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업 지도안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0-64)

다음은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지도안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에게 어휘와 문 화를 동시에 교습하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미숙(2007)의 모형이 어휘와 문화 통합교육을 하기에 적절하다고 생각되어 이 모형을 사용하기로 한 다.

대상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 급 중급 학습목표 모국어 특성을 고려하여 관용어의 언어문화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목표어휘 시치미를 떼다: 자신이 하고도 하지 않은 척하거나 알면서도 모르는 척하다.

대응 모국어 装蒜(마늘을 담다: 이형동의)

학습 단계 교수활동 매체 및

유의점

방법 알기

⋅수업 제재 관용어 제시 - ‘시치미를 떼다’

⋅제재 관용어의 기본의미를 설명한다

⋅제시된 관용 표현의 구성어휘를 사전에서 찾아 본 래의 개념적 의미 파악하기

☞‘시치미를 떼다’

▶ 시치미23) : 시치미는 매의 꽁지에 달아주는 주인 의 표시로서 사냥할 때 매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기구이다. 매 꼬리의 기다란 깃털에 ‘응주(鷹主) ○○

리(里) 곽돌(郭乭)·번개쇠’ 라는 식으로 쓰는데 이것 을 ‘시치미’라고 한다. 시치미는 매주인의 주소와 이 름, 매 이름을 기록한 것으로 일종의 매 명찰이다.

▶ 떼다 : 하고도 하지 않았다고, 또는 알고도 모른다 고 단호하게 부인한다는 뜻

시치미

⋅노래, 춤, 시청각 자료 실물 자료, 시범화 TPR

⋅시청각 자 료 선정에 있 어서 지나치 게 흥미 위주 로 된 내용은 피한다.

⋅교사는 목 표 관 용 어 와 관련된 시청 각자료를 의 미를 전달할 수 있는 부분 들로 편집하 여 준비한다.

⋅학습자에게 시청각 자료 의 간단한 배

<표17> 수업 지도안

기록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매사냥은 삼국시대부 터 있었다. 매사냥은 특히 북쪽 지방에서 성행했는데, 해동청이 유명하여 고려 때는 몽골에 공물로 바치기 도 했다. 해동청과 같이 매를 ‘수지니’, 야생 매를

‘산지니’라고 한다. ‘보라매’는 그해에 태어난 새끼 매 를 길들인 것이다. 산지니는 사냥에 이용할 수 없다.

새끼 때부터 한쪽 발에 줄을 묶어 주인인 ‘수알치’가 거의 시선을 떼지 않고 길들인다. 덜 재우고 덜 먹여 야 사냥할 때 난폭하고 달아나지 않는다. 그러나 달아 날 경우를 대비해 쇠뿔을 얇게 깎아 만든 이름표에 주인의 이름과 주소를 적고 매의 꽁지 털 속에 매단 다. 이 이름표가 평안북도 말로 ‘시치미’이다. 매는 달 아나도 배가 고파 멀리 가지 못하므로 인근 마을에서 발견한 자가 있으면 시치미에 적힌 주인에게 돌려준 다. 주인은 그에 대한 사례를 하는 것이 관례였다. 그 러나 간혹 시치미를 떼고 슬쩍 가로채는 사람이 있었 다. 여기에서 ‘시치미를 떼다’라는 말이 생겨났다.

* 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예문을 통해 제시된 관용 표 현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살피기

⋅어떤 관용어인가?

⋅어떤 의미인가?

- 관용 표현의 의미를 추측해서 말하도록 한다.

: ‘시치미를 떼다’ 의미 추측, 발표.

경 설명을 해 준다.

⋅시청각 자 료는 학습자 들이 정확히 들을 수 있 도록 반복해 서 시청하게 한다.

⋅주요 표현 이외의 부분 에서 학습자 가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 은 질의를 통 해 전달 한다

- 대화형 문장 제시

수진 : 수지야, 내 하늘색 원피스 못 봤니? 오늘 데이 트 때 입고 가야 하는데 어디에 있지?

수지 : 나 못 봤는데...

수진 : 엄마! 내 하늘색 원피스 혹시 보셨어요?

엄마 : 응, 좀 전에 수지가 자기 방에 가지고 가던데.

수진 : 수지야, 니가 내 원피스 가져 갔다면서? 어디 서 시치미를 떼고 있는거야?

수지 : 너무 예뻐서 나도 한번 입어 보고 싶었어...

대상 알기

⋅생각을 발표하게 한 다음, 사고의 오류를 바로 잡아 목표 관용어에 대한 이해를 시키고 확인한다.

⋅어떻게 사용하는가?

⋅어떤 상황들에서 사용하는가?

⋅‘시치미를 떼다’라는 표현을 넣어 자신의 경험담을 발표하도록 한다.

⋅활동지

- 제시된 문장에서 제재 관용어가 관용어로서의 쓰임 이 올바른지 맞추기.

- 문장이 들어가 있는 부분을 지우고 직접 관용어를 사용해 내용을 완성시키게 한다

⋅노래, 춤, 시청각 자료, 실물 자료, 시 범 , 문 화 TPR, 활동지

⋅목표 관용 어에 대해 생 각할 시간을 충분히 준다.

⋅학습자에게 연 상 기 회 를 주는데 주력 한다

이유 알기

⋅‘시치미를 떼다’라는 관용어 표현의 문화적 배경과 가치관을 이해하기

⋅모국어에서 ‘시치미를 떼다’에 대응하는 중국어 관 용어‘装蒜’의 의미와 문화적 배경에 대해 알아보기 - 装蒜[zhuang suan] 차릴 장, 마늘 산 : 딴청 부리 다, 모르는 체하다.

- 중국 전래고사에서 한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수 선화를 심었는데, 수선화 꽃이 피지 않아 수선화가 마 늘인 척 한다고 말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 이는 수선 화의 줄기와 잎 모양이 마늘과 닮았기 때문이다.

⋅모국어와의 표현적, 의미적 차이점과 공통점은 무엇

비교문화, 인 터넷 및 기 타 매체자료

인지 학습자와 함께 검토하기

⋅중국인들이 목표 관용어 사용에서 오류를 나타내는 이유에 대해 생각하고 발표하기

- 인터넷, 기타 매체 자료 찾아보기 - 소집단 토론

자신 알기

⋅제재 관용어의 느낌이나 사용상황에서 화자의 태도 를 이해했는지 확인하고 소집단별 토론을 한 후 개별 적으로 발표한다.

⋅관용어 문장을 만들 때 어떤 연결어미를 사용하는 지에 대해 정리하기

⋅유사한 상황에 대한 대본을 제시하고 소집단별로 역할극을 한다.

- ‘시치미를 떼다’가 나오는 드라마, 영화에서 장면을 찾아 틀만 제시한다.

- 학습자가 직접 대본을 만들어 역할극을 한다.

⋅‘시치미 떼다’와 유사한 어휘를 인터넷, 매체, 서적 을 통해 찾아보고, 그 활용 상황과 본시 제재 관용 어와의 쓰임 차이, 대응하는 모국어 관용어 등에 대 해 조사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토론, 발표, 역할극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0-6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