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Ⅰ. 서론

3. 선행연구 고찰

우리 나라에서 GIS 및 수치지도라는 어휘가 상용하기 시작한 것은 국가 기본도가 수치지도로 구축되어 활용한 것이 최근의 일이기 때문에 지리 교 육에서 이를 활용한 선행 연구와 참고 자료가 많은 편이 아니다. 지금까지 주로 GIS나 수치 지도가 연구된 분야는 지리학 분야보다는 지도 제작을 직 접 담당하는 토목공학과 등 이공계 전문가들에 의해서 이루어져왔다.

1960년대 이후 컴퓨터 산업 발전과 컴퓨터 이용은 여러 학문 분야에 많이 접목되었다. 특히, 1980년대 이후의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과 1990년대 인터 넷의 출현은 다양한 변화의 속도를 가속화시켜 지리학과 지리 교육에서의 컴퓨터 활용 연구도 이 때부터 시작되었다.

김인과 유근배(1990)는 우리 나라에 처음 소개되기 시작한 GIS에 관한 개 념과 필요성을 밝히고 컴퓨터 기술의 전반적인 향상으로 앞으로의 가능성을 예측하였고, 운용 가능한 하드웨어 및 PC ARC/INFO, IDRISI 등의 소프트 웨어를 안내하였다. 성효현(1992)은 GIS를 이용한 연구사례로 서울시 선사 문화자원 분포 예측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컴퓨터 처리용량과 속도 증가에

따른 지도제작에 필요한 통계자료 입력과 자료 분석 및 Lotus, Atlas Draw,

(2001)는 지리교육에서 GIS Tool을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실제 수업에 활용 하는 방안 분석하였으며, 유병성(2000)은 ArcView를 사용하여 실제로 GIS 지도를 제작하고 수업을 전개하여 지리수업에서 성취도 비교 분석을 통해 GIS 활용 효과를 제시하였고, 남혜숙(2002)은 중학교에서 사회과 지도 수업 을 위한 수치지도 활용 가능성을 부산지역 금정산 지역을 중심으로 고찰하 였다.

위와 같이 선행 연구동향을 분석해 본 결과, 우리 나라에서 GIS의 수업에 의 적용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며, 아직도 GIS에 대한 이해 정도와 활 용도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특히, 교육현장에서 GIS의 기능을 습득하고 활용하는 사례 연구 매우 적은 편이다. 최근의 수업 사례 연구도 대부분 고 등학교에 편중되어 있고, 지역적으로는 수도권이나 대도시에 관심이 집중되 어 있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중고등학교 과정에서 밀도 있는 지역학습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GIS 활용 수업 도입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교사의 GIS에 대한 이해도 부족 과 정보 공유 차원을 감안할 때 학교 현장에서 쉽게 적용 가능한 GIS 활용 지리 학습자료 개발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