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의 필요성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는 매년 증가 하여 2010년에는 연간 응급실 이 용자수가 천만 명을 넘었으며 응급실 이용 환자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 다.(응급의료통계연보, 2014). 또한 환자 수 증가에 따른 중증 응급환자와 비응급환자의 수가 같이 증가하고 있어 응급실 의료진의 업무가 과중되고 복잡해지고 있다(김복자 등, 2006; Mary, Cheryl, Charolyn & Karen, 2004). 응급실은 다양한 질환의 환자가 내원함에 따라 간호에 대한 다양 하고 높은 요구 및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중증 환자의 증가에 따 른 전문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하는 대상자도 증가하고 있다. 응 급실에는 여러 직종이 같이 협동하여 환자 진료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그 중 응급실 간호사는 환자를 가장 먼저 접하는 의료진이고 가까이에서 관 찰 및 처치를 수행하므로 간호사의 역할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김희 정, 2006; 이승희, 2008).

응급간호는 응급환자의 특성과 간호 제공 환경 및 응급 간호에 필요한 특수한 지식과 기술 때문에 다른 간호 분야에 비해 독특하다.(김광주, 1994). 응급실 간호사의 업무는 간단한 활력징후 측정부터 투약, 교육 등 의 일반적 간호업무에서부터 중증도 분류, 중증 응급환자 관리의 전문적 간호업무까지 다양하며(김복자 등, 2006) 응급실 내에서도 구역별로 업무 의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간호 업무 측정 시 구역별로 다른 방법을 이용 하여 업무량을 산출 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Rossetti A.C., Gaidzinski R.R, 와 Fugulin F.M., 2013)

소생실은 중증응급환자에게 심폐소생술 및 응급처치를 위한 공간으로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응급실에는 소생실이 있어야 한다고 규정

간호활동을 분석하기에는 차이가 있다. 또한, 응급 전문 간호사의 직무 개 발과 직무 수행에 관한 연구(이현심, 2004; Considine J, Martin R, Smit D, Jenkins J & Winter C., 2006)가 수행되었으나 응급전문 간호사의 전 반적 역할과 업무에 대한 분석만 하였을 뿐 소생실 업무 혹은 중증응급환 자 간호에 대한 업무에 대한 분석은 없었다.

이처럼 응급간호 업무 분석에 대한 연구는 응급실에서 이루어지는 전반 적인 간호업무가 대부분으로 소생실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간호 업무에 대한 분석은 미비하다. 그러므로 소생실이라는 한정되고 특 수한 공간에서 제공되는 응급 간호 업무에 대한 수행 실태를 확인하여 환 자 간호의 우선순위 설정과 간호 수행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생실 이용 환자의 특성을 분석하고 간호 업무 수행을 파악하여 소생실 내 응급간호의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 중증 응급 환자 간호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내 소생실 이용 환자의 특성 및 소생실 내에 서 수행되는 응급 간호 업무를 파악하여 응급 간호 교육 및 소생실 전담 간호사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며, 이를 통한 소생실 내 간호 행위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응급간호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구체적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소생실 이용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소생실 이용 관련 특성을 파악한 다.

2) 소생실내 응급 간호 영역 별 업무 수행 빈도를 파악한다.

3) 소생실내 응급 간호 행위 별 업무 수행 빈도를 파악한다.

3. 용어의 정의

1) 소생실

소생실은 응급의료센터 내에서 즉각적 소생이 요구되는 응급상황이나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에 대비하는 중증환자 집중치료의 중심 장소이다(Ashis 와 Chris, 2007).

2) 응급간호

응급간호는 대상자에 대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긴급 또는

비응급한 상황을 사정하여 진단, 처치하며 응급환자의 중증도 분류와 우 선순위를 결정하고 재난준비를 하는 것이며 안정, 소생술 위기중재 및 통 제되지 않거나 준비되지 않은 환경에서 간호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MacPhail, 1992; ENA, 1991).

본 연구에서의 응급간호는 소생실에서 수행되는 간호행위로 김복자 등 (2006)이 개발한 응급실 간호사 업무 분석 도구로 측정한 간호행위를 말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