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배경

5. 선행연구 고찰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국제 비교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는 지표가 되기도 하므로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그 에 따라 교과서분석 연구는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연구되어지고 있다.

초등학교 자연과 교과서에 반영된 STS 교육내용 분석(황경하, 1996)에서 는 교과서에 반영된 STS 교육내용 비중분석 및 STS 교육의 목표 수준별 분석, 내용영역별 분석, 주제유형별 분석, 활동 유형별 분석을 통해 우리나

라 자연교과서 속의 STS 교육내용이 전체적인 비중이 낮으며 각 지식영역 에 포함된 내용의 비중이 고르지 못함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중학교 과학교과서를 연구한 것을 살펴보면, 중학교 과학 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실험 및 관찰 탐구활동 내용에 대한 교과서 비교 연구 (심규철 외, 2001)에서는 중학교 교과서 안에 36개 요소의 실험 및 탐구활 동이 있는 것을 분석하고 그 실험 및 탐구활동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문 제점을 지적했고, 중학교 과학교과서 체제와 내용에 관한 연구(김현수, 1997)에서는 현행 교육과정 8종의 과학 교과서 외형적 체제와 내용 구성 방식에 대해 외국 과학교과서의 체제와 비교 분석하였다.

한편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3, 4학년 자연교과서 비교 분석(백승민, 2000)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 속의 내용영역별 분석, 삽화의 종류와 역할 분석 등을 통해 두 나라의 교과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 여 한국의 교과서가 지나치게 탐구과정에 치우친 것을 문제점으로 지적하 였다. 그리고 한국과 일본의 5학년 과학교과서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한국이 탐구과정 요소가 일본의 3배 정도로 많아 보다 활동 중심이라는 결론을 얻 고 있다(김효남, 이영미, 1995).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삽화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저학년일수록 시각적 인 정보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삽화는 내용에 못지 않게 교육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우종옥 외, 1992). 한국과 일본의 삽화를 비교한 결과 삽화개발 방향으로 삽화수가 좀더 많아져야 하고, 사진의 모 양을 좀더 다양하게 제작해야 하며, 실험안내 삽화는 삽화의 수에 구애됨 이 없이 실험과정의 중요한 단계를 제시하여야 하고 사진의 소재는 아동과 친밀한 실생활 속에서 찾는 것이 동기유발에 유리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 다(박시현, 1993).

최도성, 강문주(1992)는 ‘초등학교 교재 식물에 관한 분석적 연구’에서

‘활용 빈도, 도감류와 교과서간 명칭의 차이, 타 교과와 자연 교과간 명칭 의 차이, 초등학교에서의 식물 분류체계의 문제점 및 새로운 제시’ 등을 연 구․보고하였다.

김찬종, 진재호(1993)는 ‘한국과 일본의 자연(Ⅰ)교과서 비교 분석-1학년 을 중심으로-’에서 동․식물을 종 수 비교, 학년 학기간 생물 자료에 대한 분배의 문제점, 활용 빈도의 분석에서 지속적인 관찰을 위한 자료의 중복 필요성, 학생들이 주위에서 쉽게 대할 수 있는 자료, 현상에 대하여 직접 보고 탐구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 개념의 양뿐만이 아닌 연관성에 중점을 둘 것을 제6차 교육과정 개편에 제안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살펴보면 교과서 분석연구는 교과서 자체의 외형적 체제 및 목표, 내용분석, 삽화분석과 더불어 생물 자료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으 며 분석영역을 달리하거나 교과목별, 시대별로 반복된 방법을 적용하여 다 음 교과서 제작에 도움을 주거나 교과서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하는데 도 움을 주고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