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성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5-73)

3. 시유 및 소성

제 3절. 작품 설명

제 4절. 작품 설치 및 전시

제 3장. 작품 표현

제 1절. 작품 표현 전개

1. 표현의 배경

‘감성(Sensibility)’은 특정한 대상으로부터 보고 느낄 수 있는 신비한 능력이다.

몇몇의 사람들은 감정과 감성을 혼동하기도 한다. 감정은 하나의 대상으로 많은 사람 이 비슷한 반응을 보이는 공통성과 객관성을 갖고 감성은 하나의 대상에서도 개인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타나며 시간과 환경 속에서도 변화한다. 본 연구자는 우리 모두가 가지고 있는 이 감성을 작품 ‘Soft Sensibility’ 안에 담고자 하였다.

‘Soft Sensibility’란 ‘여린 감성’을 의미한다. 단편소설의 ‘소나기’ 여주인공의 순수하 고 여린 감정을 접하게 된다면 가슴 아파하고 안타까워하는 마음이 드는 것은 바로 이 부드러운 감성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모습으로 부드러운 감성이 표현되고 있지만, 소녀의 이미지를 통하여 정제되지 않고 오염되지 않는 여리고 순수한 감성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가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 싶은 감성은 아름다움이었다. 여리고 순수한 아 름다움, 은은하게 스며드는 아름다움, 부드럽게 따듯한 아름다움 이렇게 3가지 아름다 움을 가지고 작업을 시작하였다. 왜곡되지 않고, 상처받지 않는 인간의 원초적인 부드 러운 감성을 여리고 순수한 소녀를 통해 작품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자의 작품을 들여다보면 소녀의 이미지를 계 속해서 마주하게 된다. 요즘 시대에 소녀라는 단어를 듣게 되면 어색함과 낯설음 그리고 거리감까지 느껴진 다. 기술의 속도가 인간의 감성을 너무 앞질러가기 때 문에 인간의 감성이 따라오지 못한 것이다. 사람들은 수많은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으로 척박한 일상을 보낸다. 본 연구자는 작품을 통해 여리고, 순수 한 감성들에 목마를 수밖에 없는 사람들의 마음을 소

녀의 이미지를 통해 나타내고자 하였다. [그림-30] 소녀 이미지

2. 디자인 컨셉

본 논문에서는 소녀의 여리고 순수한 아름다운 감성을 바탕으로 도자인형 제작이 시작되었고 소녀의 감성을 형상화한 도자인형 연구라는 논문 주제에 맞춰 소녀, 여린 감성, 형상화, 도자표현이라는 4가지 키워드를 뽑아내었다. 하지만 하나의 대상에서도 개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감성이란 능력을 작품 속에 투영한다는 것은 쉽지 않 은 일이었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자인형을 제작하였던 본 연구자는 도자인형의 눈과 전체적인 조형미를 통해 여리고 순수한 아름다운 감성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도자인형 의 얼굴을 디자인하면서 눈은 감은 채 무엇인가 생각하는 듯한 미소를 표현해주었고 지금까지 본 연구자가 연구해온 도자인형의 전체적인 조형미 중 가장 좋은 비율을 가 지고 작업에 임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한 결과물을 활용해 도자인형을 제작하는데 있어 서 어색하지 않고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자연스러움이 묻어나올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 다. 그리고 작품에서 나오는 소녀, 꽃, 나비 이미지의 의미를 설명한다. 소녀는 ‘여린 감성’을 나타내고 꽃은 아름다운 감성 3가지를 의미한다. 이 아름다운 감성은 여리고 순수한 아름다움, 은은하게 스며드는 아름다움, 부드럽게 따듯한 아름다움이다. 마지막 으로 나비는 소녀의 바램과 오염되지 않는 순수한 감성을 의미한다.

<작품제작과정>

논문 주제

키워드

작품 디자인 연구

작품제작

작품완성 및 전시

소녀의 감성을 활용한 도자인형 연구

소녀, 여린 감성, 형상화, 도자표현

도자인형의 얼굴 표현과 전체적인 조형미 디자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발전된 도자인형 작품제작

완성된 작품을 촬영 후 작품전시 진행

3. 렌더링

도자 인형 렌더링 및 설명

  표정 : 추억을 회상하는 표정   포즈 : 손동작을 통한 몸짓 표현   디테일 : 머리 장식과 옷자락 표현   꽃 모티브 : 국화, 장미

  의상 모티브 : 드레스

  표정 : 사색에 잠긴 표정   포즈 : 다소곳한 몸짓 표현

  디테일 : 머리 장식과 옷자락 표현   꽃 모티브 : 백일홍(국화), 장미   의상 모티브 : 드레스

  표정 : 바램을 나타내는 표정   포즈 : 손동작을 통한 몸짓 표현   디테일 : 머리 장식과 옷자락 표현   꽃 모티브 : 백일홍(국화)

  의상 모티브 : 한복

제 2절. 작품의 제작과정

1. 성형

가. 원형제작

1. 인형 두상 제작과정

설명 이미지

- 본 연구자는 도자인형의 첫 시 작으로 인형의 두상을 디자인하였 다. 인형의 두상을 디자인할 때 가 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부분은 눈 이었다. 눈을 뜨고 있는 인형이 아 닌 감긴 눈을 표현함으로서 꿈을 꾸는 듯한 느낌과 추억을 떠올리 는 듯한 느낌을 전하고 싶었다.

- 얼굴은 서양적인 얼굴이 아닌 동양적인 얼굴로 디자인하였다. 동 양적인 얼굴로 디자인한 이유는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친숙함을 주기 위함이었다. 앞머리도 옆으로 넘겨주어서 정갈한 소녀의 머리를 연상시켰다. 추후 살을 덧붙이면서 다양한 머리표현과 다양한 인형 두상들이 완성되었다.

2. 인형 몸통 제작과정 (1)

설명 이미지

- 렌더링을 통한 첫 번째 원형 디자인을 통해 인형 몸통 제작을 진행하였다. 인형 몸통은 먼저 석고 원형을 깎고 붙이고 다듬어 서 완성하였다. 그림으로 가정한 다면 하얀 도화지를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제작한 석고 원형 위에 유토를 활용하여 몸통 디자 인을 만들어나갔다. 보통의 작업 같은 경우에는 석고 원형으로만 작업을 진행하지만 본 연구자의 작업은 더 디테일한 작업이 요구 되어 유토를 활용한 섬세한 작업 이 진행되었다.

- 몸통 디자인은 여리고 순수한 소녀가 꽃에서 피어나듯 꽃잎을 활용하여 긴 드레스를 만들어 주 었다. 긴 몸통으로 디자인해주었 기 때문에 전체적인 조형미까지 생각하며 작업하였다. 긴 몸통은 마치 트로피를 연상케 한다. 이 부분은 작품을 받는 사람으로 하 여금 특별함을 전달해주고자 의 도하여 디자인하였다.

3. 인형 몸통 제작과정 (2)

설명 이미지

- 렌더링을 통한 두 번째 원형 디자인이다. 두 번째 원형 디자인 도 마찬가지로 석고 원형을 깎고 붙이고 다듬어서 제작하였고 그 위에 유토를 덧붙여가면서 작업을 진행하였다. 두 번째 원형 디자인 은 서 있는 인형이 아닌 사색에 잠겨 앉아 있는 인형의 모습으로 제작하였다.

- 몸통 디자인은 백일홍(국화)을 모티브로 하여 꽃이 활짝 피어있 는 모습을 인형 몸통에 옷을 통해 디자인하였다. 꽃잎을 하나하나 붙여 나갈 때마다 비율이 일정한 지 확인하면서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 다.

- 인형의 몸통을 보면 두 손을 모으고 있는 손을 볼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손 위에 여유 공간을 두 어서 나중에 틀에서 뽑아내었을 때 장식적인 부분까지 활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4. 인형 몸통 제작과정 (3)

설명 이미지

- 렌더링을 통한 세 번째 원형 디자 인이다. 첫 번째 원형 디자인처럼 긴 드레스의 원형을 토대로 디자인 하였다. 하지만 좀 다른 점은 높이 를 5cm가량 낮췄다. 높이를 낮추고 손과 팔을 들어 올려 스토리를 연출 할 수 있는 몸짓을 표현해주었다.

- 세 번째 원형 디자인도 몸통 부분 에 백일홍(국화)을 모티브로 하여 디자인해주었다. 옷에 느낌을 전통 한복의 느낌과 결합하여 디자인 해 주었고 손동작의 변화를 통해 다양 한 스토리 구상을 시도하게 되었다.

- 네 번째 원형 디자인은 아직 제작 되지 않았지만 이런 손동작과 몸짓 을 더 자유롭게 구상하여 한 층 강 화된 조형미를 만들 계획이다.

나. 석고 틀 제작

1. 인형 두상 틀 제작과정

설명 이미지

- 두상 원형 디자인을 완료하고 석고 틀 제작에 들어갔다. 석고 틀 제작에 앞서 먼저 유토 원형 주위로또 다른 부드러운 유토를 사용하여 석고 물을 부어줄 영역을 구분 지어주었다. 그다 음 석고 물이 차오를 수 있도록 나무 틀을 이용하여 벽을 만들어 준다.

- 벽을 만들어 준 다음 석고 물을 부 어주면 석고가 굳게 된다. 일정한 시 간이 지난 후 굳은 석고를 때 내어 주 고 사포로 다듬어 준 다음 다시 유토 를 이용해 영역을 구분 짓고 석고 물 을 부어주는 것을 반복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반복된 작업을 통해 인형 두상 의 석고 틀이 완성된다.

- 원형의 얼굴 표현 부분이 제일 중요 하기 때문에 정확한 석고 틀의 계산이 필요했다. 석고 틀의 피스는 총 4개로 구분되었고 이렇게 총 2세트의 두상 틀을 완성시켰다. 두상 틀을 2세트로 만들어 준 이유는 추후 작업 속도를 늘리기 위함이다.

2. 인형 몸통 틀 제작과정 (1)

설명 이미지

- 첫 번째 원형을 통해 석고 틀 제작 에 들어갔다. 원형의 길이가 있다 보 니 부드러운 유토의 양이 생각보다 많이 필요로 했다. 두상 틀 제작과정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석고 물 부어 줄 영역을 유토를 통해 구분 지어주 었다.

- 원형에 크기가 커서 철판을 이용하 여 석고 물을 부어줄 벽을 만들었다.

이렇게 하나씩 하나씩 구분 짓고 붓 고 다듬고를 반복하여 총 6피스로 석 고 틀을 제작하였다. 이 틀도 마찬가 지로 추후에 틀을 1세트 더 만들어줘 서 총 2세트의 틀로 작업의 속도를 향상시켰다.

3. 인형 몸통 틀 제작과정 (2)

설명 이미지

- 두 번째 원형을 통해 석고 틀 제작을 시작하였다. 첫 번 째 원형에 비해 높이가 낮아서 부드러운 유토를 높이 쌓아서 영역을 구분 지어주었다. 원형 의 디테일함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몇 번의 실패과정과 공정 을 거쳐야 했다. 실패의 과정 을 통해 최대한 깔끔하게 석고 틀을 제작할 수 있었다.

- 두 번째 석고 틀은 총 5피스 로 구분되어 1세트를 이루었 다. 하지만 이 틀에서 조금 다 른 점은 밑면의 틀을 두 가지 버전으로 만들어 주었다. 밑면 의 틀을 두 가지로 만들어 준 이유는 하나는 화병의 용도, 또 하나는 조명의 용도로 구상 했기 때문이다. 밑면의 틀을 다르게 구성해줌으로서 1세트 에서 두 가지 작품을 만들어내 는 효과를 가져왔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5-7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