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 현황과 문제점

문서에서 국가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방안 (페이지 30-46)

4) 산채·송이·산양삼의 가공 현황과 문제점 5) 산채·송이·산양삼의 발전을 위한 과제

나.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1)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

2) 산채산업클러스터 관련 정책

3)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와 시사점

다.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전·목표·전략·과제 1) 영양·봉화·울진 지역 산채산업의 SWOT 분석

8 제1장 연구개요

2)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전·목표·전략·과제 라.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1) 산채산업클러스터의 공간 구성과 입지 2) 산채 재배 및 생산 확대

3) 산채 유통 활성화 4) 산채 가공산업 육성

5) 산채 관광 및 도농교류 활성화 6) 산채 연구·개발 기능 강화

마.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투자계획과 추진체제 1)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투자계획

2)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추진체제

5. 연구 추진 방법

5.1. 문헌 조사

◦ 산채 관련 선행연구와 정책자료 및 통계자료

◦ 해외 식품산업클러스터 조사 문헌

5.2. 설문조사

◦ 조사 대상: 산채 재배·유통·판매·가공·수출 관련 농업인·기업인 등

◦ 조사 내용: 산채 재배·유통·판매·가공·수출 실태와 발전방안

제1장 연구개요 9

5.3. 국내 출장조사

◦ 산채 주산지의 산채 재배·유통·판매·가공·수출 실태와 발전계획

◦ 경북 영양군의 농업 여건과 산채산업 실태 및 입지 여건

5.4. 자문위원회 운영

◦ 자문위원회 구성: 산채 관련 농업인·기업인·연구자 등

◦ 자문위원회의 역할: 보고자료 검토의견 및 자문의견 제시

6. 연구 추진 절차

제 2 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1. 산채 · 송이 · 산양삼의 수급 동향

2. 산채 · 송이 · 산양삼의 생산 현황과 문제점

3. 산채 · 송이 · 산양삼의 유통 현황과 문제점

4. 산채 · 송이 · 산양삼 가공 현황 및 문제점

5. 산채 · 송이 · 산양삼의 발전을 위한 과제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13

2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1. 산채·송이·산양삼의 수급 동향

1.1. 산채 수급 동향

◦ 최근 국민생활수준 향상과 자연식품·건강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로 산채에 대한 수 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특히 산채가 자연친화적·건강식·청정이미지 등 으로 인식되면서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음. 그러나 이러한 산채에 대한 관심과 수요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산채 생산은 특성상 대부분 산에서 채취하거나 품종 개량 없이 자연적인 환경에서 재배가 이뤄지므로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임.

◦ 상업적 목적의 산채 재배는 80년대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지기 시작함. 90년 대 산채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지만 국내 생산량 부족으로 중국산 산채 수입이 급 증함. 2000년대에 이르러 수요가 완만히 증가하고 국내산 산채가 경쟁력을 갖기 시작하면서 외국산 산채의 수입은 정체

- 산채의 수출은 수입에 비해 미미한 수준임.

- 산채 자급률은 물량 기준 50% 전후 수준이며, 금액 기준으로 80~90% 수준임.

14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표 2-1. 산채 수급 동향

단위: 톤

구 분 1993 2000 2008

국내생산 17,842 25,591 39,962

수입 3,969 37,034 34,616

수출 13 216 80

국내공급량(소비량) 21,978 62,409 74,498

자급률(%) 81.2 41.0 53.6

1.2. 송이 수급 동향

◦ 70년대에 정부는 송이 수출에 의한 외화획득과 농·산촌 주민의 권익보호를 목적으 로 「임산물사용제한고시」 도입함으로써 송이의 유통은 산림조합의 공판을 통해 서만 가능하였고 채취한 송이의 대부분이 일본 등지로 수출됨. 그러나 1996년부터 용도제한 규정이 폐지됨에 따라 내수공급이 자유롭게 되었고, 이후 값싼 중국산과 북한산 송이가 국내에 반입되면서 「임산물사용제한고시」의 필요성이 사라지게 되고 2006년 10월부터 사용제한고시 완전 폐지됨. 「임산물사용제한고시」가 폐지 됨에 따라 국내 소비자들도 어렵지 않게 송이를 접할 수 있게 되었고, 송이 소비도 크게 증가함.

◦ 국내 송이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중국과 북한산 송이의 수입도 크게 증가함. 국내 산 송이의 경우 대부분 생송이 형태로 수출되거나 국내 소비자들에게 판매되는 데 반해 중국과 북한산 송이의 경우 대부분 식당에서 소비되고 있음.

- 일본에서는 중국산 농산물에 대한 안전도를 우려해 한국산 송이에 대한 호응이 높은 편임.

- 최근 송이 수입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송이 자급률이 50% 이하로 하락함.

◦ 송이는 채취한 해의 기온과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 임산물로 매년 생산량(채취 량)의 기복이 극심한 편이며, 생산물량 변화에 따른 가격변동폭이 매우 큰 편임.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15

표 2-2. 송이 수급 동향

단위: 톤

구 분 2000 2005 2009

국내생산 536 724 337

수입 197 387 481

수출 402 143 23

국내공급량(소비량) 331 968 795

자급률(%) 161.9 74.8 42.4

1.3. 산양삼 수급 동향

◦ 2000년 이후 건강에 대한 관심고조로 산양삼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생산량도 매년 늘어나는 추세임. 산림청에서는 산양삼의 유통시장 규모를 약 2000억 원으로 추정함. 그러나 재배시장 규모는 약 138억 원에 불과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음. 따 라서 산양삼은 약 90%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것으로 추정됨.

- 산양삼은 엄격한 통제로 정상적인 유통경로로는 국제적인 반출입이 어렵고, 현재 수출입을 위한 HS코드가 주어지지 않아 인삼과 섞여 수입되므로 통계 파악 곤란 - 최근 보따리상이나 국제우편을 통한 중국산 장뇌삼(국내 가격의 1/10 수준)의 밀 반입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이 국내산으로 둔갑되어 거래되거나 일부 양심적이 지 못한 농가들에서 중국산 장뇌삼을 이식하여 재배한 후 국내산으로 속여파는 등 의 시장 교란행위 발생

◦ 2011년 1월부터 시장을 교란하는 불법적인 수입과 유통을 근절할 목적으로 산양삼의 생산이력제를 도입하여 산양삼 농가 보호와 국내 산양삼시장의 유통질서 개선할 계획 - 산양삼 재배지에 대한 신고절차를 마련하고, 산양삼에 대한 검사기관을 지정·운영 하여 일정수준 이상의 품질검사를 완료한 산양삼만 시중에 유통할 수 있도록 함.

- 산양삼 제품의 표시기준과 단위기준을 마련해 유통 및 소비과정에 인삼류와 혼란 방지

16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표 2-3. 산양삼 수급 동향

단위: 톤

구 분 2000 2005 2009

국내생산 320 9,764 42,721

수입 - -

-수출 - -

-국내공급량(소비량) 320 9,764 42,721

자급률(%) - -

-2.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 현황과 문제점

2.1. 산채·송이·산양삼 생산 현황

가. 산채 생산 현황

◦ 산채는 수요 증가와 수입산과의 차별화 성공으로 국내 총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증 가하는 추세임.

- 2009년 산채 총 생산량은 46,828톤으로 전년에 비해 17.2% 증가 - 2009년 산채 총 생산액은 3,024억 원으로 전년에 비해 41.7% 증가

◦ 산채 중 품목별로는 더덕 생산액이 1,078억 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도라지 742 억 원, 취나물 568억 원, 두릅 247억 원 순임.1

1 산림청 임업통계에서 산채는 고사리, 도라지, 더덕, 두릅, 취나물, 고비, 기타산나물의 6개 품목에 대해서만 조사하고 있으므로 이들 품목 이외 전국의 최근 산채 생산 현황은 파악이 어려움.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17

18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계  - 23,991 5,699.30 19,824 4,775.80 1,769 440.7 2,398 482.8 더덕 10 3,967 1,790.40 3,947 1,790.40  - -  -   -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19

20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21

- 산채 생산액 기준 전국 70위 이내의 시·군을 점으로 표시한 결과 경기도와 충청남 도 등의 중서부 지역을 제외하고 대부분 백두대간과 인접한 곳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됨.

그림 2-5. 산채 생산액 70위 이내 시군 분포도

22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마. 권역별 산채 생산 현황

◦ <그림 2-5>에서 나타난 산채 생산 집적도를 근거로 주요 산채 생산지역을 권역으 로 구분하면 강원 영동권, 강원 영서권, 강원남부·충북북부·경북북부권, 충청권, 전 북동부권, 지리산권, 전남남부권 등의 형태로 분류 가능

- 경북북부·강원남부·충북북부권이 권역들 중 가장 많은 지역을 아우르고 있으며, 위 치상으로도 산채 생산이 많은 백두대간의 중심부에 위치

그림 2-6. 주요 산채 생산 권역 구분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23

24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2.2. 산채·송이·산양삼 생산의 문제점

가. 지역성과 계절성

◦ 산채·송이·산양삼은 각 작물별로 자연환경에 매우 민감한 편이어서 특정 지역(주산 지) 이외의 지역에서 재배가 어려운 편임. 특히 송이와 산양삼은 집중형 집산형태 로 분포하는 경향이 있음. 따라서 지역·권역 단위로 해당 지역의 여건에 맞게 생산·

유통·가공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지원체계가 필요함.

- 산채의 경우 생명력이 강하여 기술적으로 큰 어려움 없이 재배가 가능하지만 산양 삼의 경우 전문적 지식이 필요한 재배가 어려운 작물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재 배 관련 매뉴얼이 없는 상황임. 따라서 조속한 시일 내에 관련 기관들의 지원 하에 산양삼의 매뉴얼 작성이 이뤄져야 할 것임.

◦ 산채의 경우 계절적으로 4~5월, 송이는 9~10월에 채취하는 계정성이 강한 작물임.

일부 재배농가에서는 이 때 벌어들이는 수익이 한 해 수익의 전부인 경우가 많음.

따라서 농·산촌의 안정적인 소득 확보를 위하여 여러 가지 산채를 연중 재배 및 생 산할 수 있는 작부체계 개발과 기술 보급 및 교육 지원 필요

나. 종묘확보의 어려움

◦ 일반적인 작물의 경우 기관이나 민간종묘회사를 통해 적기에 필요한 종묘를 구입 이 가능하지만 산채와 산양삼의 경우 종묘를 전문적으로 연구하거나 다루는 기관 이 아직 없는 관계로 종묘 확보가 원활하지 않은 편임.

- 일부 지역에서는 자생지 보호 목적으로 종묘나 이식하는 것을 철저하게 관리하는 곳이 있어 종묘 확보가 어려움.

- 산채 재배는 대부분 품종개량이 이뤄지지 않은 야생종을 그대로를 채취하여 재배 하는 형태로 이뤄짐. 야생종 고유 특성을 유지하는 것도 좋지만 수량이나 품질을 개량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므로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필요

- 산채 재배는 대부분 품종개량이 이뤄지지 않은 야생종을 그대로를 채취하여 재배 하는 형태로 이뤄짐. 야생종 고유 특성을 유지하는 것도 좋지만 수량이나 품질을 개량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므로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필요

문서에서 국가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방안 (페이지 30-4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