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상대습도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9-147)

2. 상대습도 분석

여 중국 황토고원 일대에 10 % 이하의 상대습도를 나타냈다(Fig. 38(i)). 이 후 상 대습도는 5월 1일 21 KST에는 발해만과 산동반도 지역으로 이동하여 건조한 상대 습도가 나타났고(Fig. 38(p)), 2일과 3일 건조한 상대습도가 우리나라에 점차 유입 되어 4일 우리나라 서해상과 중부지역에 30 % 이하의 상대습도가 분포하였다(Fig.

38(z1)).

Case 3의 1000 hPa 면에서 나타난 상대습도의 분포는 5월 10일 03 KST에 내몽 골 고비사막 부근에서 10 % 이하의 건조한 상대습도 지역이 나타났고 황사 입자 가 부유 했을 것으로 판단되었고(Fig. 39(a)), 실제 이 지역의 에르덴과 놈곤의 황 사감시기상탑의 PM10 농도는 각각 3,000 ㎍m-3 , 1,500 ㎍m-3 이상의 황사 발원량 이 관측되었다. 황사가 발원한 10일 21 KST에서는 상대습도가 분포가 점차 확대 되어 몽골 남부 지역과 중국 북부지역 일대에 10 % 이하의 건조한 지면 상태가 나타났고(Fig. 39(d)), 11일 15 KST에 중국 산동반도와 우리나라 서해상으로 건조 한 상대습도가 유입되었다(Fig. 39(g)). 12일 21 KST에는 중국 중부지방에 건조한 상대습도가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Fig. 39(l)), 13일 21 KST에 우리나라 주 변에는 30 % 이하의 상대습도가 분포하였다(Fig. 39(p)).

2011년 봄철 3개 사례의 1000 hPa 면의 상대습도는 황사감시기상탑이 위치하고 있는 몽골 남부지역에 상대습도가 10 % 이하로 상당히 건조한 상태를 나타내어 황사가 발원하기 좋은 건조한 지표 상태를 나타냈고 황사 일기도에서도 몽골 남부 지역에 황사가 발원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우리나라에 황사가 관측된 시간대에는 상대습도가 30 % 이하로 건조한 대기상대를 나타냈고, 황사가 발원할 때는 강풍과 함께 건조한 대기가 유입되어 습도가 낮아지는 특징을 보인다고 했다 (Zhang and Iwasaka, 1999).

(a) 2011. 3. 17. 03 KST (d) 2011. 3. 17. 21 KST

(b) 2011. 3. 17. 09 KST (e) 2011. 3. 18. 03 KST

(c) 2011. 3. 17. 15 KST (f) 2011. 3. 18. 09 KST

Fig. 37. Analyses of relative humidity (%) at 1000 hPa from 17 to 22 March, 2011.

(g) 2011. 3. 18. 15 KST (j) 2011. 3. 19. 09 KST

(h) 2011. 3. 18. 21 KST (k) 2011. 3. 19. 15 KST

(i) 2011. 3. 19. 03 KST (l) 2011. 3. 19. 21 KST

Fig. 37. Continued.

(g) 2011. 3. 20. 03 KST (j) 2011. 3. 20. 21 KST

(h) 2011. 3. 20. 09 KST (k) 2011. 3. 21. 03 KST

(i) 2011. 3. 20. 15 KST (l) 2011. 3. 21. 09 KST

Fig. 37. Continued.

(g) 2011. 3. 21. 15 KST (j) 2011. 3. 22. 09 KST

(h) 2011. 3. 21. 21 KST (k) 2011. 3. 22. 15 KST

(i) 2011. 3. 22. 03 KST (l) 2011. 3. 22. 21 KST

Fig. 37. Continued.

(a) 2011. 4. 28. 03 KST (d) 2011. 4. 28. 21 KST

(b) 2011. 4. 28. 09 KST (e) 2011. 4. 29. 03 KST

(c) 2011. 4. 28. 15 KST (f) 2011. 4. 29. 09 KST

Fig. 38. Analyses of relative humidity (%) at 1000 hPa from 28 April to 4 May, 2011.

(g) 2011. 4. 29. 15 KST (j) 2011. 4. 30. 09 KST

(h) 2011. 4. 29. 21 KST (k) 2011. 4. 30. 15 KST

(i) 2011. 4. 30. 03 KST (l) 2011. 4. 30. 21 KST

Fig. 38. Continued.

(m) 2011. 5. 1. 03 KST (p) 2011. 5. 1. 21 KST

(n) 2011. 5. 1. 09 KST (q) 2011. 5. 2. 03 KST

(o) 2011. 5. 1. 15 KST (r) 2011. 5. 2. 09 KST

Fig. 38. Continued.

(s) 2011. 5. 2. 15 KST (v) 2011. 5. 3. 09 KST

(t) 2011. 5. 2. 21 KST (w) 2011. 5. 3. 15 KST

(u) 2011. 5. 3. 03 KST (x) 2011. 5. 3. 21 KST

Fig. 38. Continued.

(y) 2011. 5. 4. 03 KST (z1) 2011. 5. 4. 15 KST

(z) 2011. 5. 4. 09 KST (z2) 2011. 5. 4. 21 KST

Fig. 38. Continued.

(a) 2011. 5. 10. 03 KST (d) 2011. 5. 10. 21 KST

(b) 2011. 5. 10. 09 KST (e) 2011. 5. 11. 03 KST

(c) 2011. 5. 10. 15 KST (f) 2011. 5. 11. 09 KST

Fig. 39. Analyses of relative humidity (%) at 1000 hPa from 10 to 13 May, 2011.

(g) 2011. 5. 11. 15 KST (j) 2011. 5. 12. 09 KST

(h) 2011. 5. 11. 21 KST (k) 2011. 5. 12. 15 KST

(i) 2011. 5. 12. 03 KST (l) 2011. 5. 12. 21 KST

Fig. 39. Continued.

(m) 2011. 5. 13. 03 KST (o) 2011. 5. 13. 15 KST

(n) 2011. 5. 13. 09 KST (p) 2011. 5. 13. 21 KST

Fig. 39. Continued.

나. 850 hPa

황사는 발원과 동시에 수평뿐만 아니라 연직 1.5 km 상공까지 분포하기 때문에 850 hPa 면의 상대습도 분포를 알아보았다. Case 1의 850 hPa 면에서 나타난 상대 습도 분포를 살펴보면 몽골 서쪽지역에서 황사가 관측된 17일 03 KST에 몽골 남 서쪽과 중국 북부지역과 중부지역 그리고 중국남부지역에 20 % 이하의 건조한 대 기상태가 분포하고 있다(Fig. 40(a)). 지상 1000 hPa 면에서 나타난 몽골 남동쪽 지 역은 850 hPa 면에서도 10 % 이하의 건조한 대기상태를 나타내고 있어, 황사가 발 원한 지역에서는 지상뿐만 아니라 상층에서도 상당히 건조한 상태를 나타내어 황 사가 발원되기 좋은 대기 상태를 나타냈다. 중국 전역의 건조한 대기상태는 점차 동진하며 확산되었고 17일 09 KST에는 우리나라 서해상까지 분포하여 10 % 이하 의 상대습도의 분포를 보였다(Fig. 40(b)). 18일 03 KST에는 10 % 이하의 건조한 대기가 우리나라 서해 및 남부지역까지 확장되었고(Fig 40(e)), 21 KST에는 우리 나라 전역에 분포하였다(Fig. 40(h)). 그리고 몽골 남부지역과 중국 북부지역 및 중 부지역에 상대습도가 20 % 이하의 건조한 대기상태가 분포하였다. 이 건조한 대기 는 19일 21 KST에 우리나라 중부지역으로 확장되었고(Fig. 40(l)), 점차 북상하여 발해만과 북한 그리고 동한만 일대에 분포하였다(Fig. 40(m)). 이 후 21일 21 KST 에 다시 중국 북부지역과 중부지역에 건조한 대기상태가 형성되었고(Fig. 40(t)), 22 일 15 KST에 우리나라 서해상으로 확장되었다(Fig. 40(w)).

Case 2의 850 hPa 면에서 나타난 상대습도 분포를 살펴보면 4월 28일 03 KST 에는 몽골 남부지역과 중국 대부분 지역에서 20 % 이하의 상대습도가 분포하고 있고 특히, 황사감시기상탐이 위치하고 있는 에르덴지역과 중국 우라터중치, 황토 고원 일부에서는 10 % 이하의 상대습도가 분포하고 있다(Fig. 41(a)). 15 KST에는 중국 북부와 북서, 몽골 남서쪽지역에 건조한 대기상태가 분포하고 있으며(Fig.

41(c)), 21 KST 에는 몽골 서쪽 지역으로 확대되었다(Fig. 41(d)). 29일 03 KST에 는 우리나라 서해상에 30 % 이하의 상대습도가 분포하고(Fig. 41(e)), 29일 15 KST에는 우리나라 서해상과 제주도 지역에 20 % 이하의 상대습도가 분포하는 것 을 나타냈다(Fig. 41(g)). 30일 15 KST에 몽골 남서쪽 일부와 중국 중부와 북서 지 역에서 건조한 대기 상태가 확장되었고(Fig. 41(k)), 21 KST에는 중국 산동반도 까 지 이동하였다(Fig. 41(l)). 이 후 중국 중부지역에서 이동한 건조한 대기는 1일 09

KST에서는 우리나라 서해상과 제주도 지역에 10 % 이하의 건조한 대기상태가 유 입되었고(Fig. 41(n)), 15 KST에는 우리나라 남부지역과 제주도지역으로 확장하였 다(Fig. 41(o)). 3일 21 KST에 우리나라 주변은 50 % 이하의 건조한 상태를 나타 냈고(Fig. 41(x)), 4일 09 KST 에서는 제주도 일대에 10 % 이하의 건조한 대기가 분포했다(Fig. 41(z)).

Case 3의 850 hPa 면의 상대습도 분포에서는 10일 03 KST에 몽골 동쪽 내륙과 중국 요동반도 일대에서 10 % 이하의 상대습도가 분포하였다(Fig. 42(a)). 11일 15 KST에는 건조한 공기가 몽골 남부와 중국 북부지역인 내몽골 고비사막에 위치하 고 있으며 이 일대의 상대습도는 20 % 이하로 나타났다(Fig. 42(g)). 12일 03 KST 에는 건조한 대기가 남동진하여 발해만과 우리나라 서해상으로 분포하였고(Fig.

42(i)), 21 KST에는 우리나라 서해상과 제주도 일대에 10 % 이하의 상대습포 분포 를 보였다(Fig. 42(l)). 이 후 13일 15 KST에는 우리나라 대부분이 30 % 이하의 상대습도 분포를 보여, 건조한 대기상태를 보였다(Fig. 42(o)).

2011년 봄철 3개 사례에 대한 850 hPa 면의 상대습도는 황사발원지인 내몽골 고 비사막과 중국 북부지역에서 10 % 이하 상대습도가 분포하여 지상뿐만 아니라 연 직으로도 건조한 대기 상태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례기간동 안 몽골 및 중국 지역에서 건조한 대기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황사가 우리나 라로 유입되기 좋은 대기상태를 보였다. 이와 관련하여 황사가 발원되기 2 ∼ 3일 전에 상대습도의 분포는 황사가 부유된 건조하고 차가운 기단의 전반부의 경계로 850 hPa면에서의 상대습도 50 % 선을 사용할 수 있다고 했다(정관영과 박순웅, 1995).

(a) 2011. 3. 17. 03 KST (d) 2011. 3. 17. 21 KST

(b) 2011. 3. 17. 09 KST (e) 2011. 3. 18. 03 KST

(c) 2011. 3. 17. 15 KST (f) 2011. 3. 18. 09 KST

Fig. 40. Analyses of relative humidity (%) at 850 hPa from 17 to 22 March, 2011.

(g) 2011. 3. 18. 15 KST (j) 2011. 3. 19. 09 KST

(h) 2011. 3. 18. 21 KST (k) 2011. 3. 19. 15 KST

(i) 2011. 3. 19. 03 KST (l) 2011. 3. 19. 21 KST

Fig. 40. Continued.

(m) 2011. 3. 20. 03 KST (p) 2011. 3. 20. 21 KST

(n) 2011. 3. 20. 09 KST (q) 2011. 3. 21. 03 KST

(o) 2011. 3. 20. 15 KST (r) 2011. 3. 21. 09 KST

Fig. 40. Continued.

(s) 2011. 3. 21. 15 KST (v) 2011. 3. 22. 09 KST

(t) 2011. 3. 21. 21 KST (w) 2011. 3. 22. 15 KST

(u) 2011. 3. 22. 03 KST (x) 2011. 3. 22. 21 KST

Fig. 40. Continued.

(a) 2011. 4. 28. 03 KST (d) 2011. 4. 28. 21 KST

(b) 2011. 4. 28. 09 KST (e) 2011. 4. 29. 03 KST

(c) 2011. 4. 28. 15 KST (f) 2011. 4. 29. 09 KST

Fig. 41. Analyses of relative humidity (%) at 850 hPa from 28 April to 4 May, 2011.

(g) 2011. 4. 29. 15 KST (j) 2011. 4. 30. 09 KST

(h) 2011. 4. 29. 21 KST (k) 2011. 4. 30. 15 KST

(i) 2011. 4. 30. 03 KST (l) 2011. 4. 30. 21 KST

Fig. 41. Continued.

(m) 2011. 5. 1. 03 KST (p) 2011. 5. 1. 21 KST

(n) 2011. 5. 1. 09 KST (q) 2011. 5. 2. 03 KST

(o) 2011. 5. 1. 15 KST (r) 2011. 5. 2. 09 KST

Fig. 41. Continued.

(s) 2011. 5. 2. 15 KST (v) 2011. 5. 3. 09 KST

(t) 2011. 5. 2. 21 KST (w) 2011. 5. 3. 15 KST

(u) 2011. 5. 3. 03 KST (x) 2011. 5. 3. 21 KST

Fig. 41. Continued.

(y) 2011. 5. 4. 03 KST (z1) 2011. 5. 4. 15 KST

(z) 2011. 5. 4. 09 KST (z2) 2011. 5. 4. 21 KST

Fig. 41. Continued.

(a) 2011. 5. 10. 03 KST (d) 2011. 5. 10. 21 KST

(b) 2011. 5. 10. 09 KST (e) 2011. 5. 11. 03 KST

(c) 2011. 5. 10. 15 KST (f) 2011. 5. 11. 09 KST

Fig. 42. Analyses of relative humidity (%) at 850 hPa from 10 to 13 May, 2011.

(g) 2011. 5. 11. 15 KST (j) 2011. 5. 12. 09 KST

(h) 2011. 5. 11. 21 KST (k) 2011. 5. 12. 15 KST

(i) 2011. 5. 12. 03 KST (l) 2011. 5. 12. 21 KST

Fig. 42. Continued.

(m) 2011. 5. 13. 03 KST (o) 2011. 5. 13. 15 KST

(n) 2011. 5. 13. 09 KST (p) 2011. 5. 13. 21 KST

Fig. 42. Continued.

3 바람벡터와 풍속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9-14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