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1. 역할분담

□ 도내 유관기관 간 역할 분담

부지사를 단장으로 하는 「(가칭)해외농업개발협력단」을 설치하고 해외 농업개발과 국제농업․농촌협력사업을 총괄 지휘하도록 함.

- 실무적으로 해외농업개발과 국제협력사업을 총괄하는 전담부서 지정

․해외농업개발 분야: 해외농장 개발, 유통․가공시설 지원 등 담당

․국제협력사업 분야: 농촌개발, 농업 인프라 등 기반시설 지원, 농업분 야 국제교류 등 담당

현 FTA농축산대책과를 개편하여 국제무역에서 해외농업, 농촌개발협력 분 야 위주로 확대

농업기술원, 대구경북연구원, 대학 연구소 등 공공기관과 해외농업 진출 혹 은 진출 희망 민간업체와의 협력체제 구축

- 도 농업기술원: 기 진출 농업인 및 진출 희망 농업인에 대한 기술자문 및 교육, 상대국과의 공동 영농, 자재, 경영기술 개발

- 대구경북연구원, 대학 연구소 등: 상대국 농업투자여건 조사 분석, 사전 타당성(feasibility study) 조사, 투자 컨설팅, 정보 수집 및 제공

2.2. 제도적 지원 방안

2.2.1. 금융, 재정 지원

□ 해외농업개발 민간업체에 대한 도내 재정지원 확대

농식품부가 주관이 되어 민간업체를 대상으로 2008년부터 지원하는 해외

농업개발 투자환경 조사사업, 2009년부터 제공하는 해외농업개발 융자사

□ 기술지원 및 자문

경제적, 기술적 타당성 조사 지원

사업추진 과정에서의 경영 컨설팅 지원

□ 인력육성

국내, 해외 현장 교육 지원

- 농민 사관학교 교육과정 확대 및 질적 수준 제고

․2009년 몽골 1개국에서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등으로 확대 - 해외농업개발 교육과정은 해외 진출 희망 민간업체(유통형, 관련산업 종

사업체 등)에도 개방하도록 함.

□ 정보제공

해외농업개발 정보 네트워크 구축

- 중앙부처와 한국농어촌공사 등 관련기관과 협조하여 “해외농업개발 정 보 네트워크” 구축하여 종합적인 정보제공 시스템에 참여

- 주요 대상국 동향정보, 기 진출업체의 활동상황, 국제곡물 등 수급 및 가 격동향 등 제공

도내 해외농업개발 업체 및 농업인 현황 조사, 상호 정보교환의 장 제공 - 도내 출신으로 해외에 진출해 있는 민간업체와 농업인에 대한 조사 - 해외농업 진출에 관심이 있는 농업인, 업체 중심으로 수시로 설명회, 세

미나 등 개최

도 자체적으로 해외농업투자 환경조사를 실시하여 투자여건 관련 정보 수집 및 제공

□ 진출 대상국과의 협력관계 구축

도는 상대국 중앙정부 혹은 지방정부와 포괄적 MOU를 체결

- 공공부문(도) 및 민간부문(농업인, 농기업체)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경 제협력 기반 구축

․상대국에 대한 농업기술 전수, 연수생 초청, 농촌개발 등 지원 등 상호 협력할 수 있는 사항 발굴

- 이외에도 도 산하 유관기관이 상대국의 유사기능 수행기관과 개별적으로 MOU 체결

참고 문헌

강명구. 2009. “한ㆍ러 농업 협력: 현황, 과제, 전망-연해주를 중심으로-.”

경상북도. 2009. “RPC-project 추진을 위한 캄보디아 현지기관 방문결과.”

경상북도. 2008. 「경상북도의 안정적인 곡물 생산방향」.

경상북도. 2008. 「사료곡물 확보를 위한 경북도의 해외진출 방안」.

국립종자원. 2008. 「몽골 사료작물 종자 생산기지가능성 조사결과 보고」.

김용택. 2008. 「해외농업개발 장기전략 및 실행계획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기반공사. 2000. 「몽골 농업투자환경 조사보고서」.

농업기반공사. 2003. 「캄보디아 농업투자환경 조사보고서」.

농촌진흥청. 2008. 「몽골 농업환경조사 출장보고」.

정재완, 유민우. 2006. 「몽골경제와 한․몽골 경제협력 확대방향」.

정정길, 지성태. 2008. “중국의 식량수급 동향과 식량안보 중장기 계획.” 「중국농업정책브 리핑」. 제08-15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제주몽골농업연구회. 2006. 「몽골 호샤트지역 농업개발 현지조사결과」.

차지훈. 2007. 캄보디아 투자법제 해설.

케이씨피드. 2008. 「필리핀 루손섬(이사벨라주, 타북시) 농업투자환경 조사보고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세계농업」. 2009.2.

한국수출입은행. 2008. 「해외경제․투자정보」. 2008.9.12.

허 장, 김용택. 2008. 「해외농업개발 지역별․대상작물별․유형별 실행계획」. 한국농촌 경제연구원.

Economic Institute of Cambodia. 2007. Cambodia Economic Watch. Issue 7.

Engvall, Anders and Ari Kokko. 2007. “Poverty and Land Policy in Cambodia.” Stockholm School of Economics. Working Paper 233, June 2007.

Evans, Alex. 2009. The Feeding of the Nine Billion: Global Food Security for the 21st Century. Chatham House.

Royal Government of Cambodia. 2004. Cambodia Social Economic Survey (CSES), 2004.

World Bank. 2006. Cambodia: Halving Poverty by 2015? Report No. 35213-KH.

등 록 제6-0007호(1979. 5. 25) 인 쇄 2009. 3.

발 행 2009. 3.

발행인 오세익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0-710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 4-102 02-3299-4000 http://www.krei.re.kr 인 쇄 동양문화인쇄포럼

02-2242-7120 E-mail: dongyt@chol.com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공식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문서에서 경상북도 해외농업개발 추진방향 (페이지 124-12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