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내현적 자기애와 거부민감성 및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1-34)

내현적 자기애는 타인의 반응이나 비판에 매우 취약하고 민감하여 부정적인 자기개 념을 가지고 있으며(강선희, 정남운, 2002), 자존감이 낮고 부정적인 자기개념을 형성함 에 따라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지니고 있다(이준득, 2005).

위축된 자아로 인해 자아상이 손상될 만한 상황은 되도록 회피하고자 하며, 타인의 반응에 예민함을 보인다(한수정․권석만, 2010; Hendin & Check, 1997). 이들은 대인 관계에서도 타인으로부터 거부당할 것에 두려워하여 거부단서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

고 경계함으로써(김진선, 2009), 모호한 상황에서 예민하고 과잉되게 반응하고, 거부단 서로 지각하여 위협적으로 느끼고 과도하게 경계를 하는 반응을 보인다(김진선, 2009;

박우람․홍상황, 2015; Downey & Feldman, 1996).

이처럼 거부민감성은 대인관계에서 부정적인 내적심리기제로 작용함에 따라 거부민 감성이 높은 경우 자아상에 위협이 가해지거나 손상될 만한 상황에서는 회피나 억제와 같은 방어기제를 사용함에 따라 자기애가 가진 분노 수준은 높지만 오히려 분노를 억 제시키는 경향을 보인다(이지연, 2008).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역할을 살펴본 연구는 거의 드물어 유사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내현적 자기애와 매우 유사한 자기개념인 자아존중감과 또래압력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이 유의한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유애형, 2014). 이는 자아존중감이 낮은 아동일수록 타인의 비판을 두려워하고, 위축된 모습을 보이며, 친구들로부터 거부당할 것에 대한 거부불안이나 거부분노 등을 높게 지각하는 경향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거부민감성의 특성으로 인해 자신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고, 또래와의 관계를 계속 보존하고자 하며, 타인에게 더 의존적인 모습 을 보임에 따라 또래압력에서 보다 취약한 점들로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또래압력은 대개 전위 공격성이 유발되는 또래 괴롭힘이나 학교폭력 상황에서 주로 나타나는 집단 동조성향인만큼 내현적 자기애와 공격성의 관계에서도 거부민감성이 중요한 매개역할 을 하는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임혜은, 2015).

이와 관련된 또 다른 연구에서는 내현적 자기애가 거부민감성을 통해 억제된 분노표 현양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미선, 2014). 이러한 연구결과는 내 현적 자기애가 높을수록 거부 대한 민감성이 크게 작용함에 따라 다른 사람으로부터 거부당할 것을 우려하여 자신의 분노감정을 억제하는 기제를 사용한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이에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 및 타인에 대한 내적심리 요 인인 거부민감성의 매개역할의 중요성을 고려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거부민감성을 매개하여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Ⅲ. 연구방법 A. 연구대상

본 연구는 G광역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다. 총 392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무응답과 불성실한 응답 36부를 제외 한 356부를 연구자료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표 Ⅲ-1> 과 같다.

성별은 남성 131명(36.8%), 여성 225명(63.2%)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으며, 학년 별로는 1학년 310명(87.1%), 2학년 28명(7.9%), 3학년 12명(3.7%), 4학년 5명(1.4%)이 다. 형제 수는 외동 29명(8.11%), 2명 215명(60.4%), 3명 92명(25.8%), 4명 이상 20명 (5.6%)이고, 출생순위로는 둘째가 146명(41.1%)으로 가장 많으며, 첫째 126명(35.5%), 셋째 46명(13.0%), 외동 3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요인 구분 빈도(N) 비율(%)

성별 남 131 36.8

여 225 63.2

학년

1학년 310 87.1

2학년 28 7.9

3학년 13 3.7

4학년 5 1.4

형제 수

외동 29 8.11

2명 215 60.4

3명 92 25.8

4명 이상 20 5.6

출생순위

외동 33 9.3

첫째 126 35.5

둘째 146 41.1

셋째 46 13.0

넷째 이상 5 1.1

* 결측치는 제외함

<표 Ⅲ-1> 인구 통계학적 특성 (N=356)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1-3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