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계열 모니터링을 위한 북한 토지피복도 분석의 제약사항

북한 지리정보 자료는 구축된 자료가 매우 적고 안보 등의 이유로 공유와 활용에 제약 이 따르는 상황이다. 북한지역에 관한 지리정보는 북한의 폐쇄성과 정보교류의 제한으 로 인하여 북한지역 전국단위의 분석이 가능한 자료는 극히 적은 상태이다. 또한, 활용 도가 높은 위성영상자료와 같은 경우에는 국방 또는 안보목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활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상항이다.

대축척 지도제작 및 세밀한 정보획득 등에 사용가능한 고품질의 해외 위성영상은 고비용이 소요됨에 따라 활용이 제한적이며, 중·저해상도의 지구관측위성(MODIS,

41) 이규성 외. 2009. 「한반도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모니터링을 위한 현안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5(1) (p.

79, Table 7 참조)

42) 이규성 외. 2009. 「한반도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모니터링을 위한 현안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5(1) (p.

81)

44

사용영상 Landsat TM Landsat TM

촬영연도 1991. 8. ~ 1993. 5. 1987. ~ 1989. 1997. ~ 1999. 기하보정 Image to Map Image to Image Image to Map resampling Nearest Neighborhood

목적에 따라 토지피복분류 등급을 차별적으로 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토지분류 기법·체 계·등급 등이 불일치하여 정확한 매칭이 어렵다. 특히, 북한지역 전 지역과 같이 광범위 한 지역을 대상으로 토지피복분류도를 작성할 경우에는 약 4~5년에 걸쳐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분류된 결과로서 단기간의 변화를 분석하는 데는 적절치 않으며 장기간의 추세 분석에 적합하다.

이러한 제약사항으로 인하여 기관별 북한지역의 토지피복분류도를 통한 시계열 모니 터링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관별로 기구축 된 북한지역의 토지피복 도를 전체적인 토지이용 변화의 현황을 파악하는데 국한하여 활용한다.

표 3-6 북한지역의 토지피복 변화

(단위 :㎢)

산림 시가지 농경지 초지 나지 수계 기타

환경부 (’80년대 후반)

면적 91,647 1,373 21,326 4,984 966 2,012

-비율 74.9 1.1 17.4 4.1 0.8 1.6

농림부 (’90년대 초반)

면적 82,861 1,331 23,481 10,461 657 909 1,372

비율 68.4 1.1 19.4 8.6 0.5 0.8 1.1

환경부 (’90년대 후반)

면적 86,306 2,073 24,017 5,919 1,729 2,260

-비율 70.6 1.7 19.6 4.8 1.4 1.8

자료: 이규성 외. 2009. 「한반도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모니터링을 위한 현안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5(1) (p. 81)

01 위성영상을 활용한 거주가능지역 추출 및 공간적 인구분포추정 49 02 대시메트릭 지도법을 활용한 공간적 인구밀도 분포 추정 56 03 인구분포 추정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방법 61

CHAPTER

4

원격탐사기법을 활용한 거주가능지역

및 공간적 인구분포추정 방법론

CHAPTER

4 원격탐사기법을 활용한 거주가능지역 및 공간적 인구분포추정 방법론

본 장에서는 광학영상 등의 위성영상을 활용한 거주가능지역 추출 및 공간적 인구분포 추정 방법 론에 관하여 살펴본다. 거주가능지역 추출 결과를 기반으로 공간적 인구분포 추정을 위하여 활용 가능한 다양한 대시메트릭 지도법을 비교 및 분석한다. 이 외에도, 공간적 인구분포 추정 결과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법론 및 보조자료를 조사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적용 가능한 방법론 및 자료를 도출한다.

1. 위성영상을 활용한 거주가능지역 추출 및 공간적 인구분포추정

원격탐사는 도시성장, 인구이동, 도시 내 환경문제 등과 관련된 정책적 평가에 있어 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다(Bhatta et al., 2010, Miller and Small, 2003). 원격탐 사 자료는 도시의 토지이용 및 형태, 환경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 고 있으며, 과거, 현재, 미래의 변화 및 예측을 통해서 도시의 성장 관리 및 계획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김윤수 외, 2005).

1950년대 후반 이래로 원격탐사자료를 통해서 도시의 토지피복 및 환경적 변수들뿐 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현상들과의 관계를 고찰하는 연구를 수행해왔다(Patino and Duque, 2013).이러한 관계는 도시의 환경적 특성이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의 사회적·인구학적 특성과 관련성이 있다는 가정 하에 연구되어져 왔다(Jain, 2008). 이 를 기반으로 원격탐사기법 및 위성영상 자료는 도시문제 연구를 위한 중요한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원격탐사기법 및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도시지역 및 거주가능지역 탐지와 토지피복 지도화(Helmer and Ruefenacht, 2005; Seto and Liu, 2003; Yang et al., 2003), 도시성장 및 확산 모형(Herold et al., 2003; Wilson et al., 2003;

50 (Harris and Ventura, 1995). SPOT, Landsat TM, Landsat ETM+의 중해상도 위성영상들이 인구규모 추정을 위한 자료로서 센서스 또는 현장조사 자료들을 함께 활 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라이더(LiDAR44))로부터 건물 높이를 산출하고 고해상도 위

44) 라이더(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펄스 레이저광을 대기 중에 발사함으로써 반사체 또는 산란체 를 이용하여 거리 및 대기현상 등을 측정하는 레이저 레이더 기술”(사이언스올, http://www.scienceall.com 최종접속일: 2016년 10월 21일)

성영상을 통한 도시내부에서의 인구분포 추정도 수행하고 있다(Patino and Duque,

자료: Patino and Duque. 2013. “A review of regional science applications of satellite remote sensing in urban settings”.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37: 1-17. 로부터 수정 및 갱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