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장에서 부모의 삶의 질과 관련된 다양한 영역들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삶의 질과 관련된 다양한 영역 중에서 가구 소득의 영향력이 가장 강했다.

즉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 행복도, 생활수준 만족도, 교육 만족도, 주 거수준, 건강 등 모든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들이 낮게 나타났다. 가구소득이 낮은 집단이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문제는 주거였으며 전반적으로 시설이 좋지 못한 주 택에서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삶의 질과 관련하여 성별의 차이도 있었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삶의 만족 도, 행복도, 정신/건강 웰빙 수준이 낮았으며 즐거운 일을 할 시간 부족, 중요한 문제의 대처의 어려움, 잘못된 일에 대한 회복 어려움, 우울 등의 문제를 겪고 있는 비율이 높았다.

셋째, 심층면담 결과 출산과 임신은 삶의 만족도를 전반적으로 떨어뜨리는 것으 로 나타났다. 출산, 육아로 인한 스트레스, 여가 시간 부족, 육아로 인한 피로도 등이 원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녀의 가치, 자녀와 행복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설문조사 결과와 심층면담 결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행복의 요인이고, 자녀를 키우 는 것이 삶에서 가치 있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동의 정도 수준이 높았다. 다만 연령 이 높을수록 자녀와 행복의 관계성이 더 높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아, 세대 간의 출산과 자녀의 가치에 대한 시각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에 응답한 절반 이상이 일・가정양립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층면담 결과에서도 우리나라의 장시간 근로 문화로 인해 일・가정양 립이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다. 조사 결과를 자세히 살펴보면 대도시에 거주하는 경 우 여성인 경우, 연령이 어린 경우 일・가정양립의 어려움을 더 많이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공공서비스 질 중에서 보건의료와 대중교통에 대한 만족도가 육아서비 스와 교육, 국민연금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서비스와 대중교통의 만족 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공공서비스 중에서 국민연금에 대한 만족

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우리나라 보건의료서비스 질적 수준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일반병원까지의 접근성에 대해서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면담 결과에서는 지방에 거주하는 부모들의 경우에는 소아 응급시설이 부족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여덟째, 보육만족도와 비용에 대해서도 전반적으로 소득이 낮은 가구에서 만족 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 비용도 부담된다고 응답한 결과가 많았다. 심층 면담 결과에서는 우리나라 보육 질이 전반적으로 나쁘지는 않지만 가정어린이집에 대한 질 부분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있었으며, 사립유치원, 영어유치원 등은 여전히 비용이 부담된다는 의견이 많았다.

아홉째, 심층면담 결과 한국 사회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낮다는 의견이 많았다.

한국의 경쟁적인 교육 구조와 과정, 이로 인한 사고 사교육 문제, 교육 비용 등이 원인으로 나타났다.

열 번째, 심층면담 결과 사회적 불안정성에서 직장에 대한 불안정성에 대한 우려 가 가장 컸다. 과거에 비해 자녀를 늦게 출산하기 때문에 자녀의 교육, 결혼까지 지원하기 위해서는 은퇴 시기를 최대한 늦춰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열한 번째, 사회갈등 중 빈곤층과 부유층의 갈등수준을 가장 높게 지각하였으며, 남성과 여성 갈등의 경우에는 연령이 낮을수록 갈등이 심하다는 응답이 많은 것으 로 나타나, 남녀 갈등 문제는 청년층에서 두드러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열두 번째, 우리나라는 전반적으로 사회에 대한 신뢰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 다. 가장 신뢰수준이 낮은 곳은 국회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해서도 정치인에 대한 신뢰도가 낮다는 것을 확인할 있었다. 특히 국회에 대한 신뢰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세 번째, 집안일과 자녀 돌봄에 대한 부부 분담은 잘 이뤄지지 못한 것으로 나 타났다. 집안일 분담과 남녀 참여율을 비교해보면 상대적으로 자녀 돌봄에 대한 부 부 분담은 잘 이뤄지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상대적으로 여성이 양육 스트 레스가 높았으며 일・가정양립수준도 남성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 분담 은 연령이 낮은 부부일수록 잘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네 번째, 심층면담 결과 자녀를 키우고 있고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가구는 층간 소음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녀 수가 많을수록 소음 문제가 심각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다섯 번째, 환경 문제 중 대기의 질 문제에 대해서 심각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심층면담 결과에서도 미세먼지로 인해 자녀 건강이 우려된다고 의 견을 제시한 참가자가 많았다.

열여섯 번째, 자녀 수가 많은 가구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3명 이상인 가구가 사회적 신뢰도 수준, 건강, 보육과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자녀 의 가치, 자녀와의 행복을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삶의 질 국제비교

01 확인적 요인분석 02 국제 비교 결과 03 상관분석 결과

본 장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와 국제비교 결과를 제시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은 보육의 질 관련 문항(영유아 자녀가 있는 가구 대상)과 교육의 질 관련 문항 (초등생 이상 자녀가 있는 가구 대상)의 응답자가 상이하였기 때문에 보육 모형과 교육 모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보육의 질, 교육의 질 변수 이외에는 모든 요 인은 12세 이하 자녀가 있는 가구를 중심으로 국제 비교를 실시하였다.

1. 확인적 요인분석

가. 보육의 질 포함 모형

보육의 질을 포함한 모형의 상위개념 잠재변수는 삶의 질, 공공서비스의 질, 사 회의 질로 정의된다. 상위개념의 변수들은 2차 (higher-order) 잠재변수로 정의 된다. 삶의 질의 하위개념 변수는 주관적 웰빙, 생활수준, 주거 조건, 건강/정신 웰빙, 일・생활 균형이다. 공공서비스 질의 하위 개념은 보건의료 질, 보육 질, 보육 비용이다. 사회 질의 요인은 사회적 불안정, 신뢰 및 갈등, 안전이다. 모형을 도식 화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본 모형은 유럽자료와 한국자료를 통합한 자료로 분석을 실행하였으며 총 4,654개의 관측치를 활용하였다.

[그림 Ⅳ-1-1] 보육의 질을 포함한 모형

나. 교육의 질 포함 모형

교육의 질 포함 모형은 앞서 소개했던 모형에서 보육의 질이 교육의 질로 대체 되는 모형으로 다른 요인은 모두 동일하다. 모형을 도식화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앞서 소개한 모형과 아래 모형의 기본 가정은 2차 잠재변수가 1차 잠재변수에 영 향을 미치고 1차 잠재변수가 각 측정문항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교육의 질 포함 모형은 자녀가 초등학교 이상인 가구가 응답자의 자료로 분석하며 본 모형 분석에서 활용한 관측치는 3,413개였다.

[그림 Ⅳ-1-2] 교육의 질을 포함한 모형

다. 결과

앞서 소개한 모형에 대해 2차 확인적 요인분석 (higher-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상위개념과 하위개념의 잠재변수들로 이루어진 구조 의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앞서 소개한 모형의 사회의 질 2차 잠재변수는 통계 적인 문제로 (추가 시 수렴된 해가 허용불가) 본 연구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사회의 질에 속하는 1차 하위 잠재변수와 측정변수들만 분석에 사용되었다.

카이제곱 검증을 통해 표본의 공분산행렬과 연구모형의 추정공분산 행렬의 분포 의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카이제곱 값은 두 모형 모두 유의확률이 5%보다 작으므로 영가설을 기각하였다(보육 질을 포함한 모 형: = 2939.15, p 〈 .05, 교육 질을 포함한 모형; = 12254.15, p 〈 .05).

하지만, 카이제곱 값은 통계적으로 표본 크기에 민감하기 때문에 표본 크기가 증가 할수록 영가설을 기각하게 되는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카이제곱 검증이 절 대적기준이 되지 못하고, 권장되어지는 다른 적합도 지수와 함께 모형적합도를 평 가할 필요가 있다. 요인분석 또는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지는 지수들로는 절대적 적합도 지수인 RMSEA (Root Mean Square)와 SRMR

2차

Q5 0.924 0.032 28.492 0.000* 0.83 Q7a -0.57 0.036 -15.626 0.000* -0.512 Q7b -0.403 0.038 -10.599 0.000* -0.362

(Standardized Root Mean Square Residual)가 있고, 상대적 적합도 지수인 TLI (Tucker-Luwis Index) 와 CFI (Comparative Fit Index)가 있다. RMSEA 와 SRMR의 값은 모형의 전반적인 부합도를 보는 수치이므로 0에 가까울수록 좋 은 적합도로 해석되어지고, 값이 .08 이하이면 양호한 적합도를 가진 모형이라고 해석한다(Browne & Cudeck, 1992; Hu & Bentler, 1998). 상대적 적합도 지수 들은 1에 가까워질수록 적합도가 좋아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반적 규칙에 따른

Q88 -0.899 0.05 -17.968 0.000* -0.67 Q89 -0.897 0.05 -17.914 0.000* -0.668 Q90 0.61 0.05 12.313 0.000* 0.455

주거조건

Q25bc1 1 - - - 0.316

Q25de2 0.547 0.163 3.352 0.001* 0.172 Q89a -1.563 0.274 -5.704 0.000* -0.493 건강/정신

웰빙

Q48 1 - - - 0.494

Q51 1.356 0.12 11.269 0.000* 0.67 Q52 -1.374 0.122 -11.302 0.000* -0.679 일과 삶의

균형

Q20a 1 - - - 0.671

Q20b 1.273 0.078 16.27 0.000* 0.854 Q20c 0.948 0.061 15.636 0.000* 0.636

공공 서비스 질

보건의료

Q58a 1 - - - 0.792

Q59a 0.863 0.044 19.622 0.000* 0.683 Q59b 1.066 0.047 22.755 0.000* 0.844

보육 질

Q58d 1 - - - 0.378

Q81a 1.915 0.174 10.982 0.000* 0.724 Q81b 2.327 0.202 11.504 0.000* 0.88 Q81c 2.4 0.207 11.571 0.000* 0.908 Q81d 2.288 0.2 11.464 0.000* 0.866 Q81e 2.268 0.198 11.443 0.000* 0.858

보육 비용   0.678 0.077 8.747 0.000* 0.37

사회의 질

사회적 불안정

Q41 1 - - - 0.408

Q32 -2.077 0.177 -11.722 0.000* -0.847 Q31 -2.003 0.172 -11.65 0.000* -0.817

신뢰 및 갈등

Q33 1 - - - 0.527

Q35e 1.524 0.103 14.77 0.000* 0.803 Q35f 1.348 0.096 14.043 0.000* 0.71 Q34a 0.579 0.075 7.709 0.000* 0.305 Q34c 0.335 0.072 4.682 0.000* 0.176 Q34e 0.386 0.072 5.356 0.000* 0.203 가사

분담

Q42a 1 - - - 0.66

Q42c 1.054 0.166 6.331 0.000* 0.695

환경의 질 지역사회 환경 문제

Q54a 1 - - - 0.738

Q54b 1.022 0.053 19.147 0.000* 0.754 Q54c 0.9 0.052 17.348 0.000* 0.664 Q54d 0.949 0.052 18.145 0.000* 0.7

2차

Q56b 0.917 0.065 14.101 0.000* 0.6 Q56c 0.982 0.066 14.82 0.000* 0.642 Q56d 0.749 0.063 11.961 0.000* 0.489 Q56e 1.119 0.07 15.988 0.000* 0.731

치안 Q55a 1 - - - 0.794

Q55b 0.926 0.089 10.355 0.000* 0.736

2차

Q5 0.927 0.016 59.225 0.000* 0.829 Q7a -0.57 0.017 -33.299 0.000* -0.509 Q7b -0.416 0.018 -23.438 0.000* -0.372

생활수준

Q6c 1 - - - 0.734

Q88 -0.967 0.023 -41.157 0.000* -0.71 Q891 -0.961 0.023 -40.946 0.000* -0.706 Q902 0.704 0.023 30.336 0.000* 0.517

주거조건

Q25bc3 1 - - - 0.4

Q25de4 0.617 0.058 10.69 0.000* 0.247 Q89a -1.351 0.083 -16.19 0.000* -0.54 건강/정신

웰빙

Q48 1 - - - 0.512

Q51 1.255 0.051 24.593 0.000* 0.643

2) 교육의 질 포함 모형 상세 분석 결과

Q52 -1.27 0.051 -24.691 0.000* -0.651 일과 삶의

균형

Q20a 1 - - - 0.69

Q20b 1.28 0.033 38.361 0.000* 0.883 Q20c 0.931 0.026 36.031 0.000* 0.642

공공 서비스 질

보건의료

Q58a 1 - - - 0.803

Q59a 0.885 0.02 44.337 0.000* 0.71 Q59b 1.015 0.021 49.349 0.000* 0.815

교육 질

Q58b 1 - - - 0.521

Q85a 1.282 0.041 31.42 0.000* 0.668 Q85b 1.701 0.047 36.135 0.000* 0.887 Q85c 1.744 0.048 36.491 0.000* 0.909 Q85d 1.638 0.046 35.557 0.000* 0.854 Q85e 1.571 0.045 34.89 0.000* 0.819

사회의 질

사회적 불안정

Q41 1 - - - 0.354

Q32 -2.358 0.108 -21.74 0.000* -0.835 Q31 -2.324 0.107 -21.7 0.000* -0.823

신뢰 및 갈등

Q33 1 - - - 0.484

Q35e 1.725 0.058 29.865 0.000* 0.834 Q35f 1.525 0.053 28.754 0.000* 0.738 Q34a 0.55 0.038 14.619 0.000* 0.266 Q34c 0.384 0.036 10.611 0.000* 0.186 Q34e 0.35 0.036 9.73 0.000* 0.169 가사

분담

Q42a 1 - - - 0.525

Q42c 1.434 0.168 8.535 0.000* 0.752

환경의 질

지역사회 환경 문제

Q54a 1 - - - 0.743

Q54b 1.014 0.024 41.891 0.000* 0.754 Q54c 0.887 0.024 37.634 0.000* 0.659 Q54d 0.96 0.024 40.264 0.000* 0.713

편의시설 접근성

Q56a 1 - - - 0.712

Q56b 0.99 0.026 38.45 0.000* 0.704 Q56c 0.989 0.026 38.429 0.000* 0.704 Q56d 0.706 0.025 28.492 0.000* 0.503

Q56e 1 0.026 38.753 0.000* 0.711

치안 Q55a 1 - - - 0.812

Q55b 0.965 0.04 23.894 0.000* 0.783

주당근로시간 1인당 GDP

주당근로시간 1인당 GDP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