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행연구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3-36)

청년 취업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를 알아보기 위해 청년을 대상으로 취업 영향 요인을 연구한 대표적인 5편을 선행연구로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는 다음과 같다.

이승희(2019)의「운수업 대졸 신입직원의 이직요인 분석연구」에 관한 연구에서는 대졸 청년 취업 영향 요인으로는 개인특성(성별, 연령, 혼인상태, 학교유형), 조직 특성(노동조합 유무, 주당 정규근로일, 주당 정규근로시간, 주당 초과근로시간, 월 평균 근로소득), 직무만족도(임금, 일하는 시간, 인간관계, 고용안정성, 개인발전 가능성, 근무환경, 전공일치, 전공지식 도움)에서 운수업종사자에 의한 상용근로자의 경우 개인특성 중 혼인상태, 직무만족도 중 인간관계, 전공일치 요인들이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승훈(2014)의「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에서

사회적 배경(가구주와의 관계, 가구주의 성별, 가구주의 교육정도, 가구주의 혼인 상태, 거주지역, 가구구분), 청년층의 인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정도, 혼인상태), 청년층의 취업관련 특성(학교교육 외 교육훈련경험, 정규교육 중 취업경험, 최종학교 졸업중퇴 후 취업횟수),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전환 과정(니트족 여부, 구직니트족 여부, 구직희망니트족 여부, 첫 일자리의 안정성 여부, 현재 일자리의 안정성 여부)가 요인으로 선정되었다. 그 결과 청년층의 현재 또는 최근 일자리의 안정성 여부에 청년 층의 사회적 배경, 인적 특성, 취업관련 특성이 모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성별, 교육정도 등의 인적특성이 큰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김진주·조민효(2016)의「대졸 미취업자의 노동시장 이행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에서는 변수로 크게 4가지 변수인 인구통계학적 변수(나이, 성별, 최종학력), 가구 변수(부모 최종학력, 가구 월평균 소득), 대학생활 변수(수능성적, 전공계열, 복수전공, 휴학, 아르바이트 횟수, 국가고시, 학교 소재지), 졸업전 구직변수(취업 노력, 해외연수, 취업 사교육, 진로상담, 직업훈련, 희망 연봉, 직장체험, 정보 취득 경로, 자격증 개수)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니트형은 구직행위의 적극성이 노동시장 진입에 성공 여부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미취업자의 경우에는 졸업 전과후의 구직 노력이 노동시장 성과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정호 외(2005)의 청년고용형태 전환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청년 취업자에 관련된 영향 요인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성, 연령, 교육수준, 가구원 수, 가구주여부, 결혼 상태), 직무 관련 변수(구직경험의 공식화, 직무만족정도, 직무적절성 정도, 평생직장 에 대한 인식 여부, 이직의사여부), 직업관련변수(근무시간, 직장규모, 직장형태, 평균임금)를 설정했으며 청년 취업자의 노동이동 및 고용형태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청년의 안정된 고용 형태를 유지 할 유의미한 변수는 성(여성), 가구주여부(가구주), 가구원수, 평생직장 여부, 근무시간, 직장규모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청년계층의 고용불안정의 문제가 심각하며 여성 실업자의 비중이 25세에서 29세 사이에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민주(2017)의「대졸청년층의 이직실태와 이직의도 분석」에 관한 연구에서는 대학 소재지와 취업목표설정시기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선정하여 두 요인이 개인-직무만족과 일자리 질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이직 의도 간의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졸 청년층의 이직이 근로형태에 미치는 효과는 크지 않았다.

<표 2-2> 대표적인 청년 취업에 관한 연구

연번 연구자와 연구구분 지역 비교 영향 요인 비고

1

이승희(2019) 운송업 대졸 신입직원의 이직요인 분석 연구

전문대학, 4년제 대졸자

성별, 연령, 혼인상태, 대학유형, 노동조합유 무, 주당 정규근로일, 주당정규근로시간, 주당 초과근로시간, 월평균 근로소득, 임금, 일하는 시간, 인간관계, 고용안정성, 개인발전 가능 성, 근무환경, 전공일치, 전공지식도움

2

한승훈(2014) 청년층의 노 동시장 진입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에 관한 연구

청년

사회적 배경(가구주와의 관계, 가구주의 성별, 가주구의 교육정도, 가구주의 혼인상태, 거주 지역, 가구구분), 청년층의 인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정도, 혼인상태), 청년층의 취업관 련 특성(학교교육 외 교육훈련경험, 정규교육 중 취업경험, 최종학교 졸업중퇴 후 취업횟 수),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전환과정(니트 족 여부, 구직니트족 여부, 구직희망니트족 여 부, 첫 일자리의 안정성 여부, 현재 일자의 안 정성 여부)

3

김진주·조민효(2016)대졸 미취업자의 노동시장 이행 유형 분석: 집단중심추세분 석을 중심으로

청년실업

인구통계학적 변수(나이, 성별, 최종학력) 가구변수(부모 최종학력 , 가구 월평균 소득) 대학생활 변수(수능성적, 전공계열, 복수전공, 휴학, 아르바이트 횟수, 국가고시, 학교 소재 지), 졸업전 구직 변수(취업 노력, 해외연수, 취업 사교육, 진로상담, 직업훈련, 희망 연봉, 직장체험, 정보 취득 경로, 자격증 개수)

4

반정호 외(2005)청년 취업 자의 노동이동 및 고용형태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에 관한 연구

청년

인구사회학적변수(성, 연령, 교육수준, 가구원 수, 가구주여부, 결혼상태),직무관련변수(구직 경로의 공식화, 직무만족정도, 직무적절성 정 도, 평생직장에 대한 인식 여부, 이직의사 여 부), 직업관련변수(근무시간, 직장규모, 직장 형태, 평균임금)

5

이민주(2017) 대졸청년층의 이직실태와 이직의도 분석:

GOMS를 활용한 대학소재지 와 취업목표설정시기 요인 효과를 중심으로

대졸 청년 성별, 전공계열, 대학소재지, 취업목표 설정 시기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3-3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