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상관분석 및 다중공선성 검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7-65)

셋째, 매개변수인 우울과 종속변수인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상관계수 (r)는 -.69이며 p<.01 수준에서 유의미하였으며 우울과 삶의 질 간 부적 상관관 계를 보였다. 삶의 질은 성별(r=-.03, p<.05), 연령(r=-.05, p<.01), 거주시(r=-.08, p<.01), 거주읍면동(r=-.05, p<.01), 학력(r=-.05, p<.01), 주관적 경제만족(r=-.28, p<.01), 주관적 건강상태(r=-.57, p<.01)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종교(r=.05, p<.01)와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통제변수의 변인들과 주요변수인 독립변수 사회적지지 및 종속변수 삶의 질, 매개변수 우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모든 변수들이 사회적 지지와 삶 의 질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나, 우울은 성별과 거주지역(거주시, 거주읍면동)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세부적으로 보면, 성별은 연령(r=-.26, p<.01), 학력(r=-.36, p<.01), 종교(r=-.20, p<.01), 주관적 건강상태 (r=-.06, p<.01), 사회적 지지(r=-.19, p<.01),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거주시 (r=.08, p<.01), 거주읍면동(r=.10, p<.01), 삶의 질(r=.03, p<.01)과는 유의미한 정 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주관적 경제만족 및 우울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 이지 않았다.

연령은 거주시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거주읍면동(r=-.18, p<.01), 주관적 경제만족(r=-.14, p<.01), 삶의 질(r=-.05, p<.01)과는 유의미한 부 적 상관관계를, 학력(r=.34, p<.01), 종교(r=.03, p<.05), 주관적 건강상태(r=.40, p<.01), 사회적 지지(r=.11, p<.01), 우울(r=.07, p<.01)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 계를 보였다. 거주시는 종교와 우울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력(r=-.13, p<.01), 사회적지지(r=-.07, p<.01), 삶의 질(r=-.08, p<.01)과는 유의 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거주읍면동(r=.11, p<.01), 주관적 경제만족(r=.03, p<.05), 주관적 건강상태(r=.06, p<.01)와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거주읍면동은 우울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학력(r=-.19, p<.01), 주관적 건강상태(r=-.04, p<.01), 사회적 지지(r=-.05, p<.01), 삶의 질 (r=-.05, p<.01)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종교(r=.05, p<.01), 주관적 경제만 족(r=.05, p<.01)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력은 종교와는 유의미 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주관적 경제만족(r=-.04, p<.01), 삶의 질(r=-.05, p<.01)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주관적 건강상태(r=.07, p<.01), 사회적 지

지(r=.03, p<.05), 우울(r=.07, p<.01)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종교는 주관적 경제만족과 주관적 건강상태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우울(r=-.05, p<.01)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사회적 지지(r=.08, p<.01), 삶의 질(r=.05, p<.01)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주관적 경 제만족은 사회적 지지(r=-.19, p<.01), 삶의 질(r=-.28, p<.01)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주관적 건강상태(r=.21, p<.01), 우울(r=.22, p<.01)과는 유의미한 정 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사회적 지지(r=-.19, p<.01), 삶의 질 (r=-.57, p<.01)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우울(r=.46, p<.01)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독립변수 사회적 지지의 하위 영역인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 적 지지, 애정적 지지, 긍정적 사회상호작용 5개의 영역과 주요변수 간 상관관계 가 어떠한지 검증한 결과는 <표 12-1>과 같다. 종속변수인 삶의 질과는 p<.01수 준에서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 매개변수인 우울과는 p<.01수준에서 유의미한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들과 통제변수들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성별은 사회적 지지 하위 5개 영역 과 모두 p<.01수준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령은 사회적지지 하위 5개 영역과 p<.01수준에서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가 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주지역은 제주시와 동지역 변인이 모든 사회적 지지 의 하위 5개 영역과 p<.01수준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거주읍 면동 변수는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 영역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물질적 지지(r=.10, p<.01), 애정적 지지(r=.04, p<.01)와 만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그 외 정서적 지 지, 정보적 지지, 긍정적 사회상호작용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종교는 모든 사회적 지지의 하위 5개 영역과 p<.01수준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 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주관적 경제만족과 주관적 건강상태 는 모든 사회적 지지의 하위 5개 영역과 p<.01수준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 를 보였다.

<표 12> 주요 변수 상관분석

변수 1 2 3 4 5 6 7 8 9 10 11

1.성별(남=1) 1      

2.연령 -.26** 1      

3.거주시(제주시=1) .08** .03 1      

4.거주읍면동(동지역=1) .10** -.18** .11** 1      

5.학력(무학력=1) -.36** .34** -.13** -.19** 1      

6.종교(있음=1) -.20** .03* -.03 .05** -.02 1      

7.주관적 경제만족 0.03 -.14** .03* .05** -.04** .01 1        

8.주관적 건강상태 -.06** .04** .06** -.04** .07** .00 .21** 1       9.사회적지지 -.19** .11** -.07** -.05** .03* .08** -.19** -.19** 1     10.우울 .03 .07** .01 .01 .07** -.05** .22** .46** -.39** 1   11.삶의 질 -.03* -.05** -.08** -.05** -.05** .05** -.28** -.57** .45** -.69** 1

* p<.05, ** p<.01, *** p<.001

<표 12-1> 주요 변수 상관분석-사회적 지지 하위영역

변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성별(남=1) 1      

2.연령 -.26** 1      

3.거주시(제주시=1) .08** 0.03 1      

4.거주읍면동(동지역=1) .10** -.18** .11** 1      

5.학력(무학력=1) -.36** .34** -.13** -.19** 1       6.종교(있음=1) -.20** .03* -0.03 .05** -0.02 1       7.주관적 경제만족 0.03 -.14** .03* .05** -.04** 0.01 1       8.주관적 건강상태 -.06** .04** .06** -.04** .07** 0.00 .21** 1       9.정서적지지 -.16** .04** -.03* -0.03 -0.00 .07** -.15** -.16** 1       10.정보적지지 -.14** .05** -.04** -0.01 -0.01 .07** -.16** -.16** .93** 1       11.물질적지지 -.22** .22** -.05** -.07** .10** .06** -.19** -.16** .64** .63** 1         12.애정적지지 -.18** .12** -.09** -.10** .04** .07** -.18** -.15** .71** .70** .64** 1       13.긍정적사회상호작용 -.16** .06** -.09** -.03* 0.01 .08** -.16** -.18** .75** .74** .62** .80** 1     14.우울 0.03 .07** 0.01 0.01 .07** -.05** .22** .46** -.37** -.36** -.30** -.32** -.37** 1   15.삶의 질 -.03* -.05** -.08** -.05** -.05** .05** -.28** -.57** .41** .39** .36** .38** .44** -.69** 1

* p<.05, ** p<.01, *** p<.001

2) 다중공선성 검증

마지막으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에 앞서 선행분석으로 다중공선성 검증을 실 시하여 분산팽창지수(VIF)와 공차한계(TOL, 허용도) 확인하였고 그 결과는 <표 13>과 같다. 회귀분석의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F=713.722, p<.001),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약 60.3%(adj. R2)로, Durbin-Watson 통계량은 1.533으로 2에 근사한 값을 보여 잔차의 독립성 가정에 문제는 없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특히 주요 변수 상관관계 분석 <표 12-1>에서 사회적 지지 하위영역 변수 간 상관계수 r값이 0.8이상인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의 상관계수 r=.93(p<.01)와 애정적 지지와 긍정적 사회상호작용의 상관계수 r=0.80(p<.01)의 다중공선성2)이 의심되나 분산팽창지수(VIF)를 통해 확인해 본 결과 <표 14>와 같이 10미만(정 서적 지지 VIF=8.37, 정보적 지지 VIF=7.90, 애정적지지 VIF=3.21, 긍정적 사회 상호작용 VIF=5.51)으로 분석되어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산팽창지수(VIF)도 모두 10미만으로, 공차한계(TOL, 허용도)는 0.1이상으로 확인되었다. 독립변수 사회적 지지의 하위 5개 영역에 대한 회귀분석 또한 유의 미한 결과를 얻어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삶의 질에 대한 주요 변수 간 다중공선성 진단은 <표 13>과 <표 14>와 같다.

2) 다중공선성 : 독립변수 간의 유사성을 의미함. 독립변수끼리 유사성이 너무 높으면 서로의 영향 력을 감소시킬 수 있음. 다중공선성은 분산팽창지수(VIF)와 공차한계(허용도, TOL)를 통하여 판단하며, VIF 10미만, TOL 0.1 이상이면 다중공선성이 문제없다고 판단함. (김성은·정규형, 2019)

<표 13> 다중공선성 검증진단

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계수

t p 공선성 통계량

F(p) adj. R2

B S.E. β TOL VIF

(상수) 31.222 .650   48.051 .000    

713.722***

(.000) .603 통제

변수

성별 -.030 .123 -.003 -.240 .810 .779 1.284 연령 -.035 .007 -.049 -4.846 .000 .815 1.227 거주시 -.354 .093 -.036 -3.831 .000 .957 1.045 거주읍면동 -.420 .088 -.045 -4.761 .000 .932 1.073 학력 -.064 .096 -.007 -.665 .506 .772 1.295 종교 .085 .088 .009 .973 .331 .943 1.060 경제만족 -.446 .052 -.084 -8.634 .000 .902 1.109 건강상태 -1.494 .052 -.303 -28.901 .000 .767 1.304 독립

변수 사회적지지 .053 .003 .200 19.324 .000 .790 1.265 매개

변수 우울 -.462 .012 -.449 -40.118 .000 .674 1.483

종속변수 : 삶의 질 Durbin-Watson 1.533

* p<.05, ** p<.01, *** p<.001

* 성별(남=1), 거주시(제주시=1), 거주읍면동(동지역=1), 학력(무학력=1), 종교(있음=1)

<표 14> 다중공선성 검증-사회적 지지 하위 영역

영향요인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계수

t p 공선성 통계량

F(p) adj. R2

B S.E. β TOL VIF

(상수) 31.11 .65   47.78 .000    

514.697***

(.000) .605

성별 -.02 .12 .00 -.14 .888 .78 1.29

연령 -.03 .01 -.05 -4.66 .000 .79 1.27

거주시 -.35 .09 -.04 -3.74 .000 .95 1.05

거주읍면동 -.42 .09 -.05 -4.81 .000 .92 1.08

학력 -.07 .10 -.01 -.72 .470 .77 1.30

종교 .08 .09 .01 .87 .382 .94 1.06

주관적경제만족 -.44 .05 -.08 -8.60 .000 .90 1.11 주관적건강상태 -1.48 .05 -.30 -28.73 .000 .77 1.31

정서적 지지 .09 .03 .08 2.93 .003 .12 8.37

정보적 지지 -.04 .03 -.04 -1.40 .161 .13 7.90

물질적 지지 .06 .01 .06 4.34 .000 .48 2.10

애정적 지지 .00 .02 .00 -.15 .883 .31 3.21

긍정적사회상호작용 .15 .02 .13 7.74 .000 .28 3.52

우울 -.46 .01 -0.45 -39.98 .000 .67 1.49

종속변수 : 삶의 질 Durbin-Watson 1.463

* p<.05, ** p<.01, *** p<.001

* 성별(남=1), 거주시(제주시=1), 거주읍면동(동지역=1), 학력(무학력=1), 종교(있음=1)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7-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