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구)수질예보제

3. 수질측정망 현황

<표 2-3>의 계속

물환경측정망의 종류 및 운영 목적

․ 마. 방사성물질측정망

- 공공수역 방사성물질 현황 조사

- 방사성물질, 방사성폐기물의 하천, 호소 등의 공공수역 유입 여부 조사

․ 바. 생물측정망

- 하천, 하구, 호소 등에 대한 수생태계 현황 및 추세파악 - 주요 환경정책의 효과분석 및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운영체계

자료: 물환경정보시스템, “물환경전문정보”, 검색일: 2020.6.22.

일반수질측정망 데이터는 하천, 호소, 농업용수, 도시관류, 산단하천에서의 수질측정데이 터를 제공한다. 제공하는 주요 수질정보는 수심, 수소이온농도, 용존산소량, BOD, COD, 부유물질, 총질소, 총인, 총유기탄소(TOC), 수온, 페놀류, 전기전도도, 총대장균군수, 용존 총질소, 암모니아성 질소, 질산성 질소, 용존총인, 인산염인, 클로로필a, 투명도 등이다. <그 림 2-7>의 수질일반측정망 주요지점에 대해서는 측정한 데이터를 주 1회 제공하고, 나머지 지점에 대해서는 측정한 데이터를 월 1회 제공한다.

총량측정망 데이터는 수질오염총량제 대상 지역에 대해 총량 관리에 필요한 기초데이터 로 수온, 수소이온농도, 전기전도도, 용존산소, BOD, COD, 부유물질, 총질소, 총인, TOC, 유량 데이터를 제공한다. 데이터 생성 주기는 월 1회이다.

자료: 물환경정보시스템, “주요지점 수질 현황”, 검색일: 2020.6.22.

<그림 2-7> 수질 일반측정망 주요지점

수질 자동측정망 데이터는 수질오염 사고 시 신속하게 대응조치 하고자 수질감시체계로 운영하는 측정망인데, 수동으로 측정하는 일반측정망을 보완하는 기능을 지녔다. 자동측정 망에서는 수온, 수소이온농도, 용존산소량, 전기전도도, TOC를 전 측정소 공통 항목으로 측정하고, 이 외에 탁도, 클로로필a, TN, TP, NH3-N, NO3-N, PO4-P, VOCs(9종 10개), 페놀, 중금속, 생물감시항목 등을 선택 항목으로 측정하여 제공한다. 자동측정망의 총 측정 소 개수는 70개로, 한강 22개 하천 1개 호소, 낙동강 24개 하천, 금강 10개 하천 3개 호소, 영산강 6개 하천 4개 호소이다. 자동측정망 데이터는 일 단위로 제공된다.

자료: 물환경정보시스템, “물환경데이터”, 검색일: 2020.6.22.

<그림 2-8> 수질 자동측정망 설치지점

퇴적물측정망 데이터는 전국 하천 및 호소 등 수질보전대상 공공수역에 대한 퇴적물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환경질을 평가하고, 이미 집행된 주요 정책사업의 효과를 분석하 여 장래 퇴적물 환경질 보전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9) 2011년부터 정상 운영되어 측정소별 하천에서는 상·하반기 연 2회, 호소에서는 연 1회 측정한 정보를 제공한다. 제공 정보는 채취일, 채취시간의 최고수심, 표층측정수심과 같은 측정 정보와 함께 표층 및 저층의 수심, 수온, 용존산소량, pH, 전기전도도 정보, 퇴적물

9) 한국환경공단(2011).

입도, 함수율, 완전연소가능량 비율 및 등급, COD, TOC, TN, TN 등급, TP, SRP, 중금속, 보존성 원소 농도 등이다.

물환경정보시스템에서는 이 밖에도 방사성 측정망과 생물측정망 데이터를 추가 제공한다.

제3장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