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태양전지 공급망 구성요소 가격동향

3. 국내외 시장 동향

3.1. 태양전지 공급망 구성요소 가격동향

□ 폴리실리콘

2013년 8월 기준 폴리실리콘 가격은 $17.3/kg으로 현 가격대에서 안 정세를 보이고 있다. 2012년 $15/kg선을 바닥으로 2013년 $17/kg 상승 한 폴리실리콘 가격은 큰 변동 없이 안정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 며, 현 가격대는 일부 업체들을 제외하고는 수익이 나기 어려운 가격 대이지만, 폴리실리콘 가격 상승은 제한적일 전망이다. 모듈 가격에 대 한 지속적인 가격하락 압력으로 2014년 수요증가에 따른 폴리실리콘 공급균형에도 불구하고 폴리실리콘 업체들의 가격 반영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2013년 하반기 이후 폴리실리콘 가격은 $15~20/kg에서 형성될 전망이다.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다시 떠오르는 태양광산업", Issue Briefing, Vol. 2013-G-04, 2013.09.25.

<그림 10> 폴리실리콘 가격동향 ($/kg)

□ 웨이퍼 & 태양전지

웨이퍼 부문에 있어서, 5인치 단결정실리콘 웨이퍼는 $0.74/개, 6인치 다결정실리콘 웨이퍼는 $0.91/개, 6인치 단결정실리콘 웨이퍼 가격은

$1.24/개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태양전지 부문에 있어서는 2012월 하반기 이후 상승하던 태양전지 가격이 2013년 8월 이후 하락 조정을 받고 있으며, 다결정 실리콘 태 양전지 가격은 $0.405/W, 단결정 태양전지 가격은 $0.498/W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다.

출처 : New Energy Finance, 한국수출입은행, "다시 떠오르는 태양광산업", Issue Briefing, Vol. 2013-G-04, 2013.09.25.

<그림 11> 웨이퍼 및 태양전지 가격동향 ($/W)

□ 태양광 모듈

태양광 모듈 가격은 다결정 실리콘 모듈은 2013년 중반기 기준으로

$0.84/W이며, 단결정 실리콘 모듈은 $0.92/W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EU-중국 간 반덤핑 관세 합의로 중국산 태양광 모듈 가격이 상 승할 여지가 있다. 즉, EU에 수입되는 중국산 태양광패널 가격을 기존 가격보다 인상된 0.56유로 /W, 수입량은 연간 7GW로 제한하는 것에 합의했으며, 시행기간은 2013년 8월6일부터 2015년까지이다. 이번 가격 합의에는 90여 개의 중국 태양광 패널기업이 동참한 것으로 알려져 있 다.

출처 : New Energy Finance, 한국수출입은행, "다시 떠오르는 태양광산업", Issue Briefing, Vol. 2013-G-04, 2013.09.25.

<그림 12> 태양광 모듈 가격동향 ($/W)

□ 태양광 시스템

대량생산과 공급과잉으로 인한 태양광시스템 가격의 절반을 차지하 는 모듈 가격 폭락으로 태양광 시스템 가격은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 독일 태양광시장에서 거래되는 10kW이하 가격은 $2/W 초반까지 하락 하여 그리드 패러티 도달 가능한 가격대까지 하락한 상황이다. 미국과

일본 태양광 시스템 가격은 독일대비 여전히 비싼 상황이나, 수요 확 대에 따른 업체간 경쟁 확대로 가격이 빠르게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 다. 수익성을 맞추기 위해서 정부 보조금 지원 하락속도 보다 태양광 시스템 가격이 더 빠르게 떨어질 것이며, 시스템 가격하락 여지는 충 분한 상황이다.

출처 : New Energy Finance, 한국수출입은행, "다시 떠오르는 태양광산업", Issue Briefing, Vol. 2013-G-04, 2013.09.25.

<그림 13> 주요 국가별 태양광시스템 가격동향 ($/W)

2020년 태양광 시스템 가격은 대형 상업용 기준으로 $1.19/W까지 하 락할 전망이며, 소규모 가정용 시스템 가격은 $1.88/W까지 하락할 전 망이다.

출처 : New Energy Finance, 한국수출입은행, "다시 떠오르는 태양광산업", Issue Briefing, Vol. 2013-G-04, 2013.09.25.

<그림 14> 2020년까지 태양광 시스템 가격전망 ($/W) 3.2. 태양전지 효율 동향

현재 태양전지 소재 상용화 비율은 결정형 실리콘계 태양전지가 86%, 비결정형 실리콘 및 CIGS/CdTe 등의 복합 반도체 계열이 14%

를 차지하고 있다.

태양전지 셀의 효율의 달성 수준은 연구실 레벨의 달성 수준과 상용 화 수준의 달성 수준의 격차가 크다. 따라서 이 두 가지를 구분하여 볼 필요가 있다. 2012년 기준으로 연구실 레벨의 태양전지 달성효율은 III-V Multi-Junction Concentrator Solar Cell이 약 43%의 효율을 달성 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출처 : Prof. Dr. Şener OKTİK, "Photovoltaic Industry and Role of Glass for Reducing Cost of Solar Energy", ŞİŞECAM, 2013.07

<그림 15> 연구실 수준의 태양전지로서 최고 효율 수준

이에 반해 상용화된 태양전지 최고 효율은 2012년 기준으로 C-Si계 태양전지가 약 20%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CIS계 태양전지도 15%에 근접하는 효율을 보여주고 있고, 지난 10년간 5.5%

의 효율 개선이 이루어졌다.

출처 : Prof. Dr. Şener OKTİK, "Photovoltaic Industry and Role of Glass for Reducing Cost of Solar Energy", ŞİŞECAM, 2013.07

<그림 16> 상용화 태양전지 모듈로서 최고 효율

상용화 태양전지의 일반적인 효율은 2012년 기준으로 C-Si계 태양전 지가 약 15%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지난 10년간 2.7%의 효율 개선이 이루어 진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 Prof. Dr. Şener OKTİK, "Photovoltaic Industry and Role of Glass for Reducing Cost of Solar Energy", ŞİŞECAM, 2013.07

<그림 17> 상용화 태양전지 모듈로서 일반적인 효율 3.3. 지역별 태양전지 시장 동향

세계 태양광시장은 Big 3(일본, 중국, 미국) 시장으로 재편되었으며, Big 3 시장이 세계 태양광 수요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독일 및 이탈 리아로 대변되는 유럽시장은 북 태평양 지역의 국가들에게 주도권을 내주었으며, 향후 태양광시장은 북태평양 국가들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10).

가. 미국 태양광 시장동향

미국의 2013년 1분기 태양광 설치량은 1.5~1.6GW이며, 연말까지 총

10) 한국수출입은행, "다시 떠오르는 태양광산업", Issue Briefing, Vol. 2013-G-04, 2013.09.25.

3.7~4.3GW가 설치될 전망이다. 미국 태양광시장은 대형(utility-scale) 태양광 발전과 소규모 분산형 전원시장으로 양분되어 성장하고 있다. 최근 들어 대형 태양광 발전보다는 소규모 분산형 수요가 확대되고 있 어 향후에는 이 시장이 태양광 수요를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과거 미국 태양광 수요를 이끌었던 대형 태양광 발전의 성장률이 완만해지 는 대신 분산형 태양광 수요는 빠르게 성장할 전망되며, 대규모 태양 광발전 비중은 2013년을 정점으로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다시 떠오르는 태양광산업", Issue Briefing, Vol. 2013-G-04, 2013.09.25.

<그림 18> 미국 태양광시장 현황 및 전망

미국 대형 태양광시장은 2012년 34억 달러 규모이며, 2013년은 전년 대비 20% 이상 성장한 41억 달러를 기록할 전망이다. 성장세가 둔화되 기는 하고 있으나 여전히 미국 태양광 수요의 50% 이상을 대형 태양 광 발전이 차지하고 있다. 이는 오바마 행정부의 신재생에너지산업에 대한 우호적인 지원정책이 지속되고 있고, 석탄 발전에 대한 규제 강

화도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며, 수명 연한이 다 된 석 탄발전소를 폐쇄시키고 있으며, 석탄 발전에 대한 환경규제를 대폭 강 화하여 신규 석탄발전소 건설이 어려운 상황이다.

RPS를 충족시키기 위한 대형 프로젝트들의 PPA(Power Purchase Agreement) 체결되고 있어 발전사들의 RPS를 위한 수요는 감소할 것 으로 보인다.

대형 발전사들은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의 12%를 소유하고 있고, 나 머지 88%는 PPA 계약을 통해 1.1GW를 구매하고 있고, 대형 프로젝트 개발로 발전사들의 RPS 목표치에 근접하고 있어 향후 대규모 프로젝 트에 대한 발전사 수요는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다시 떠오르는 태양광산업", Issue Briefing, Vol. 2013-G-04, 2013.09.25.

<그림 19> 미국 태양광시스템 가격 동향

미국의 소규모 분산전원 태양광시장은 세금공제 및 다양한 금융제도 로 성장세가 가속화되고 있다. 2010년 600MW에 불과했던 소규모 분산 전원 시장이 1.9GW로 3배 이상 성장하였다. 이러한 배경에는 태양광 설치비용이 꾸준히 떨어지고 있고 다양한 금융프로그램은 가정용 태양

광 수요를 유인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나. 일본 태양광 시장동향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사태 이후 태양광 발전차액제도 신설 등의 적 극적인 지원정책으로 태양광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구체적 으로는 가정용 태양광발전 기준으로 2011년 48엔/kWh, 2012년 35엔 /kWh, 2013 년(4월 이후) 20엔/kWh 발전차액을 지급하고 있다. 이러 한 추세는 2013년 4월 이후 발전차액이 조정됨에도 불구하고 하반기 태양광 수요도 양호할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다시 떠오르는 태양광산업", Issue Briefing, Vol. 2013-G-04, 2013.09.25.

<그림 20> 발전차액 변화에 따른 일본 가정용 태양광 수요량 일본의 태양전지 산업은 2013년 최소 6,940MW에서 최대 9,414MW 시장을 형성하여 세계 최대 태양광시장으로 등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태양광시장은 규모 및 성장률 측면 모두에서 세계에서 가장 빠르 게 성장하고 있는 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보수적 전망치> <낙관적 전망치>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다시 떠오르는 태양광산업", Issue Briefing, Vol. 2013-G-04, 2013.09.25.

<그림 21> 일본 태양광시장 현황 및 전망

이러한 일본 태양광시장의 수요급증으로 일본 태양광 업체들의 생산 량이 증가하는 등의 수혜를 받고 있다.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다시 떠오르는 태양광산업", Issue Briefing, Vol. 2013-G-04, 2013.09.25.

<그림 22> 일본 태양광기업들의 전지 및 모듈 생산량

2012년 2분기 300MW 규모에 불과했던 일본 기업들의 2013년 1분기 태양전지(686MW) 및 모듈(934MW) 생산량이 증가하였으며, 태양광 수 요 증가로 일본 업체들의 공급량만으로는 부족한 상황으로, 2011년 16%였던 수입량이 2013년 1분기 46%까지 증가하였다.

다. 중국 태양광 시장동향

2012년 기준으로 중국의 발전용량은 1,124 GW이며, 2030년까지 1,583 GW가 신규로 설치될 예정이다. 중국의 경제성장으로 인한 발전 수요 증가로 중국내 발전시장은 2030년까지 두 배 이상 성장할 것이 며, 탈 석탄발전에 대한 노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012년 기준 석 탄 발전비중이 67%에 달하는 중국은 석탄 사용량 과다에 따른 온실가 스 및 대기오염 등의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다시 떠오르는 태양광산업", Issue Briefing, Vol. 2013-G-04,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다시 떠오르는 태양광산업", Issue Briefing, Vol. 2013-G-0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