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정도의 차이분석

본 연구에서는 스쿼시참가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정도인 빈도, 시간, 강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이러한 사회인구학 적 변인들이 스쿼시운동 참여정도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t - t est 및 변량분석(AN OVA)을 하였다.

( 1 ) 성별에 따른 참여정도의 차이

스쿼시참가자의 성별에 따른 참여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참여빈도, 참여 시간, 참여강도의 차이를 분석한 t - t est 결과는 <표 5>와 같다.

표 5. 성별에 따른 참여정도의 t- test 결과

변 인 남자 여자 F Sig

M SD N M SD N

참여빈도 2.363 0.848 366 2.166 0.778 468 4.645 .031 참여시간 2.699 0.871 366 2.446 0.779 468 1.050 .306 참여강도 2.781 0.904 366 2.670 0.742 468 7.654 .006 전 체 2.614 0.874 366 2.427 0.766 468 4.449 .114

<표 5>와 같이 성별에 따른 참여정도의 전체 평균은 남자(N = 36 6 )가 2 .6 14로 여자(N = 4 6 8 ) 2 .4 27에 비해 약간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참여정도는 남자가 여 자에 비해 적극적인 활동을 하였다.

성별에 따른 참여정도에서는 남자는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강도 모두가 여자에 비해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이는 남성집단이 여성집단에 비해 참여빈도, 참여시간 이 많고 참여강도가 월등히 길고 높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성별에 따른 참여정도의 F값은 참여빈도 4 .64 5 , 참여시간 1.0 50 참여강도 7 .6 54가 0 .0 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2 ) 연령별에 따른 참여정도의 차이

스쿼시참가자의 연령별에 따른 참여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참여빈도, 참 여시간, 참여강도의 차이를 분석한 변량분석 결과는 <표 6 >과 같다.

표 6. 연령별에 따른 참여정도의 변량분석 결과

변 인 20대 30대 40대 F Sig

M SD N M SD N M SD N

참여빈도 2.415 .848 438 2.003 .715 308 2.318 .766 88 24.770 .000 참여시간 2.664 .800 438 2.500 .821 308 2.500 .906 88 11.627 .000 참여강도 2.664 .773 438 2.730 .836 308 2.954 .933 88 4.688 .009 전 체 2.581 0.807 438 2.411 0.790 308 2.590 0.868 88 13.695 .003

<표 6 >과 같이 연령별에 따른 참여정도의 전체 평균은 20대(n = 4 38 ) 2 .58 1, 30대(n = 3 08 ) 2 .4 14 , 4 0대(n = 88 ) 2 .59 1의 평균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참 여정도는 4 0대, 20대, 30대순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연령별에 따른 참여정도 에서 20대는 참여시간, 참여강도, 참여빈도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30대는

참여강도, 참여시간, 참여빈도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4 0대는 참여강도,

(n=34) (n=71) (n=283) (n=2 1) (n=93) (n=125) (n=207)

M SD M SD M SD M SD M SD M SD M SD

빈도 2.735 .963 2.009 .589 2.802 .802 2.631 .894 2.462 .854 1.832 .631 2.497 .805 13.882 .000 시간 2.764 .854 2.338 .893 2.530 .759 2.666 .856 2.860 .879 2.328 .780 2.628 .848 5.361 .000 강도 2.764 .654 2.926 .990 2.830 .789 3.000 1.095 2.720 .948 2.640 .700 2.507 .743 4.761 .000 전체 2.754 .824 2.454 .824 2.721 .783 2.766 .948 2.681 .894 2.267 .704 2.544 .799 8.001 .000

<표 7 >와 같이 직업형태별에 따른 참여정도의 전체 평균은 무직(n = 34 ) 2 .7 54 ,

참여시간, 참여강도, 참여빈도순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주부는 참여강도, 참

참여빈도 2.177 .792 371 2.313 .829 463 5.703 .017 참여시간 2.439 .770 371 2.652 .859 463 13.764 .000 참여강도 2.792 .863 371 2.660 .776 463 5.345 .021 전 체 2.469

0.808333 333

371 2.541 0.821 463 8.270 .012

<표 8 >과 같이 결혼여부에 따른 참여정도의 전체 평균은 미혼(n = 4 60 ) 2 .54 2이 기혼(n = 374 ) 2 .4 69에 비해 약간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기혼자와 미혼자 모두 가 참여강도, 참여시간, 참여빈도순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기혼자가 참여강도에서 미혼자보다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참여빈도, 참여시간 에서는 미혼자보다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른 참여정도의 F값은 참여빈도 5 .7 03 , 참여시간 13 .764 , 참여강 도 5 .34 5가 0 .0 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2 )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스쿼시운동만족의 차이분석

스쿼시참가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스쿼시운동만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 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이러한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이 스쿼시운동만족 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t - t est 및 변량분석을 하였다.

( 1 ) 성별에 따른 스쿼시운동만족의 차이

스쿼시참가자의 성별에 따른 스쿼시운동만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심리적, 교육적, 사회적, 휴식적, 생리적 그리고 환경적 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t - t est 결과는 <표 9 >과 같다.

표 9. 성별에 따른 스쿼시운동만족의 t- test 결과

하위요인 남자 여자 F Sig

M SD N M SD N

심리적 3.753 .387 366 3.622 .477 468 10.114 .002 교육적 3.466 .415 366 3.411 .507 468 18.619 .000 사회적 3.500 .545 366 3.087 .541 468 .128 .720 휴식적 3.854 .471 366 3.440 .541 468 1.737 .188 생리적 4.032 .516 366 3.652 .573 468 .009 .926 환경적 3.577 .694 366 3.527 .480 468 52.459 .000 전 체 3.697 .505 366 3.456 .519 468 13.844 .306

<표 9 >과 같이 성별에 따른 스쿼시운동만족의 전체 평균은 남자(N = 3 66 )가

3 .69 7로 여자(N = 4 68 ) 3 .4 57에 비해 약간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스쿼시운동

심리적 3.627 .485 438 3.739 .372 308 3.733 .437 88 6.553 .002 교육적 3.378 .500 438 3.531 .432 308 3.386 .377 88 10.383 .000 사회적 3.311 .575 438 3.216 .597 308 3.242 .531 88 2.550 .079 휴식적 3.604 .544 438 3.633 .512 308 3.688 .700 88 .600 .549 생리적 3.715 .632 438 3.935 .516 308 3.929 .399 88 15.282 .000 환경적 3.486 .495 438 3.672 .642 308 3.426 .701 88 11.602 .000 전 체 3.520 0.539 438 3.621 0.511 308 3.567 0.524 88 7.828 .105

<표 10 >과 같이 연령별에 따른 스쿼시운동만족의 전체 평균은 20대(n = 4 38 ) 3 .52 0 , 30대(n = 308 ) 3 .62 1 , 4 0대(n = 8 8 ) 3 .567의 평균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스쿼시운동만족은 30대, 4 0대, 20대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에 따른 스쿼시운동만족에서 20대는 생리적, 심리적, 휴식적, 환경적, 교

육적, 사회적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30대는 생리적, 심리적, 환경적, 휴식

(n=34) (n=71) (n=283) (n=21) (n=93) (n=125) (n=207)

M SD M SD M SD M SD M SD M SD M SD

심리적 3.539 .231 3.761 .374 3.712 .513 3.191 .680 3.723 .434 3.688 .346 3.669 .385 5.853 .000 교육적 3.228 .559 3.310 .470 3.421 .480 3.405 .503 3.505 .415 3.584 .395 3.414 .475 4.644 .000 사회적 3.213 .409 3.444 .444 3.401 .504 3.619 .472 3.393 .755 2.892 .489 3.173 .591 17.065 .000 휴식적 3.500 .354 3.909 .500 3.689 .556 3.536 .502 3.879 .469 3.338 .506 3.515 .544 16.042 .000 생리적 3.904 .369 3.880 .509 3.924 .661 3.821 .211 3.909 .556 3.782 .428 3.622 .581 6.488 .000 환경적 3.265 .631 3.479 .743 3.542 .617 3.714 .634 3.543 .493 3.628 .533 3.566 .516 2.235 .038 전 체 3.442 .426 3.631 .507 3.615 .555 3.548 .500 3.659 .520 3.485 .450 3.493 .515 8.721 .006

<표 11>과 같이 직업형태별에 따른 스쿼시운동만족의 전체 평균은 무직(n = 34 ) 3 .44 2 , 자영업(n = 7 1) 3 .63 1, 회사원(n = 283 ) 3 .6 15 , 공무원(n = 2 1) 3 .54 8 , 전문직(n = 93 ) 3 .6 59 , 주부(n = 12 5) 3 .4 8 5 , 학생(n = 20 7 ) 3 .4 93으로 나타났

다.

직업형태별에 따른 스쿼시운동만족에서 무직은 생리적, 심리적, 휴식적, 환경적, 교육적, 사회적순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자영업은 휴식적, 생리적, 심리적, 환경적, 사회적, 교육적순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회사원은 생리적, 심리적, 휴식적, 환경적, 교육적, 사회적순으로 나타났다. 공무원은 생리적, 환경적, 사회적, 휴식적, 교육적, 심리적순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전문직은 생리적, 휴식적, 심리적, 환경적, 교육적, 사회적순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주부는 사회적, 생 리적, 심리적, 환경적, 교육적, 휴식적순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학생은 심리 적, 생리적, 환경적, 휴식적, 교육적, 사회적순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심리적 인 요인에서는 자영업이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고, 공무원이 가장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교육적인 요인에서는 주부가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고, 무직이 가장 낮 은 점수가 나타났다. 사회적인 요인에서는 공무원이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고, 주 부가 가장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휴식적인 요인에서는 자영업이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고, 주부가 가장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생리적인 요인에서는 회사원이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고, 학생이 가장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환경적인 요인에서는 공 무원이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고, 무직이 가장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직업형태별에 따른 스쿼시운동만족의 F값은 심리적 5 .8 53 , 교육적 4 .644 , 사회 적 17 .06 5 , 휴식적 16 .04 2 , 생리적 6 .4 88 , 그리고 환경적 2 .23 5이 0 .0 5수준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4 ) 결혼여부에 따른 스쿼시운동만족의 차이

스쿼시참가자의 결혼여부에 따른 스쿼시운동만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심리적, 교 육적, 사회적, 휴식적, 생리적, 환경적 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t - t est 결과는 <표

12 >와 같다.

표 12. 결혼여부에 따른 스쿼시운동만족의 t- test 결과

하위요인 기혼 미혼 F Sig

M SD N M SD N

심리적 3.716 .386 374 3.653 .487 460 10.165 .001 교육적 3.487 .377 374 3.390 .530 460 52.168 .000 사회적 3.249 .571 374 3.276 .586 460 .969 .325 휴식적 3.642 .541 374 3.609 .561 460 1.059 .304 생리적 3.870 .497 374 3.781 .639 460 14.336 .000 환경적 3.544 .569 374 3.550 .599 460 1.122 .290 전 체 3.585 0.490 374 3.543 0.567 460 13.303 .153

<표 12 >와 같이 결혼여부에 따른 스쿼시운동만족의 전체 평균은 기혼(n = 374 ) 3 .58 5로 미혼(n = 4 6 0 ) 3 .54 3에 비해 약간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기혼자가 심 리적, 교육적, 휴식적, 생리적인 요인에서 미혼자보다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사 회적, 환경적인 요인에서는 미혼자보다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른 스쿼시운동만족에서 기혼자와 미혼자 모두가 생리적, 심리적, 휴 식적, 환경적, 교육적, 사회적 순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른 스쿼시운동만족의 F값은 심리적 10 . 16 5 , 교육적 52 . 168 , 사회 적 .969 , 휴식적 1.0 59 , 생리적 14 .336 , 그리고 환경적 1. 122이 0 .0 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2 . 논의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