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문화적 중요성

문서에서 R&D연구결과보고서 (페이지 24-0)

해외에서의 스마트TV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및 애플의 iOS 등 외산 업체의 스마트폰 플랫폼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어, 장기적으로 국산 가전제품의 경쟁력 상실 및 서비스 종속 우려가 있으 며, 또한 방송 분야에서의 주도권 상실은 문화적인 주권 약화로 이어질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의 지능형 홈 인프라와 가전기기 생산 능력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가장 먼 저 지능형 홈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스마트 디바이스의 활용과 콘텐츠의 유통률이 낮아 차세대 지능형 응용 시장의 우위 선점에 약세를 보이고 있다. TV와 같은 공용 특성이 높은 가전 기기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다양한 개인형 디바이스가 복합된 홈네트워크 기반 디바이스 협업 환경에서, 공용성과 개인화 특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상황인지 기반의 지능적 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제 2 절 국내 ․ 외 관련 기술의 현황 1. 국내 기술 동향 및 수준

가. 스마트TV 기술

삼성전자와 LG전자는 2011년 2월 풀HD 3D 기능을 가진 스마트TV 제품을 출시하였고, PC 환 경과 동일한 환경에서 간편한 인터넷 검색, 주변 기기와의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 등을 통해 TV 본연의 특성은 물론 원하는 콘텐츠를 쉽게 즐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삼성전자 는 2010년 3월 세계 최초로 런칭되어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약 300만회 다운로드를 기록한 '스마 트TV 앱스'로 스마트TV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 있으며, 독자적인 ‘바다’ OS로 세계 TV시장 1위 의 강점을 최대한 살리려 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유럽에서 다양한 비디오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PC에서 바로 감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휴대폰으로 전송해 언제어디서나 보는 것이 가능한 ‘무비 스토어’ 서비스 시작했다.

LG전자는 세계 TV시장 2인자로서 ‘넷캐스트 2.0’이라는 자체 OS를 선보여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하였으며, 다양한 콘텐츠와 애플리케이션을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환 경으로 경쟁사와는 철저히 차별화하고 있다. 그리고, Wi-Fi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PC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TV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아트시네마 Wi-Fi’ 서비스를 시작하였으나, 아직은 국내 산업에서 N-스크린 서비스에 대한 연구 및 상품 출시는 미약한 실정이다.

세계 TV 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22.3%), LG전자(13.5%)로 뛰어난 기술력과 디자인으로 세계 TV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나,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스마트TV가 등장하면서, 향후 콘텐츠와 애 플리케이션의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면 플랫폼에 대한 기술 우위 업체인 구글과 애플에게 종속 당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기업들은 우리에게 부족한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제공해주는 원천 기술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해질 전망이며, 스마트TV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쉽고 효과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관련 기술들이 향후 국내 기업들이 세계 TV시장을 지속적으로 선도 할 수 있는 중요 기술로 부각될 전망이다.

나. 디바이스 협업 오픈 미들웨어 기술

디바이스 간 연동 기술로서 삼성전자, LG전자, ETRI, 케이티 등이 ISO/IEC, ITU-T, W3C, DLNA, UPnP, HANA, IEEE, WiMedia, ZigBee 등에서 표준화와 그와 연계된 기술개발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ETRI와 iCube는 스마트TV의 근간이 되고 있는 UPnP Device Architecture, UPnP AC Architecture 및 DLNA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출처 : DLNA>

삼성전자의 올쉐어(AllShare)와 LG전자의 스마트쉐어(Smart Share)는 DLNA를 기반으로 스마 트폰, 스마트패드, TV, 프린터 등을 연계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 특별한 장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DLNA 제품끼리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으나, 설치해야 하는 소프트웨어들이 지나치게 많 아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출처 : 삼성전자, LG전자 웹사이트>

블루투스는 무선 통신 기술로서 헤드셋이나 마우스 등 다양한 주변 기기의 상호 연동성을 제공 하기 위하여 주변 기기의 프로파일을 정의하여 호환성을 제공하나, 디바이스 단위이며 기능 요소 별로 자유롭게 활용 가능한 협업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 KAIST, 아주대 등에서는 상황인지 등 홈네트워크에서 상황에 따라 서비스를 지능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미들웨어 기술을 개발 중이 며, 케이티, 서울통신 등에서는 음성으로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멀티모달 인터페이 스 기술을 개발 중에 있다.

중앙대 HNRC(Home Network Research Center)에서는 지능적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차세대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구조를 개발하였고, 지능형 홈 구조 통합 연구 기술 및 상황인지 미들웨어를 개발 중이며 지능적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완성을 위해 산학연 공동 연구개발 체계로 운영 중이 다.

다. 디바이스 협업 기술

케이티는 ‘올레(olleh)TV’를 활용하여 스마트폰과 태블릿PC에서 올레TV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N-스크린 서비스를 ‘11년 4월에 시작했고, 인터넷 웹 검색이 가능한 올레TV 셋톱박스를 출 시하였다. 또한, 유클라우드홈의 N-스크린 지원, 케이티스카이라이프의 N-스크린 서비스, 케이티 H의 Playy 등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디바이스 협업 및 N-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출처 : 케이티, KTH 웹사이트>

LG U+는 AP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스마트폰과 스마트TV, PC, 태블릿PC 등 디지털기기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DLNA 기반 '무선 N-스크린‘ 서비스인 ’U+ Shoot & Play'를 출시했고, 이 서비스는 콘텐츠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거나 인코딩하는 과정 없이 PC나 스마 트폰 등에 저장된 콘텐츠를 다른 DLNA가 탑재된 디지털기기로 그대로 불러올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리모컨 버튼 하나로 한 화면에 애플리케이션/웹 브라우저/소셜 TV를 모두 보여줘 콘텐츠의 활용을 쉽게 해 주는 ‘스마트 허브’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TV를 선보였으며, 휴대폰 문 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집 밖에서 에어컨을 켜고 끌 수 있는 기능이 적용된 스마트 가전을 2011 년에 출시하였다.

LG전자는 냉장고, 세탁기, 오븐, 로봇청소기 등 가정 내 가전제품을 네트워크로 연결, 휴대단말 기로 제품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원격제어를 통해 원하는 기능이 작동하도록 하는 제품을 2011년 상반기에 상용화하였다.

KAIST, 광주과기원, 연세대 등에서 상황인지 기술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기반 기술에 대한 연구 초기 단계로 상황정보를 습득하고 이를 처리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충남대는 자원이 제 한적인 모바일 단말기의 특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황인지 기반 실시간 디바이스 협업 시스템을 개발하여, 주변의 다양한 디바이스 리소스를 실시간으로 공유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제한적인 자원 문제를 해결하는 상황 인지 기반의 디바이스 협업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ETRI에서 개발한 이질적인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디바이스 간 상호연동을 제공하는 홈네트워크 상호연동 프로토콜 기술이 KS규격(KSX4501, '11.04)으로 확정되었다. 홈 상황 변화에 따라 홈네 트워크 시스템을 재구성하여 자율적으로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통합홈자원관리 기술에 대한 기본 개념을 정립하고 원천기술을 확보하였으며 ISO/IEC JTC1 SC25 표준화를 추진

중에 있다.

라. N-스크린용 상황 적응형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상황정보 기반 기술은 사용자의 작업과 관련된 적절한 정보 혹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 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사용하는 기술로써, 사람과 컴퓨터간의 의사소통 수준을 사람간 의 소통과 유사한 수준으로 구현하여 효율적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반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케이 티의 아이폰용 ‘쿡TV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은 3G나 Wi-Fi에 접속해 채널변경, 음량 조정 등 쿡 TV를 제어할 수 있다. 심플한 UI와 아이폰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현재 시청 중인 채널 및 프로그 램 명, 방송시간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출처 : 네이버 블로그(kkyetnip)>

삼성전자는 앞면은 TV 리모컨, 뒷면은 쿼티 자판 형식으로 사용자 편의성을 대폭 강화한 스마 트TV용 ‘쿼티형 스마트 리모컨’을 출시하였으며, 갤럭시S와 갤럭시탭, 아이폰 등의 스마트 기기를 리모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있다.

<출처 : 삼성전자 웹사이트>

LG전자는 PC의 마우스처럼 쉽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TV 전용 동작인식 리모컨인

‘매직 모션 리모컨’을 선보였으며, LG TV 리모컨 어플(LG TV Remote)을 제공하여 일반 리모 컨과 매직 모션 리모컨의 두 가지 컨트롤을 스마트폰 하나로 조작할 수 있다.

<출처 : LG전자 웹사이트>

삼성전자, LG전자, 홈네트워크 관련 벤처기업에서 홈네트워크 서비스 UI로 월패드, TV, PC, PDA, 휴대폰 등을 이용하나, 개발의 편의성만을 고려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저해하고 있다. 홈네 트워크 서비스의 이용 증대를 위해서는 사용자 편의성이 중심이 되어야 하며 이는 홈네트워크 서 비스 개발 단계부터 사용자 이용 빈도가 높은 월패드, TV, PC, PDA, 휴대폰뿐만 아니라 새로운 형태의 입출력 장치를 쉽게 수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고려해야 한다. ETRI에서는 UPnP Remote UI 프로토콜을 개발하였으며, ETRI와 KETI 등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응적으로

삼성전자, LG전자, 홈네트워크 관련 벤처기업에서 홈네트워크 서비스 UI로 월패드, TV, PC, PDA, 휴대폰 등을 이용하나, 개발의 편의성만을 고려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저해하고 있다. 홈네 트워크 서비스의 이용 증대를 위해서는 사용자 편의성이 중심이 되어야 하며 이는 홈네트워크 서 비스 개발 단계부터 사용자 이용 빈도가 높은 월패드, TV, PC, PDA, 휴대폰뿐만 아니라 새로운 형태의 입출력 장치를 쉽게 수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고려해야 한다. ETRI에서는 UPnP Remote UI 프로토콜을 개발하였으며, ETRI와 KETI 등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응적으로

문서에서 R&D연구결과보고서 (페이지 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