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장에서는 북한지역의 인구 현황, 남북한 인구비교, 1993년과 2008년 인구센서스 비교를 통해 북한지역의 인구 동향을 살펴본다. 이 외에도, 북한지역의 토지피복 종류에 따른 공간적 인구분포 추정을 위하여 북한의 토지피복 현황 및 주요기관별 북한지역의 토지피복 현황 자료에 대해서 검토 및 분석한다.

1. 북한의 인구 동향

1) 북한의 인구 현황

북한지역의 전체 인구데이터는 1989년 조선중앙연감에서 처음 수록된 이후로 1946~

1987년까지의 공민등록통계를 개방하였으며 공식적인 센서스 자료는 1993년과 2008년 자료가 있다. 공민등록통계는 각 내용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제공되지 않았으며 남녀 성비가 왜곡되어 있고 군대인구를 제외한 민간인구만을 대상으로 한다. 1993년 센서스 자료는 공민등록통계와 마찬가지로 각 내용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제공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두 통계가 불일치하여 통계의 의도적 왜곡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을 불러일으켰으 며, 이는 센서스 자료를 활용하는데 제한요소로 작용하였다.

2008년 센서스 조사는 북한당국이 국제사회에 대한 적극적 지원을 요청함으로써 수 행되었고, UNFPA(United Nations Fund for Population Activities)와 한국 정부가 센 서스 조사를 위한 재정과 기술을 지원하였다.

34

그림 3-1 북한의 연령별 인구구조

자료: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Pyongyang, 2009. 『DRK Korea 2008 Population Census National Report』

자료를 이용하여 저자 재작성

2008년 센서스 자료는 각 내용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제공된 최초자료이다. 특히 공 민등록통계와 2003년 센서스와는 다르게 군부대 거주인구를 명시하고 인구수를 제시하 고 있다. 2008년 센서스는 지금까지 북한의 인구통계 가운데 가장 투명하고 분명한 과 정과 절차, 형식을 통해 제작 및 공표된 인구통계 자료이다.

그러나 기존 통계자료와 마찬가지로 군대인구 수치 등의 의도적인 왜곡 가능성이 있 으며 통계적 불일치라는 문제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기본적 인구지표 분석에서는 현실을 크게 왜곡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다2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 인구통계의 문제 점이 상대적으로 희석된 시도별 행정구역 단위의 집계 총인구수를 이용하여 분포를 추정 하므로 2008년 데이터의 통계학적 문제는 고려하지 않는다.

20) 이석. 2011. 「2008년 북한 인구센서스의 분석과 문제점」. 『정책연구시리즈』 2011-11(p.31)

그림 3-2 2008년 북한의 시도별 인구 단계구분

자료: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Pyongyang, 2009. 『DRK Korea 2008 Population Census National Report』

자료를 이용하여 저자 재작성

그림 3-3 2008년 북한의 시군구역별 인구 단계구분도

자료: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Pyongyang, 2009. 『DRK Korea 2008 Population Census National Report』

자료를 이용하여 저자 재작성

36

21)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Pyongyang, 2009. 『DRK Korea 2008 Population Census National Report』(p.14 통계자료)

22)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Pyongyang, 2009. 『DRK Korea 2008 Population Census National Report』(p.14-17 통계자료)

23)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Pyongyang, 2009. 『DRK Korea 2008 Population Census National Report』(p.15 통계자료)

24)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Pyongyang, 2009. 『DRK Korea 2008 Population Census National Report』(p.14 통계자료)

25) 김두섭 외. 2010. 『북한 인구센서스 분석 연구』. 한국사회과학자료원(p.34-35)

26)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Pyongyang, 2009. 『DRK Korea 2008 Population Census National Report』(p.18-22 통계자료)

27) 통계청. 2015. 『2015 북한의 주요통계지표』(p.45) 28) 통계청. 2015. 『2015 북한의 주요통계지표』(p.47) 29) 통계청. 2015. 『2015 북한의 주요통계지표』(p.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