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살아가고 있는 청소년들은 사이버 세계의 도래로 인 해 과거에 상상하지 못했던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다양한 분야의 필 요한 정보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고, 굳이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도 여러 장르의 동영상을 즐길 수 있으며, 폭 넓은 관계를 통한 의사소통을 하면서 카페나 동아 리 활동 등의 취미 활동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 여성가족부 에서 실시한 ‘2016년 청소년 인터넷 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 결과’에서 제주 지 역 청소년 중 위험 및 주의 인터넷 과다 사용자가 2015년 9.89%에서 2016년 10%로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국 평균에 비해 2015년에는 2.45%, 2016년 2.09% 보다 높게 나왔다. 또한 위험 및 주의군 스마트폰 과다 사용자는 2015년 14.82%에서 2016년 12.49%로 개선됐지만, 전국 평균에 비해 2015년 3.34%, 2016년 2.4% 높은 수치를 보였다(여성가족부, 2016). 이순래(2010)는 휴대 폰, 컴퓨터, 인터넷 등은 청소년들 생활의 필수 도구이며,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 이 사이버 세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종원(2016)은 사이버 세계가 비대면성, 익명성, 시ㆍ공간적 무제한성, 가상현실 등의 특성으로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에 해를 끼치는 위해 환경일 수도 있다는 부정적인 측면을 지적하고 있다(이종원, 2016).

최근 들어 대부분의 중학생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되면서, 문자메시지나 메 신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이용한 Cyberbullying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이창호, 신나민, 2014). 주변에 청소년의 Cyberbullying으로 인해 고통 받다가 견디지 못한 나머지 극단적인 선택하는 사건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2011년 12월 대구의 한 중학생이 같은 반 친구로부터 물고문, 폭행, 언어적 폭력, 금품 갈취 이외에도 스마트폰을 통해 지속적인 괴롭힘을 당했다며 유서를

남기고 자살을 선택했다(한겨레신문, 2011. 12. 23). 2012년 8월에도 한 여고생이 복적이고 지속적으로 해를 가하는 행동으로(Belsey, 2006; Patchin, & Hinduja, 2006, Willard, 20006; 김은경, 2012) 학교 폭력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

있다(백문숙, 2015). 관계적 공격성은 다른 공격성 유형과는 다르게, 사회적 관계 2012; Tiet, Wasserman, Loeber, McReynolds, & Miller, 2001). 관계적 공격성은 내현화 문제를 일으키며(Marshall, Arnold, Rolon - Arroyo, & Griffith, 2015), 심 리 사회적 부적응과 많이 관련되기 때문에(Card, Stucky, Sawalani, & Little,

하는 과정이라고 하고, Hoffman(1984)은 공감이 자신의 상황보다 타인이 처한 상황에 부합하는 정서적 반응이라고 하였다. 공감은 여러 가지 친사회 행동, 도 덕 행동, 이타 행동, 협동성, 대인 관계 능력과 높은 정적 상관이 있고(Eisenberg

& Miller), 공격인 행동과는 부적 상관이 있다(Eisenberg, 2000). 이처럼 청소년들 이 높은 수준의 공감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점은 관계적 공격성과 Cyberbullying 경향성의 부적절한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 공감 능력 및 Cyberbullying 경향성 간의 경로 및 상관관계에 대해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한 검증을 하고, 더 나아가서 일일 컴퓨터 사용 시간 및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연구 모델의 경로별 조절 효과에 있어 유의미한지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중학생의 Cyberbullying에 대한 예방 교육과 연구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사회적으로 대두 되고 있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근본적인 문제 원인을 밝히고, 파생되고 있는 심각 한 문제 현상들에 실질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연구 문제

본 연구는 관계적 공격성, 공감 능력 및 Cyberbullying 경향성의 관계적 구조 를 확인하고, 컴퓨터 사용 시간 및 스마트폰 사용 시간의 다중 집단 분석을 통한 조절 효과 검증을 위한 것이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 공감 능력 및 Cyberbullying 경향성은 구조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 문제 2.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이 Cyberbullying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에서 공감 능력은 매개 효과를 지니는가?

연구 문제 3.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 공감 능력 및 Cyberbullying 경향성의 구조적 관계는 컴퓨터 사용 시간 및 스마트폰 사용 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