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집된 자료의 특성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1-74)

가.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본 연구의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표5-3>과 같다. 평균연령은 35.47±8.691세로 최 소 19세에서 최고 55세까지 분포하였다. 성별은 남성이 557명(94.7%)을 차지하였고, 교 육수준은 고졸 257명(43.7%)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대 졸업이 173명(29.4%), 대학교 졸 업 이상이 158명(26.9%)으로 나타났다. 근속연수는 10년 이하가 228명(38.8%)으로 가장 많았고 21년 이상은 205명(34.9%), 11-20년은 155명(26.4%)순이었다. 근무 기간은 19개 월 이상이 205명(34.9%)으로 가장 많았고 12개월 이하는 214명(36.4%), 13-18개월이 169 명(28.7%)순으로 나타났다. 계급은 원·상사가 263명(44.7%)으로 가장 많았고 중·하사 가 248명(42.2%), 위관장교 49명(8.3%), 준사관 13명(2.2%), 영관장교는 9명(1.5%)이었다.

근무하는 부대별로 함정 근무자는 300명(51.2%)이었고 육상부대 근무자는 282명(48.1%)으 로 나타났다.

<표 5-3> 표본의 특성

변 수 평균±표준편차

협력적리더십

소계 4.18±.67

절차적협력 4.25±.80 인지적협력 4.33±.64 구조적협력 3.94±.84 조직유효성

소계 4.17±.74

직무만족 4.19±.75 조직몰입 4.13±.80

절차적협력 인지적협력 구조적협력 직무만족 조직몰입 r(p) r(p) r(p) r(p) r(p) 절차적협력 1

인지적협력 .684

(.000) 1 구조적협력 .579

(.000)

.703

(.000) 1 직무만족 .727

(.000)

.763 (.000)

.667

(.000) 1 조직몰입 .743

(.000)

.741 (.000)

.679 (.000)

.834 (.000) 1 나. 변수간 상관관계

1) 변수 및 하위요인별 평균, 표준편차

협력적리더십의 각 하위요인별 평균점수를 살펴보았는데, 절차적협력은 4.25±.80점, 인 지적협력은 4.33±.64점, 구조적협력은 3.94±.84점이었으며 전체 평균은 4.18±.67점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수인 조직효과성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도는 4.19±.75점, 조직몰입은 4.13±.80점이었고 전체 평균은 4.17±.74점이었다.

<표 5-4> 변수별 평균 및 표준편차

2) 변수별 상관관계

<표 5-5> 변수별 상관관계

본 연구에서 독립변수인 협력적리더십의 하위요인(절차적협력, 인지적협력, 구조적협 력)과 종속변수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과 절차적

구 분 방 법 목 적

인구통계학적 분석 빈도 및 기술통계 연구대상자의 현황

신뢰도 검증 Cronbach alpha 측정의 신뢰도 분석

타당성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구성 개념 타당성 확인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변수와의 차이검증

Independent t- test One way ANOVA (Post-Hoc)

변수의 기초통계량 확인

변수간의 상관관계 피어슨 상관관계 변수간의 관계 확인

협력적리더십이 조직유

효성에 미치는 영향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조절 효과 확인

협력(r=.727, p=.000), 구조적협력(r=.763, p=.000), 인지적협력(r=.667, p=.000)간에 모두 통 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조직몰입과 절차적협력(r=.743, p=.000), 인지적협력(r=.741, p=.000), 구조적협력(r= .679, p=.000)간에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3) 수집된 자료의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24.0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 가설 검증에 앞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빈도분석과 측정도구들의 각 설문항목에 대한 내적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신뢰도 검증,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 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에 따른 각 변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 고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사후검증과 변수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 해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서는 협력적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 기 위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표 5-6> 자료분석 방법

협력적리더십 설문문항 CVI 수정사항 1. 나의 상관은 부하들을 속여서 자신의 이익을 챙기려 하지

않는다. 0.8 내용수정

2. 나의 상관은 어려운 상황이 닥치면 솔선수범해서

해결한다. 1.0

3. 나의 상관은 약속한 사항은 반드시 지킨다. 1.0 4. 나의 상관은 우리부대가 협동 단결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사람이다. 1.0

5. 나의 상관은 부하들과 수시로 의견을 나눈다. 1.0 6. 나의 상관은 필요한 정보를 부하들에게 신속하게

전달해준다. 1.0

7. 부대원들의 업무상 애로사항이 지휘부에 잘 전달된다. 1.0 8. 나의 부대는 서로 허심탄회하게 소통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다. 1.0

9. 내가 하고 있는 일은 나에게 있어서 매우 가치 있는

일이다. . 0.8

제2절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1-7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