하다. 학습관리시스템은 운영자의 입장에서는 다양한 형 태로 이루어지는 교수방법별 학습 지원활동과 관리활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 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학습방법별로 운영주체가 다른 경우, 학습관리시스템은 이전 학 습방법에서의 진행사항을 확인하고, 운영자간의 의사소통의 채널이 될 수 있다. 또한, 학 습자가 오리엔테이션에 참석하는 것부터 온라인 진단이나 온라인 과정의 학습정도, 오프 라인에서의 학습활동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그 결과에 맞추어 학습을 지원할 수 있 는 학습관리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운영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