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행연구 검토

문서에서 축산물 수출시장 확대 방안 (페이지 16-19)

2.1. 수출 품목별 연구(돼지고기)

정찬길(1996)은 일본으로 돼지고기를 수출하는 국가들의 부위별 가격을 비교 분석하였다. 일본 시장이 우리나라가 돼지고기 수출증대를 위한 지리 적․경제적 최적지임을 지적하고, 수출증대를 위해 축산물종합처리장, 종 돈장, 사료공장, 사육농가의 일관관리 체계를 통한 수출업체 중심의 생산 기반 조성의 중요성을 지적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전후지 등의 부위 처리를 위해 대규모 급식업체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육가공 제품 소비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일본 내에서 의 한국 돼지고기 상표인식과 소비확대를 위한 소비 홍보활동 강화의 필요 성을 언급하였다.

곽영태(2005)는 몽골 현지 및 문헌조사를 통해 몽골로의 국내 돼지고기 수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국내 비선호 부위 해결을 위해 몽골을 주요 수 출대상국으로 선정하고 지속적으로 수출물량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몽골은 돼지고기 생산량이 부족하며 다른 축종에 비해 돼지고 기의 가격이 비싼 편에 속한다.

곽영태(2006)는 필리핀에서 소비되는 육류 가운데 돼지고기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기후여건이 돼지사육에 불리하고, 생산기술도 낙 후되어 있어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우리나라는 1998년 돼지고기 4,531톤을 필리핀에 수출한 이후, 지금은 주로 비선호 부위와 부산물 중심으로 수출을 하고 있다. 국내 돼지고기 가 격 측면에서 볼 때, 부분육의 필리핀 수출은 매우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였

으며, 국내 양돈업이 불황에 빠질 경우를 대비해서 수출물량의 지속적인 확보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국내산 돼지고기의 러시아 수출 여건에 대한 농수산물유통공사(2008)의 조사에서는, 러시아 내 경쟁 국가들에 비해 한국산 돼지고기의 가격 경쟁 력이 낮음을 지적하고, 가공용 냉동육 중심의 제품군으로는 더 이상 수출 확대가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특히 러시아는 돼지고기 수입쿼터제를 운영하고 있는데, 쿼터 배분 국가분류에 있어 한국은 기타국가로 분류되어 쿼터 확보에 애로사항이 있다고 언급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러시아 시장은 수출시장으로서의 매력이 상실되어 있음을 피력하였다.

2.2. 수출 품목별 연구(닭고기)

농수산물유통공사(2002)는 가금육류 수출대상국으로 일본과 홍콩을, 수 출경쟁국으로 태국과 중국을 지목하고 대상국과 경쟁국들의 닭고기와 오 리 고기 생산 및 유통 동향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출대상국의 현 지 수입통관제도 및 시장 진출방안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

육류유통수출입협회(2008)는 주요 가금산물 생산국가인 EU, 프랑스, 폴 란드, 브라질, 중국 등의 계육산업과 영국, 프랑스, 대만, 중국의 오리산업 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국내 가금산업의 경쟁력이 낮은 수준 이며, 수출을 위해서는 품질과 생산비 절감 노력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김정주(2009)는 일본, 대만, 홍콩, 싱가포르, 호주 등의 교민과 현지인을 상대로 삼계탕 가공품 수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미국의 경우 현지 교민 을 대상으로 삼계탕 구입의향을 조사하였으며, 현지 거주민들의 선호에 부 합하는 제품의 개발과 홍보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2.3. 수출 품목별 연구(낙농품)

조석진(2009)은 국내 원유수급 불균형 해소 방안의 일환으로 중국으로의 유제품 수출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한 후, 중국의 유제품시장 조사를 통해, 보따리상이 주도하는 수출, 교민 대상의 유제품 수출, 한국 유업체의 밀어내 기식 수출, 시유 중심의 수출 등이라고 지적하였다. 중국으로의 수출증진 방 안으로는 유제품 수출을 총괄적으로 관리, 감독할 수 있는 제도적 시스템 구 축, 대리점의 체계적인 육성을 통한 중국 소비자 공략, 중국 소비자의 유제품 소비 행태 조사 분석, 다양한 제품의 수출 확대 등을 제시하였다.

양장석(2009)은 중국의 통계자료 수집과 시장조사를 통해 중국의 유제품 시장 현황, 중국인들의 유제품 소비성향, 한국 유제품의 중국 진출 시 애로 사항과 진출 전략을 제시하였다. 문제점으로는 한국산 유제품이 한국계 마 트 및 식품점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보따리상 등 비정 상적인 경로를 통해 중국으로 유입되고 있는 것 등을 언급하였다. 또한 중 국으로의 한국 유제품 수출확대를 위해서 대형 및 고급 매장 중심의 유통 망 구축, 고급 브랜드 이미지 유지, 정상적인 루트에 따른 수입 및 유통, 일관된 가격 정책,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시장구축 및 생존 전략 수립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오상목(2009)은 서울우유 유제품의 중국, 몽골, 베트남, 미국 등의 해외 진출 사례를 소개하였다. 특히 중국 유제품 시장에 초점을 맞춘 시장 현황, 수출 추진 시의 애로사항, 수출 대응전략 등에 대해 기술하며, 중국의 수출 대응전략으로 중국 내 대리점 조직 구축 및 활성화, 전 대리점 저장고 및 냉장 장비 완비, 현지 유제품과의 맛·품질 차별화, 멸균유 판매, 부유층 공 략, 광고 및 홍보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2.4. 수출 경쟁력 관련 연구(중국 축산물)

喬娟(2001)은 중국 6개(생축, 육류, 우유류, 계란류, 천연벌꿀, 양모) 축산

류를 현시비교우위지수(RC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일부 품목 만을 제외하고는 수출 경쟁력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비 교우위 품목 또한 전반적으로 낮아지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문서에서 축산물 수출시장 확대 방안 (페이지 16-1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