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매시장의 가격 평균과 분산을 가지고 농가들의 절대적 위험 회피도 를 구한 결과,평균은  ×  이고 표준 편차는  × 으로 나왔 다.최솟값은  ×  이고  × 이다.이 값은 실험적인 방법 으로 사과 농가의 위험 회피도를 구한 지현서와 김태균(2010)연구의 결 과인  ×  보다 매우 작은 값이다.그래서 실험적인 방법으로 측정 한 경우 위험 회피도가 실제보다 높게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항목 관측치 평균값 표준 편차 최솟값 최댓값

절대적

위험 회피도 224  ×    ×   ×   ×  

<표 48> 절대적 위험 회피도

연구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절대적 위험 회피도

양승룡(2002) 한우비육농가 생산함수

투입량 결정  ×  권오상(2002) 쌀 농가 생산함수

투입량 결정  ×  지현서와

김태균(2010) 사과농가 조사실험  ×  Antle(1987),

Antle(1989) 인도 농가 시계열 소득 변동 0.4∼3.272 Sahaetal(1994) 미국 밀농가 생산함수,

투입량 결정 0.0075

<표 49> 기존 위험 회피도 연구 결과

양승룡(2002)은 한우 비육농가를 대상으로 절대적 위험 회피도를 구한 결과  × 이고,권오상(2002)이 쌀 농가를 대상으로 도출한 결과는

 × 이다.이 연구로 산출된 절대적 위험 회피도와 두 연구의 결 과를 비교해보면 사과 농가의 위험 회피도는 한우 비육 농가보다 작고

쌀 농가보다 크다고 볼 수 있다.절대적 위험 회피도는 단위가 없기 때 문에 해외 연구와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없으나 달러와 한화의 단위 차 이를 고려한다면,Sahaetal(1994)가 미국 밀 농가의 절대적 위험 회피 도 0.0075는 국내 사과농가의 절대적 위험 회피도와 비슷하다.

다음으로 절대적 위험 회피도와 연령 및 소득과의 관계를 검토하겠다.

연령은 평균 62.45세로 연구1의 평균 58세보다 높았다.표준 편차는 7.4 세이며 최솟값은 46세이며 최댓값은 82세이다.소득은 평균 45백만원이 고 최소 7백만원에서 최대 148백만원이다.

관측치 평균값 표준 편차 최솟값 최댓값

연령(세) 223명 62.45 7.40 46 82 소득(원) 224명 45,724,874 26,586,212 7,099,453 148,070,577

<표 50> 연령과 소득의 기술통계

분석 결과는 <표 51>과 같다.연령이 증가함에 따라서 절대적 위험 회피도의 변화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득이 높아짐에 따 라서 절대적 위험 회피도는 줄어들었다.연령에 대해서 CARA(constant absolute risk aversion)의 성격을 가지며 소득에 대해서는 DARA(decreasingabsoluteriskaversion)이다.

추정치 t값

연 령   ×  -1.294 소 득   ×  -6.162***

<표 51> 절대적 위험 회피도와 연령 및 소득 관계

*p<0.1,**p<0.05,***p<0.01

다음은 소득에 따라서 절대적 위험 회피도의 변화가 있는지 보여주는

표이다.소득이 증가함에 따라서 절대적 위험 회피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준다.이것은 소득이 높은 농가일수록 위험 회피도가 낮다는 의미이 므로 소득이 낮은 농가에 비하여 위험중립에 더욱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소득에 대해서 DARA의 성격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제 5절 소결론

기대 효용 이론의 기초적인 연구로서 사과 농가의 위험 회피도를 측 정하고자 하였다.경쟁시장에서 랜덤하게 변하는 가격에 직면한 농가가 기대 효용을 극대화기 위해서 자신이 생산한 상품 중 일부를 계약 판매 하는 선택하는 헷징 모형로 위험 회피도를 계산하였다.데이터는 충주 거점 산지유통센터와 도매시장 웹페이지에서 얻었다.효용함수를 직접적 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다루기 쉬운 평균-분산 접근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과 생산 농가의 절대적 위험 회피도 평균은

 ×  ,표준 편차는  × 로 계산되었다.이는 우리나라 사과 농가를 대상으로 측정한 지현서와 김태균(2010),임청룡 외(2015)의 연구 결과보다 100배 작은 값이다.이러한 결과 차이는 연구 방법의 차이로 보이는데,실험적인 방법으로 측정한 다른 연구들과 비교할 때 그 값이 달랐다.농가들이 실제 행동과 관련한 의사 결정을 할 때와 가상의 상황 에 대한 응답하는 것 간에는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아울러 위험 회피 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평균 소득이 높은 농가일수록 절대적 위험 회피도 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