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블레이크가 살았던 시기에 영국 사회는 산업혁명과 프랑스 대혁명의 영향을 받는 격동의 시기였다. 산업혁명에 의해서 가내공업에서 공장제 기계공업으로 바 뀌며 대량 생산 체제가 활성화 되었다. 도시로 인구가 몰리는 밀집현상이 나타난 반면 농촌에는 가난하고 힘없는 자들만 남게 되면서 하층 노동자 계급을 형성하 는 문제가 생겨난다. 자본가 계급과 노동자 계급은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이로 인해 노동자들에게는 저임금, 장시간 노동, 열악한 노동환경, 아동학대등의 문제 도 발생하게 되었다. 블레이크는 당대의 이러한 현실을 그의 특유의 비전의 눈으 로 바라보고, 당대를 도덕적 가치와 인간성 상실의 시대로 규정한다.

블레이크 당대 사회 안에서의 인간관계를 톰슨(E. P. Thompson)은 『영국 노동 계급의 형성』(

The Making of the English Working Class

)을 통해 계급의 정의와 계급 형성 과정을 설명한다.

“노동 계급”은 별개의 현상들을 느슨히 함께 묶는다. 전문적으로 옷을 마름 질하는 재단사와 공장에서 일하는 방직공들이 함께 노동 계급을 구성한다.

계급을 통해 역사적 현상을 이해하고, 경험의 소재와 의식 안에서 서로 다르 고 겉으로 보기에 연결되지 않은 여러 가지 사건을 통합한다. 나는 그것이 역 사적인 현상이라고 강조한다. 나는 계급을 “구조” 또는 “범주”로 보지 않 고 인간관계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그리고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 본다.8)

블레이크 시대의 계급은 구조나 범주가 아닌 인간관계 속에서 실제 경험을 통해 일어나는 역사적인 현상이다. 계급은 고정적인 어떤 것(thing)이라기보다는 역동 적인 관계(relationship)를 말하며 역사적 상황 안에서 사람들이 공통으로 겪는 경 험으로 그들 간의 일치하거나 불일치하는 이해관계를 통해 사회계급이 생겨난다.

즉 계급은 인간과 환경 사이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블레

8) E. P. Thompson, The Making of the English Working Class (New York: Vintage Books, 1966), p. 9.

이크는 이렇게 형성된 계급이 자본가 대 노동자, 부자 대 가난한 자 등으로 양분 되고 대립되는 것을 비판한다.

산업혁명은 단지 증기기관이나 공장 등 새로운 생산기술의 등장으로만 규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닌 더 넓은 사회적 변화라고 할 수 있으며, 그 변화의 핵심에 자 본주의적 생산관계에 기초를 둔 착취와 이를 방관하는 국가 경제 정책의 이데올 로기가 뚜렷이 등장한다. 노동자들은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임금, 작업시간 뿐 만 아니라 수치로 나타내기 어려운 장인으로서의 독립성 상실, 작업 강도 격화와 노동 규율 강화 등의 변화를 느낀다. 이러한 변화로 인한 가정의 균열과 비위생 적인 주거환경은 그들의 건강을 악화시키고 전반적인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9) 급격한 사회변동과 동시에 혼란을 야기한 또 하나의 원인은 프랑스 대혁명이 었다. 시민혁명인 프랑스 대혁명은 모든 국민이 계급을 벗어나 시민으로서의 자 신의 주권을 되찾고 자유롭고 평등한 기본 권리를 보장 받기 위하여 스스로 일 으킨 혁명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프랑스 대혁명의 본래의 취지 와는 다르게 이는 혁명의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전개 되거나 부정적인 측면들이 노출되기도 하였다. 이는 합리화되어 가는 사회, 도시적인 생활, 부르주 아적인 생태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자유, 평등, 박애는 프랑스 대혁명의 기본 이념이었으며, 많은 지식인들이 이를 실현하기 위해 혁명 속에서 몸부림쳤다. 인간의 기본적 권리, 개인과 사회의 관계, 문학과 예술의 사 회적 역할 등 현대의 주요 관심사들 대부분이 이 시기에 논의된다. 프랑스 대혁 명은 영국 국민들에게도 정치적 각성을 촉구하며 국가 안에서의 개인의 권리나 역할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블레이크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영국 사회의 모순과 현실에 대해 강렬하고 날 카롭게 비판한다. 당시 런던은 세계의 배꼽이라고 할 만큼 번영했지만 그 한복판 에서 블레이크는 세상의 부조리함을 외친다. 블레이크는 부와 권력을 지닌 사람 들의 수많은 비판과 비난에 맞설 만큼 강한 정신을 지녔으며, 어두운 사회가 만 들어놓은 인간의 육체와 영혼에 끼친 참담한 결과에 주목한다. 그는 이러한 현실 세계의 부정과 불의에 상징적인 비평을 가하고 실현 가능한 이상 세계를 작품을

9) Thompson, pp. 210-211.

통해 제시한다. Imagination is not a State: it is the Human Existence itself)11) 혹은 "모든 것은 인간의 상상 속에 존재한다"(For All Things Exist in the Human Imagination)12)

10) Northrop Frye, Fearful Symmetry: A Study of William Blake (Princeton: Princeton UP, 1972), p. 55.

11) William Blake, The Complete Poetry and Prose of William Blake, ed. David V. Erdma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1), p. 132. 이후 본문의 모든 시와 산문은 이 책에 서 인용하였으며 시의 연과 행수, 산문의 페이지를 표기하겠음.

12) Blake, The Complete Poetry and Prose of William Blake, p. 223.

과 관계를 맺을 수 있다. 모든 시인들은 감각의 세계에서 일을 하지만, 낭만주 의 시인들의 활동 안에서 감각의 세계는 예언적인 힘을 행사하는 도구였다.

[...] 비록 모든 낭만주의 시인들이 현실 이면의 것을 믿었고 그들의 시를 여기 에 기반으로 두었지만, 그들은 숨은 세계를 다른 방식으로 발견하고 다른 용 도로 사용했다. 다양한 방식과 용도들은 눈에 보이는 세계에 부여하는 중요성 과 그것의 해석의 정도에 따라 다양하다.13)

낭만주의 시인들에게 시는 상상력에 의해 생명을 갖게 되는 작품이며 이들이 활 동하는 감각의 세계는 상상력에 호소하는 작품 세계이다. 블레이크가 꿈꾸는 이 상 세계를 향한 과정 또한 상상력을 통해 현실 세계 너머의 진정한 본질을 찾아 가는 노력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이러한 상상력을 통해 자아가 활동함으로써 인 간 본래의 자유와 순수함을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낭만주의 시인들은 기존의 질서가 새로운 시대정신과 어울리지 않고 구시대를 타파하기 위해서 내적(인간적), 외적(사회적)인 혁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그 들은 물질적 가치를 점점 더 추구하는 사회 속에서 남아있는 인간적 가치를 수 호하려 노력하였으며, 시 속에서 중요한 주제가 되었다. 그리하여 기존 시대의 불합리함과 잘못된 점을 비판하고, 보다 나은 시대를 위한 혁명정신을 그들의 작 품 속에 투영하게 된다.

특히 블레이크는 다른 낭만주의 시대의 어떤 작가들보다도 당대의 사회와 현 실, 종교, 과학의 문제를 심각하게 고찰하고, 상상력에 대한 그의 신념을 가장 엄 격하게 적용시킨다. 그는 "한 가지 힘만으로도 시인을 만드는데 그것은 바로 상 상력이자 신성한 환상"이라고 자신 있게 말한다.14) 블레이크가 '상상력'을 '신성 한 비전' 이라고 정의하는 것은 인간과 신을 똑같이 보고 더 나은 순수세계를 향 해 인간 스스로 만들어내는 정신의 기능을 내보이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블레 이크는 신의 창조력과 인간의 상상력을 동일시하게 된다.

13) C. M. Bowra, The Romantic Imagination (Oxford: Oxford UP, 1985), pp. 12-13.

14) Bowra, p. 14.

블레이크에게 신과 상상력은 하나다. 즉, 신은 인간의 창조적이고 영적인 힘이 며, 인간과 떨어져있는 신의 개념은 아무 의미가 없다. 블레이크가 신성에 관 해 말할 때, 그것은 이러한 힘을 언급하는 것이지 외부의 또는 독립적인 신의 권세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그의 노래가 신의 사랑과 보살핌에 관해 말할 때, 우리는 그 노래가 인간이 그들 자신을 표현하는 자질이라고 생각해 야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자신의 완전하고 신성한 본성을 깨닫게 된다.15)

블레이크는 인간에게서 떨어진 신은 아무 의미가 없다고 본다. 그는 삭막해져버 린 세계 속에서 기존의 정치와 사회 그리고 종교마저 의지할 수 없게 되어버린 인간에게는 아무것도 대신할 것이 없음을 알고 있다. 따라서 신과 상상력을 하나 로 보고 블레이크는 상상력, 즉 신이 창조한 인간 본연의 따뜻한 마음에서 대안 을 찾는다. 블레이크에게 상상력은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주어진 따뜻하고 순수 한 마음이기 때문이다. 비록 세상은 정치, 사회, 종교의 부조리함으로 어지럽지만 인간은 상상력을 통해서라면 타인에게로 향할 수 있는 희망의 사회를 만들 수 있으며 자신의 완전하고 신성한 본성을 깨달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상력 없이 만일 세계가 이미 알려져 있는 것들로만 구성되어 있고 인간이 그것을 수동적으로 인지하는 능력만을 가지고 있다면 이 세계는 "똑같이 지루한 순환을 반복"(repeat the same dull round over again)하게 될 것이다. (p.3) 그러 나 인간의 역사는 새로운 것들을 인식하고 만들어 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모든 새로운 것의 원천으로서 시적 정기가 존재한다. 이때 시적 정기는 대상과의 만남 을 통해서 대상을 발견하고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인간의 창조적 상상력을 지칭하는 것이며 이 창조적 상상력이야말로 인간에게 내재해 있는 신성이라고 할 수 있다.16)

상반되는 것들이 존재하지 않는 한 발전은 없다. 끌어당김과 밀어냄, 이성과 에너지, 사랑과 증오는 인간 존재의 필연이다. (p.34)

15) Bowra, p. 34.

16) 허윤덕, 「블레이크와 예언적 글쓰기」, 『영어영문학연구』 47.4 (2005): 344.

상반되는 것에 대한 블레이크의 선언은 인간의 지각 활동과 창조적 상상력은 분 리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인간에게 내재된 신성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상반되 는 것들의 투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선언은 『순수와 경험의 노래』의 부제

상반되는 것에 대한 블레이크의 선언은 인간의 지각 활동과 창조적 상상력은 분 리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인간에게 내재된 신성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상반되 는 것들의 투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선언은 『순수와 경험의 노래』의 부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