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와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1) 교육부(2014),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 우수사례집. 김진백(2015), 상호적 동료 교수-학습이 수학 학업성취와 수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쪽에 서 재인용.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에서 높은 학업성

하여 밝히고자 한다.

2. 연구 문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2학기 수학 ‘규칙성’ 영역에 함께배움 학습 을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함께배움 학습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 학업성취도 검사 및 수학 학습 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함께배움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에 관하여 살펴보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하 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초등학교 수학 ‘규칙성’ 영역에 함께배움 학습을 적용하였을 때 초등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둘째, 초등학교 수학 ‘규칙성’ 영역에 함께배움 학습을 적용하였을 때 초등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3. 용어의 정의

가. 함께배움

4)

본 연구에서 말하는 함께배움은 일본 교육 혁신의 일환으로 문부과학성이 권장하고 있는 수업인 액티브 러닝으로서 학습자가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 하는 수업을 말한다. 함께배움은 기본적으로 수업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수업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이를 위해 학생 본인의 주 체적인 배움에 집중한다. 이러한 주체적인 학습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함 께 학습하는 학급 친구들과의 상호작용이며, 다양한 수준을 지닌 학급 친구 들과 학습 내용에 대한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주체적이며 협동 적인 학습이 일어나고 궁극적으로 학급 전원이 이해하는 수업을 실현할 가 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함께배움의 관점이다.

동시에 함께배움은 교과학습을 통한 인성교육 효과에도 주목한다. 함께배 움으로 교과내용을 학습하는 동안 교실 속 친구들과 다양한 만남이 이루어 지고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장차 사회 구성원으로서 함양해야 할 대인관계 기술을 습득하고 유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날마다 정보가 폭발 적으로 증가하는 복잡한 현대 사회에서 불가피한 다른 사람의 능력을 빌리 고 자신의 능력을 빌려주는 경험을 학급에서 미리 해봄으로써 함께 살아가 4) 니시카와 준(2017), 함께배움 이렇게 시작한다, 살림터

는 사회의 모습을 이해하고 보다 성숙한 민주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 회를 자연스레 얻을 수 있다.

나. 수학 학습 태도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2학기 수학 ‘규칙성’ 영역에 함께배움 학습을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 학습에 대한 정 의적 태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수학 학습에 태도는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를 말하며 본 연구에서 는 한국교육개발원(1992)에서 개발한 수학 학습 태도 검사 도구의 세 가지 영역으로 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수학 교과에 대한 자아 개념, 수학 교과에 대한 태도, 수학 교과에 대한 학습 습관이 바로 그것이다. 또한 세 영역에는 하위요인이 존재한다. 우선 수학 교과에 대한 자아 개념에는 우월감-열등감, 자신감-자신감 상실 요인이 있다. 다음으로 수학 교과에 대한 태도에는 흥미 -흥미 상실, 목적 의식-목적 의식 상실, 성취 동기-성취 동기 상실 요인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수학 교과에 대한 학습 습관에는 주의 집중, 자율 학습 (능동적 학습), 학습 기술 적용(능률적 학습)의 하위 요인이 있음을 밝힌다.5)

4.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은 제한점을 지닌다.

첫째, 본 연구는 제주 지역의 D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 28명을 연구 대 상으로 설정하여 수행하였다. 적은 수의 표본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제한점이 있을 수 있으며 지역, 학교, 학 년 및 성별 등에 따라 연구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2학기 수학 ‘규칙성’영역의 ‘5. 정비례와 반비례’ 단원에 함께배움 학습을 적용하여 수행하였기 때문에 초등학교 수학 과 모든 영역에 대하여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5) 한국교육개발원(1992),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수학 교육 평가 체제 연구(Ⅲ): 수학과 평 가 도구 개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