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요즘 아동들은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표현하는데 거리낌이 없 는 반면, 이를 적절히 조절하는데는 능숙하지 못하다. 한참 재미있 는 컴퓨터 게임이나 채팅도 시간이 지나면 끝낼 수 있어야 하고, 기 분 나쁜 일도 때로는 잊어야 하며 기분이 좋아도 장소와 상황에 맞 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런 자기조절력이 부족한 아동 들은 충동적이고 부정적인 행동을 억제하지 못하여 또래 관계 뿐 아니라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과도한 인터넷 사용과 같은 중독적 상황에 쉽게 빠져드는 경향이 있다.

현재 우리 나라는 52.3%가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연령별 인 터넷 사용자 중 10대 이용자가 81.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정보통 신부, 2001. 4. 16). 특히 초고속 정보통신망의 구축을 통해 시간과 장소를 초월하여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했을 뿐 아니라 우리의 삶을 발전시키고 풍요롭게 하는데 많은 긍정적인 역 할을 담당해 왔다. 하지만 이런 인터넷이 가지는 무한한 정보와 시 공을 초월한 연결망은 높은 중독적 특성을 안고 있어 우리 학교, 가 정에서의 아동들을 위협하고 있다. 인터넷 중독에 빠진 아동의 경우 학교 생활이 대부분인 낮에는 졸거나 수업시간에 집중을 하지 못하 는 경향이 있는가 하면 또래 친구들의 어울리는 횟수와 말수도 줄 어드는 현상을 보인다.

Kraut(1998)는 인터넷이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사람들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기는 하나 이것이 사회활동을 대치함으로

써 사회적 참여를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녕을 위협한다고 경고한다.

윤재희(1998)는 인터넷 중독은 개인의 심리적 상태에도 부정적 영 향을 미치고 고독감과 우울감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고 송명준, 권정혜(2001)는 인터넷 중독자들은 전반적 생활 능력이 떨 어진 상태이고 학업이나 친밀한 대인관계, 정서, 애착, 적응에 어려 움을 느끼면서 올바른 사회적 상황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고 밝혔다. 이처럼 인터넷 중독의 심각성이 부각됨에 따라 문제점들 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권정혜(2001)는 인터넷 중독에서 회복되는 과정은 일순간에 이루어 지지 않고 개선과 재발의 과정을 반복하며 어렵게 성취되는 과정으 로, 만일 어렵게 이룬 사용조절이 깨졌다해도 일단 자기 조절을 해 본 사람은 다시 그 과정을 헤쳐나가기가 쉽다고 밝힌다. 인터넷을 시작하는 초기부터 인터넷 중독의 위험을 인식하고 인터넷을 조절 하면서 사용하는 습관을 키우는 예방적인 노력이 인터넷 중독을 줄 이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한다.

송원영(1998)은 자기조절력이 높은 사람은 가상 공간의 즉각적인 만족과 더불어 현실세계에서의 많은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다 시 현실생활의 업무와 대인관계를 튼튼하게 지속시키고 현실생활에 서의 효능감을 높이려고 노력한다. 반면, 자기조절력이 낮은 사람은 가상공간의 즉각적인 만족에 계속하여 집착하게 되고 결국 자신의 적응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이르게 된다고 밝힌다. 그리고 인터넷을 중독적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부족한 자기 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자기 조절(self-regulation) 요소 인 기록지 작성이나 목표 설정을 통한 자기 관찰, 현실생활과 가상 공간, 자신의 목표 수행에 대한 자기 평가 등의 방법을 적용할 필요

가 있다고 제언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설정된 목표에 따라 자기를 관찰, 평가, 강화 할 수 있는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투입함으로써 아동 의 인터넷 중독을 완화시키는데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있 다.

2. 연구 문제 및 가설

본 연구에서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인터넷 중독 감소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 음과 같다.

1.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의 인터넷 중독을 감소시킬 것인가?

2.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인터넷 중독의 하위 요인인 심리 적 요인, 신체적 요인, 행동 및 사회적 요인, 대인관계 요인에 어 떤 효과가 있는가?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를 구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 을 설정하였다.

가설 1 :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 집단은 상담 실시 전 인터넷 중독 총 득점과 실시 후 총 득점간에 유의 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은 받지 않 은 비교집단보다 인터넷 중독 하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 를 보일 것이다.

2-1 : 인터넷 중독 하위 영역인 심리적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2-2 : 인터넷 중독 하위 영역인 신체적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2-3 : 인터넷 중독 하위 영역인 행동 및 사회적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2-4 : 인터넷 중독 하위 영역인 대인관계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 가 있을 것이다.

3. 연구의 제한점

첫째, 제주도내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연구 대상으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전국적인 범위로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 다.

둘째, 본 연구 결과의 해석은 검사지를 통한 질문지법에 의존하였 기 때문에 집단 상담 과정에서의 아동들의 행동 변화와 주관적 내 면 세계를 이해하고 평가하는데 한계가 있다.

셋째, 관찰, 면접, 비디오 활용 등의 복합적이고 포괄적인 자료 수 집에 제한점이 있다.

넷째, 단 한번의 연구로 프로그램의 지속 효과가 얼마나 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