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채·송이·산양삼의 유통 현황과 문제점

문서에서 국가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방안 (페이지 46-50)

3.1. 산채·송이·산양삼 유통 현황

가. 산채 유통 현황

◦ 산채는 일반 농산물과는 달리 계절적 생산, 소량·분산 생산되는 시스템으로 유통구 조가 매우 열악한 실정임. 그러나 최근 일부 지역에서 단지화, 조직화를 통해 주산 지를 형성하여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

- 남해 창선농협의 고사리, 양구의 곰취, 논산과 횡성의 더덕·도라지 등 - 한 두 품목에 집중하고 철저한 품질관리와 공동출하

◦ 산채의 유통 경로는 크게 세 가지 형태임.

- 다수가 산지 수집상을 거쳐 도매시장에서 거래되거나 벤더를 거쳐 대형소매점, 백 화점에 납품

- 일부 품목별 주산지에서는 산지 농협을 통하거나 생산자가 직접 하나로마트나 백 화점, 할인점 등 대형소매점에 판매

- 산지 시장, 대형 소비처, 방문객 등에 직판하거나, 우편판매, 인터넷 판매 - 일부 포전매매(더덕)가 있으나 대부분 생산자가 수확 후 판매

그림 2-7. 산채의 주요 유통경로

생산자

수집상 도매시장

밴 더 대형판매점

도소매상

소비자

우편판매, 방문

26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27

◦ 조합이나 법인을 통할 경우 입찰수수료가 붙으므로 수집·판매상과 소비자간 직거 래 등의 거래방식으로 전환되고 있음. 판매방법의 다양화로 송이 생산자는 높은 등 급의 송이뿐만 아니라 여러 등급의 송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판매할 수 있게 되었 고, 소비자들은 손쉽게 송이를 구매 가능하게 됨.

- 그러나 산림조합의 공판이 아닌 직판 거래의 경우 송이의 등급판정이 유동적

◦ 봉화·울진 지역의 송이는 품질이 우수하고 「봉화 송이축제」와 「울진 금강송 송 이축제」등의 지역축제를 통해 다양한 볼거리와 먹을거리를 제공하므로 인지도가 높아 소비자들이 선호함. 2010년 산림조합을 통해 공판된 송이의 물량 비율은 지역 별로 영덕 60%, 안동 70%, 울진 40%, 봉화 30%에 이르는데 봉화와 울진의 송이는 축제를 통한 직거래가 많아 인근 지역에 비해 공판 물량이 적은 편임.

◦ 송이는 대부분 생채로 유통되며 가공용으로 판매되는 물량은 극히 일부에 불과

그림 2-10. 송이의 주요 유통 경로

다. 산양삼 유통 현황

◦ 기존의 산양삼의 유통구조는 생산자, 산지수집상, 소비지 중매인(또는 한의원), 소 비자의 3~4단계로 구성됨. 최근 경매시장을 통한 거래와 생산자 - 소비자간 직거래, 유통업체나 회원들을 통한 직접 판매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임.

◦ 산양삼도 송이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생삼 위주로 거래되며, 일부 음료 혹은 가공약 품의 원료 등으로 거래되고 있음.

28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그림 2-11. 산양삼의 주요 유통 경로

3.2. 산채·송이·산양삼 유통의 문제점

가. 유통·판매 시스템 미흡

◦ 산채와 송이는 지역판매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전국 판매 체계가 아직 미흡한 편임. 산채는 다품목 소량생산으로 대부분 5월에 개최되는 지역 산채축제 기간 중 생채로 소비자들에게 직접 판매하고 있고, 송이 또한 9~10월에 개최되는 지역 송이 축제 기간에 대부분의 생송이를 판매하고 있는 상황임. 그러나 전국 시장 공략을 위한 단지화, 품질관리, 공동출하, 브랜드 등에 대한 준비도 부족

- 생채 유통에 필요한 콜드체인 시스템(예냉, 냉장저장고, 냉장차)이 없어 유통과정 에서 손실과 품위 저하 발생할 우려 있음.

- 지역·권역 단위의 산채·송이·산양삼을 안정적 취급·관리할 수 있는 종합유통센터 필요

나. 품질관리시스템 미흡

◦ 2011년 1월부터 산양삼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생산·가공·유통 과정을 확인할 수 있 는 생산이력제를 도입함. 생산이력제를 통해 잔류농약 확인과 문제발생시 역추적 을 가능하게 하여 산양삼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외국삼과의 차별화를 통해 경쟁력 확보가 가능해짐.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29

◦ 한편 인제의 곰취, 정선 곤드레, 울릉도 산채, 양양 송이 등의 농산물들이 지리적표 시제에 등록됨. 지리적표시를 통해 소비자들은 품질을 신뢰할 수 있고, 유사품과 차 별화가 가능하며, 인지도가 떨어지는 상품은 홍보 효과를 낼 수 있음.

◦ 그러나 이러한 품질관리시스템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외국산 혹은 유사품이 국내산 과 유명 지역 특산품으로 둔갑하는 경우가 발생함. 관리하는 품종 및 지역이 워낙 다양하고 광범위하여 이러한 현상이 발생함. 따라서 권역에 산채·송이·산양삼의 품 질관리를 담당할 수 있는 기관 설립 필요

다. 홍보 부족

◦ 전반적으로 산채의 공급이 부족 상황에서 홍보·광고의 필요성이 적으므로 홍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편임. 특히 해당 지자체에서는 매년 개최되는 관련 축제 홍보 에만 중점적으로 관심을 기울임. 따라서 관련 축제뿐만 아니라 이와 연계하여 산 채·송이·산양삼을 활용한 식품, 지역 특색을 나타낼 수 있는 메뉴 개발, 산채 전문 음식점 개점 등의 체계적인 홍보 전략과 활동이 필요

문서에서 국가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방안 (페이지 46-5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