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소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4-47)

소비는 인간의 욕구나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돈, 시간, 노력 등의 필요한 물자 또는 용역(用役) 따위를 이용하거나 소모하는 일을 말하는 것으로 일상생활 전반에 걸 친 사회⦁문화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소비를 한다.

소비는 시대 혹은 사회적 구분에 상관없이 전 영역에서 욕구을 충족시키기 위한 활동 이며, 개개인의 개성과 요구사항들이 다르듯 소비의 대상과 종류, 이유도 다양하기 때 문에 생(生)을 다하는 순간까지 자신을 위하여 소비에 대한 체계적 학습과정이 필요하 다.

가. 감성사회인의 소비

본 연구에서는 감성사회인의 소비를 일상적 소비, 문화적소비, 사회적소비, 생산적 소비로 분류하였다.

(1) 일상적 소비

일상적 소비란 감성사회인뿐만 아니라 인간 생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의•식•주에 필요한 모든 용품이나 식료품, 술, 차와 같은 음료수를 마시는 것 그리고 자신의 몸을 보호하고 치장하기 위한 의상이나 액세서리 등 필요한 재화를 소모하는 일이다.

(2) 문화적 소비

문화적 소비란 정신이나 심리적 만족을 얻기 위해 영화⋅뮤지컬⋅미술품 감상, 운동 경기 등의 문화콘텐츠를 관람하거나 운동경기에 참여하고 악기 다루기 등과 같은 행동 을 말한다. 이외에도 서예, 요가, 여행, 등산, 산림욕, 주말 농장, 명상, 종교활동 등에 참여하여 신체적이나 정신적 만족을 얻을 수 있는 것도 문화적 소비로 볼 수 있으며,

명상과 같이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있는 것 역시 철학적으로 보면 문화적 소비를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사회적 소비

감성사회인의 사회적 소비는 대상과의 상호 교감(交感)을 통해 사회 속 효능감을 위 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감성사회인은 사회적 소비 행위를 통해 감성사회인 무리에서 정체성을 인정 받을 수 있고, 나아가 사회적 지위와 심리적 안정을 보장 받는다고 생 각하고 있다. 감성사회인은 사회적 소비활동을 바탕으로 사회적 관계 및 소통을 구매 하려는 행위로 발전시키고 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가족이나 친구, 직장 동료들과 같은 사람들과 교류 하기를 원하는데, 일련(一連)의 사회적 소비를 통해 주변인과의 소통을 취하고 있다.

즉, 감성사회인이 사회적 소비를 하는 것은 사람들과 소통하고자 함이며 사회와 관 계(關係) 맺기를 원하는 것이다.

감성사회인의 사회적 소비의 예로 휴대폰이 있다. 초기엔 접해보지 못했던 문화에 대한 호기심과 편의성으로, 이후 기술과 성능이 융합된 서비스를 제공받는 컨버전스 (convergence)제품을 사용하며 활용했지만, 현재휴대폰은 사용자간의 감성과 문화를 연결해주는 매개체(媒介體)로서의 기능이 더욱 중시되고 있다. 즉, 감성사회인 간의 소 통의 교량 역할을 해주고 있는 휴대폰 소비는 사회적 소비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감성사회인은 자신을 다른 사람과 구별하기 위한 사회적 소비 행위를 바 라고 있다. 이는 사회적 욕구의 일환으로 수많은 감성적 소비 대상들 사이에서 ‘나’ 를 위한 가치있는 소비를 통해 다른 사람과 다름을 나타내고 싶은 것이다. 결국, 사회적 소비란 감성사회인들이 자아 존재감 및 자아 효능감을 위한 소비, 그리고 자아를 타자 와 구별하고 싶은 사회적 욕구를 소비를 통해 말을 하는 것인데, 종단(終端)에는 사회 적 위치(social-positioning) 및 주변과의 관계를 형성시키는 ‘사회적 의미작용’ 까지 구축(構築)하는 체계로 진행하면서 자아실현을 위한 소비적 활동으로 진화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를 바탕으로 DIY 가구 체험자들의 가구체험을 통한 활동 또한 사회적 소 비욕구를 충족 시켜줄 수 있는 사회적 소비활동이라 할 수 있다.

사회 욕구의 진화

산업 사회 물질적 풍요로움

정보화 사회 물질적 풍요로움 + 기능적 충족

감성 사회 물질적 풍요로움 + 기능적 충족 + 자존감의 충족 <표 2-3. 문화적⋅사회적 소비에 대한 감성사회인 소비 욕구 진화>

이와 같이 감성사회인은 문화적⋅사회적 소비 행위에 자신을 위한 감성적 가치를 중 심으로 놓고 기호(嗜好)에 맞는 소비대상을 자신의 상징체계(象徵體系)로 투영하려는 의지적이며 주체적인 소비 활동으로 진행시키고 있다.

표 <2-3>는 문화적⋅사회적소비에 대한 감성사회인의 욕구 진화를 살펴본 것이다.

(4) 생산적 소비

감성사회인의 생산적 소비는 물건을 생산하는 인간과 사물간의 교호작용(交互作用, Reciprocal action:상호작용)52)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인간의 성향 중 물건을 제작하 고 사용하는 호모 파베르(Homo faber)를 말한다. 무엇인가를 만들면서 창작하는 의식 적인 활동은 호모사피엔스 및 호모 루렌스(유희적 인간)적 성향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물의 제작 행위를 통해 자아효능감과 같은 감성을 취할 수 있는 자아 인지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53)

감성사회인은 점차적으로 주체적 생산자의 모습을 발산하기 시작하면서 문화를 직접 생산하고 소비하려는 적극적인 참여를 시도하고 있다. 감성사회 이전 사회에서도 직접 생산하고 소비하는 문화에 대한 관심과 소비는 있었지만, 감성사회로 진입하면서 내면 에 잠재해 있던 공작인(工作人)으로서의 가치를 본격적으로 표출하고 싶어지면서, 소 비 대상들을 직접 만들어 보고 싶은 관심이 증가하게 된 것이다.

특히, 이들은 자기발전을 위한 문화적 생산 및 소비에 대한 행위 중 원하는 것을 자 체적으로 해결하는 DIY 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DIY 소비 행위는 인간이 자신 52) 듀이의 ‘연속성’과 ‘상호작용’에 대한 설명. “듀이가 의도한 교호작용은 단순하게 주고 받는 자극반 응식의 상호작용이 아니라 인간과 그를 둘러싼 환경(사물)간에 일어나는 일체의 상호 관계적 활동이 며, 동시에 그런 활동에 수반되는 시공간상 확대된 인식작용을 말하고 있다.”

김무길, 『존 듀이의 교호작용과 교육론』, 원미사, 2007, p3 53) 박연실, op. cit. 2008, p9,

에게 필요한 것을 창의적으로 제작하는 공작인(호모 파베르)성향과 일치하며, 문화를 수신만하는 것이 아닌 주체적인 모습으로 발신하는 모습을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4-4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