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라산 1100 고지와 제주시 지역의 빗물을 구성하고 있는 각 성분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각 성분들마다 상관성을 알아보고 에어로졸 구성 성분들간 발생기원 과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상관계수를 Table 7 ~ Table 8에 나타내었다.

우선 1100 고지에서 이온들의 상관성을 확인해 본 결과 해염성분인 Na+과 Cl-의 상관 계수는 0.93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1100 고지에서 해염성분인 NaCl이 상당량 1100 고지 대기 중으로 유입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증거이며, 제주도가 바다로 둘러쌓인 지리적 특징에 의한 결과로 보여진다. 또한 수용성 성분 중 대표적인 인위적 오염물질인 NO3

-와 nss-SO4

2-와 NH4+

의 상관계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먼저 NO3

-와 nss-SO4

2-인 경우 0.88의 높은 상관계수 값을 나타내었고, nss-SO4

2-와 NH4+

인 경 우 0.64의 값을 보였고, NO3

-와 NH4+

의 상관계수는 0.66의 상관계수 값을 나타내었다.

결국 이들 성분이 주로 (NH4)2SO4,(NH4)NO3 상태로 존재하여 서로를 중화시키고 있 음을 증명하고 있다.

또한 K+와 다른 이온 간의 상관계수를 비교해 보면 해염 성분인 Na+, Cl-, Mg2+ 와 각각 0.69, 0.72, 0.63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유기산인 CH3COO-와는 0.72의 좋은 상 관계수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두 성분이 발원지가 같음을 짐작 할 수 있으며 대개 그 발원지는 토양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Mg2+는 Na+, Cl- 두 성분과의 상관계수가 각 각 0.93, 0.91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Mg2+의 발원지가 해염이라는 것을 증명 하고 있다.

제주시 지역에서 이온들의 상관성을 확인해 본 결과 해염성분인 Na+과 Cl-의 상관계 수는 0.98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제주시 지역에서 해염성분인 NaCl이 상당량 제주시 지역 대기 중으로 유입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주시 지역이 바 다와 인접한 곳에 위치하여 해염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수 용성 성분 중 대표적인 인위적 오염물질인 NO3

-와 nss-SO4

2-인 경우 0.83의 높은 상관 계수를 나타내었고, nss-SO4

2-와 NH4+

인 경우 0.80의 상관계수를 보였으며 NO3

-와 NH4+

의 상관계수는 0.76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1100 고지와 마찬가지로

- 47 - Table 7. Cross correlation for ionic precipitation components at 1100 Site ComponentH +NH4 +Na +K +nss-Ca 2+Mg 2+nss-SO4 2-NO3 -Cl -HCOO -CH3COO -CH3SO3 -F H +10.360.350.170.170.350.610.640.31-0.05-0.080.100.09 NH4 +0.3610.460.510.470.490.640.660.480.440.430.080.4 Na +0.350.4610.690.470.930.570.600.980.320.330.110.2 K +0.170.510.6910.360.630.420.380.720.690.720.100.4 nss-Ca 2+0.170.470.470.3610.570.620.610.450.340.260.020.4 Mg 2+0.350.490.930.630.5710.590.620.910.290.280.060.2 nss-SO4 2-0.610.640.570.420.620.5910.880.520.110.070.180.3 NO3 -0.640.660.600.380.610.620.8810.540.070.020.150.2 Cl -0.310.480.980.720.450.910.520.5410.440.450.080.3 HCOO --0.050.440.320.690.340.290.110.070.4410.93-0.080.56 CH3COO --0.080.430.330.720.260.280.070.020.450.931-0.040.57 CH3SO3 -0.100.080.110.100.020.060.180.150.08-0.08-0.0410.08 F -0.090.440.280.450.470.280.390.290.340.560.570.081

- 48 - Table 8. Cross correlation for ionic precipitation components at Jeju City ComponentH +NH4 +Na +K +nss-Ca 2+Mg 2+nss-SO4 2-NO3 -Cl -HCOO -CH3COO -CH3SO3 -F

-H +10.300.160.08-0.090.200.430.520.180.050.100.190.08 NH4 +0.3010.170.440.450.260.800.760.190.200.200.230.40 Na +0.160.1710.400.280.840.310.360.980.040.010.100.02 K +0.080.440.4010.420.480.520.410.420.080.080.090.16 nss-Ca 2+-0.090.450.280.4210.440.670.530.280.390.370.110.27 Mg 2+0.200.260.840.480.4410.430.440.860.140.110.080.09 nss-SO4 2-0.430.800.310.520.670.4310.830.320.270.310.250.38 NO3 -0.520.760.360.410.530.440.8310.360.210.230.240.33 Cl -0.180.190.980.420.280.860.320.3610.040.010.110.01 HCOO -0.050.200.040.080.390.140.270.210.0410.790.050.18 CH3COO -0.100.200.010.080.370.110.310.230.010.7910.070.15 CH3SO3 -0.190.230.100.090.110.080.250.240.110.050.0710.08 F -0.080.400.020.160.270.090.380.330.010.180.150.081

제주시 지역에서의 강수성분도 (NH4)2SO4,(NH4)NO3 와 같은 상태로 존재하여 서로를 중화시키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Mg2+는 Na+, Cl- 두 성분과의 상관계수가 각각 0.84, 0.86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 다. 이는 Mg2+의 발원지가 해염이라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셈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