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분석 방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7-41)

Ⅳ. 연구결과 A. 기초통계분석

1. 주요 변인의 기술 통계

본 분석에 앞서 독립변인 간의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진단하기 위해 공차한계가 0.1 이하이거나 VIF 계수가 4-5 이상으로 나타나면 다중공선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하게 된다. 또한, Durbin-Watson 지수는 2에 가까울수록 독립적이고, 0이나 4에 가까울수록 자기상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다중공선성을 확인한 결과, 모든 독립변인에 서 공차한계는 .51-.1.00, VIF 계수 1.00-1.94, Durbin_Watson 지수가 1.71로 나타났다.

이같이 독립성 가정이 충족되므로 이후 분석을 진행하였다.

내현적 자기애, 거부민감성 및 관계적 공격성의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변인들의 기술통계 자료의 왜도와 첨도를 통해 정규성을 검토하였다. 왜도와 첨도의 유의성은 일반적으로 왜도와 첨도의 값 자체로 판단하게 되는데, West, Finch, Curran(1995)에 따르면 왜도가 2를 초과하거나, 첨도가 7을 초과하면 정규분포를 따른 다고 보기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Kline(2005)는 왜도의 절대값이 3.0보다 크거나, 첨도의 절대값이 10.0보다 크다면 분포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제안하였다 (DeCarlo, 1997).

본 연구에서 변인들의 왜도와 첨도를 살펴본 결과, 변인들 대부분의 왜도와 첨도가 2 또는 7을 초과하지 않아 정규성 가정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계적 공격성의 주도적 관계적(왜도 3.08, 첨도 10.05),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왜도 2.81, 첨도 8.66)과 반응적 관계 공격성(왜도 3.04, 첨도 9.66)의 왜도와 첨도가 정규분포를 다소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왜도와 첨도의 기준치를 충 족하지 않은 관계적 공격성의 주도적 관계적과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에 로그를 취하여 정규성을 나타내도록 변인을 변환하여 사용하였다(문수백, 2009; 이성용, 이정환, 황명 진, 2007). 로그변환 후 관계적 공격성의 왜도는 2.32, 첨도는 5.63, 주도적 관계적의 왜 도는 .84, 첨도는 .03, 반응적 관계적의 왜도는 2.05, 첨도는 4.31로 나타났다. 이는 Kline(2005)의 기준(왜도>3.0, 첨도>10.0)에 따라 정규성 분포를 충족한다고 판단할 수 있어 로그변환한 값을 이후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는 다음 <표 Ⅳ-1>과 같다.

연구변인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내현적 자기애

1. 목표불안정 2.75 .75 .11 .12

2. 인정/거대자기환상 2.87 .75 -.42 .27

3. 착취/자기중심성 2.17 .67 .07 -.40

4. 과민/자기취약성 2.61 .77 -.24 -.19

5. 소심/자신감부족 2.90 .74 -.01 -.37

6. 내현적 자기애 전체 2.66 .60 -.36 .24

거부 민감성

7. 예기분노 2.43 .96 .08 -.82

8. 예기불안 2.34 .92 .21 -.59

9. 과잉반응 2.48 .97 .07 -.76

10. 거부지각 2.35 .97 .11 -.84

11. 거부민감성 전체 2.40 .83 -.12 -.83

관계적 공격성

12. 주도적 관계 공격성 1.24 .36 3.08 10.05 13. 반응적 관계 공격성 1.23 .36 2.81 8.66 14. 관계적 공격성 전체 1.24 .36 3.04 9.66

* p<.05, ** p<.01

<표 Ⅳ-1> 주요 변인의 평균 및 표준편차

2. 주요 변인의 상관분석

본 연구에서 내현적 자기애, 관계적 공격성, 거부민감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내현적 자기애와 거부민감성(r=.41, p<.01) 및 관계 적 공격성(r=.13, p<.05)은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거부민감성과 관계적 공격성(r=.33, p<.05)도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각 하위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변인은 서로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관계적 공격성의 하위 변인인 주도적 관계적 변인과 내 현적 자기애의 목표불안정과 인정/거대자기환상, 소심/자신감 부족은 통계적으로 유의 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는 다음 <표 Ⅳ-2>과 같다.

연구변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내현적 자기애

1. 목표불안정 1

2. 인정/거대자기환상 .38** 1 3. 착취/자기중심성 .45** .62** 1 4. 과민/자기취약성 .58** .75** .65** 1 5. 소심/자신감부족 .54** .59** .44** .76** 1 6. 내현적 자기애 전체 .72** .82** .77** .92** .82** 1

거부 민감성

7. 예기분노 .33** .59** .54** .57** .46** .60** 1 8. 예기불안 .30** .51** .45** .59** .54** .59** .64** 1 9. 과잉반응 .41** .53** .51** .62** .58** .64** .69** .71** 1 10. 거부지각 .34** .50** .47** .57** .50** .58** .66** .60** .73** 1 11. 거부민감성 전체 .41** .61** .57** .67** .60** .70** .86** .85** .90** .86** 1

관계적 공격성

12. 주도적 관계 공격성 .06 .08 .35** .20** .07 .18** .28** .26** .18** .19** .27** 1 13. 반응적 관계 공격성 13* .20** .42** .24** .12* .27** .37** .30** .26** .29** .35** .78** 1 14. 관계적 공격성 전체 .13* .19** .42** .24** .10* .26** .34** .30** .24** .26** .33** .88** .97** 1

* p<.05, ** p<.01

<표 Ⅳ-2>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치 및 상관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7-4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