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분석틀

문서에서 행 사 일 정 행 사 일 정 (페이지 44-166)

본 연구가 기존 연구와 다른 점은 현장 지향적 직업 연구를 수행한다는 점과 관 련된 다른 연구 사업과의 연계를 구축한다는 점이다. 관련 연구 사업과의 연계는 앞서 서술한 기존의 직무분석 사업과 직업 연구의 통합에서 찾을 수 있다.

전자산업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 연구의 출발점은 해당 산업의 성격과 동향에 대 한 분석에서부터 시작한다. 또한 산업 내 생산 공정을 살펴보고, 생산 공정별 관련

직업을 파악한다. 다음으로 다양한 관련 직업 가운데 핵심 직업을 추출하여 본격적 인 직업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다.

핵심 직업에 대한 분석은 세 가지 통로를 통하여 분석한다. 첫째는 현장 관찰과 심층 인터뷰를 통한 직무수행능력, 직업 환경, 커리어 경로, 교육 훈련 및 자격에 대한 분석이다. 둘째는 작업 조직과 스킬 형성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이다. 셋째는 핵심 직업을 대상으로 직무의 모형, 작업(task)별 스킬,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직무 분석이다.

이러한 일련의 직업 연구 결과들은 종합적으로 취합하여 분석한 다음, 궁극적으 로 교육 훈련과 자격 등 인적 자원 개발에 대한 정책 대안을 구성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연구 내용

주요 연구 방법

산업분석 산업별

핵심직업 직무분석 대상 직업 선정

현장조사를 통한 직업분석

•산업의 개관 및 현황

•거시적 동향 및 관련 요인(향후 전망과 환경 적 요인 포함)

•생산공정

•산업별 직업분류

•작업조직

•교육훈련시스템

•스킬형성

•조직성과 생산현장의 작업 조직과 스킬분석

핵심직업의 직무분석

•직무수행능력

•커리어 경로

•교육훈련 및 자격

•직무의 모형

•작업별 지식/스킬 /태도

•교육훈련과정

•출제기준 핵심직업 선정

기준 마련 및 적용

산업별 직업 연구 방법론 개발

및 적용

직무분석 결과의 부분적/ 전략적 통합 최종결과보고

직업 배치 핵심직업과

주변직업

심층인터뷰/현장관찰

설문조사 산업체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및 전문가 협의회

•산업별 직업의 세계

•직무분석 결과보고서 정책대안

•인력양성

•자격

•교육훈련

교육훈련프로그램 개발 연구

내용

주요 연구 방법

산업분석 산업별

핵심직업 직무분석 대상 직업 선정

현장조사를 통한 직업분석

•산업의 개관 및 현황

•거시적 동향 및 관련 요인(향후 전망과 환경 적 요인 포함)

•생산공정

•산업별 직업분류

•작업조직

•교육훈련시스템

•스킬형성

•조직성과 생산현장의 작업 조직과 스킬분석

핵심직업의 직무분석

•직무수행능력

•커리어 경로

•교육훈련 및 자격

•직무의 모형

•작업별 지식/스킬 /태도

•교육훈련과정

•출제기준 핵심직업 선정

기준 마련 및 적용

산업별 직업 연구 방법론 개발

및 적용

직무분석 결과의 부분적/ 전략적 통합 최종결과보고

직업 배치 핵심직업과

주변직업

심층인터뷰/현장관찰

설문조사 산업체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및 전문가 협의회

•산업별 직업의 세계

•직무분석 결과보고서 정책대안

•인력양성

•자격

•교육훈련 연구

내용

주요 연구 방법

산업분석 산업별

핵심직업 직무분석 대상 직업 선정

현장조사를 통한 직업분석

•산업의 개관 및 현황

•거시적 동향 및 관련 요인(향후 전망과 환경 적 요인 포함)

•생산공정

•산업별 직업분류

•작업조직

•교육훈련시스템

•스킬형성

•조직성과 생산현장의 작업 조직과 스킬분석

핵심직업의 직무분석

•직무수행능력

•커리어 경로

•교육훈련 및 자격

•직무의 모형

•작업별 지식/스킬 /태도

•교육훈련과정

•출제기준 핵심직업 선정

기준 마련 및 적용

산업별 직업 연구 방법론 개발

및 적용

직무분석 결과의 부분적/ 전략적 통합 최종결과보고

직업 배치 핵심직업과

주변직업

심층인터뷰/현장관찰

설문조사 산업체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및 전문가 협의회

•산업별 직업의 세계

•직무분석 결과보고서 정책대안

•인력양성

•자격

•교육훈련

교육훈련프로그램 개발

[그림 Ⅳ-2] 본 직업 연구의 분석틀

참 고 문 헌

금재호․김동우․김기헌(2001), 외국의 직업정보시스템: 미국과 캐나다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한상근(2004), “직업 연구의 현황과 과제." Working Paper, 04-0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Adams, E.(2003),

Break Into The Game Industry: How to Get A Job Making Video Games

. McGraw-Hill Osborne Media.

Adler, P. A. and Adler, P.(2004),

Paradise Laborers: Hotel Work in the Global Economy.

Cornell University Press.

Applebaum, H.(1999),

Construction Workers, U.S.A

. Greenwood Press.

Baron, J. N. and W. T. Bielby.(1980), "Bring the Firms Back in: Stratification, Segmentation, and the Organization of Work."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 45: 737-765.

Becker, H. S.(1982),

Art Worlds

,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cker, H. S., Geer, B., Hughes, E. C., and Strauss, A. L.(1961),

Boys in White:

Student Culture in Medical School

.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Blau, J. R.(1987),

Architects and Firms: A Sociological Perspective on Architectural Practices

. The MIT Press.

Booth, C.(1886), “Occupations of the People of the United Kingdom, 1801-81" by Routh G., 1987.

Occupations of the People of the Great Britain 1801-1981.

Macmillan Press. pp 1-5.

Cascio. W. F.(1998), Applied Psychology in Human Resource Management(5th ed.). Upper Saddle River. NJ : Prentice-Hall.

Cusumano, M. A.(2004),

The Business of Software: What Every Manager, Programmer, and Entrepreneur Must Know Thrive and Survive in Good Times and Bad

. Free Press.

Elias,(1997), “Occupational Classification(ISCO-88): Concepts, Methods, Reliability,

Validity and Cross-National Comparability".

Labour Market and Social Policy Occasional Papers

. GD(97)112. Paris: OECD.

Erickson, R. and J. H. Goldthorpe. (1992),

The Constant Flux: A Study of Class Mobility in Industrial Societies.

London: Clarendon Press.

Evans, K. and W. Heinz, W(1994),

Becoming Adults in England and Germany

. London: Anglo-German Foundation.

Farr, J. M. and Shatkin, L.(2004),

O*NET Dictionary of Occupational Titles:

The Definitive Printed Reference of Occupational Information

. Jist Publishing.

Fine, G. A.(1996),

Kitchens: The Culture of Restaurant Work

.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Freeman, P. and Aspray, W.(1999), The Supply of Information Technology Workers in the United States. Computing Research Association.

Hughes, E. C. (1958),

Men and Their Work

. Glencoe, III.: Free Press.

Kochan, T.A. and Barley, S. R.(edit.)(1999),

The Changing Nature of Work:

Implications for Occupational Analysis

.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Peterson, N. G., Mumford, M. D., Borman, W. C., Jeanneret, P. R., and Fleishman, E. A.(1995),

Development of Prototype Occupational Information Network(O*NET) Content Model I, II.

. Salt Lake City, UT: Utah Department of Workforce Services.

Shartle, C. L. (1946),

Occupational Information: It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 New York: Prentice-Hall, Inc.

U.S. Department of Commerce et al.(1999), 21st Century Skills for 21st Century Jobs. Washington, DC : U.S. Department of Commerce et al. [이영현 역,

『21세기 직업을 위한 21세기 직업능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전자 산업의 핵심 직업과 커리어 경로

• 발표자:

최 동 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전문연구원)

Ⅰ. 서론 ··· 53

Ⅱ. 전자산업의 핵심직업 ··· 54 1. 전자산업 분야의 직업에 대한 개념과 분류 ··· 54 2. 전자산업의 제조공정 및 관련 직업 ··· 59 3. 전자산업의 핵심직업 ··· 66

Ⅲ. 전자산업의 핵심직업별 커리어 경로 ··· 72 1. 커리어 경로의 개념 ··· 72 2. 주요 핵심직업의 커리어 경로 ··· 74 3. 휴대폰디자이너의 커리어 경로 ··· 77

Ⅳ. 결론 ··· 77

참고문헌··· 81

최 동 선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전문연구원

Ⅰ. 서론 1)

전자산업은 전자(electronic)의 운동 특성을 응용하는 기기나 여기에 주로 사용되 는 부품 또는 재료를 제조․활용(개발․생산․판매도 포함함)하는 산업(한상근 외, 2005)을 의미한다. 전자산업은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주도하는 핵심 원동력으로 평 가받고 있다. 통계적으로 보더라도 전자산업은 2002년 12월 현재 부가가치 산출액 에서 전체 제조업의 21.3%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자산업의 종사자 1인당 부가가치 액도 제조업 평균의 1.5배에 달하고 있다. 또한 전자산업의 고용규모는 제조업 총 고용의 12.8%를 담당하고 있다(통계청, 2003a, 2003b). 이와 함께 반도체, 휴대폰, 컴퓨터 등 3개 품목이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28%를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차세대 반도체, 차세대 전지 등의 전자산업이 차세대 신성장동력 산업 에 포함되어 있어, 전자산업은 국가경제 및 전략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전자산업은 상대적으로 기술집약적 산업에 해당한다. 따라서 전자산업의 주요 경 쟁전략은 제품의 기술적 우위 확보전략이며, 이를 위해 우수한 연구개발인력 및 기 술․기능인력의 확보와 질적 제고는 중요한 과제이다(정진화, 2004). 특히 외형적 인 경쟁력과는 달리 질적인 경쟁력에서 취약한 구조를 지니고 있는 우리에게 있어 서 중국의 추격은 위협적인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현재보다 한 단계 도약한 기술발전과 산업경제의 성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교교육을 통한 우수한 인력의 양성․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인력양성에 있어서 산업계와 교육계의 괴 리, 즉 산업별 수요와 공급의 질적 불균형(skill mismatch) 문제는 오랫동안 숙제로

1) 본 발표문은 김기헌(일본 동북대 박사후 연구원), 한상근, 정윤경, 최동선(이상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공동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남아있으며, 일부 산업부문에서는 기술발전으로 인하여 산업계와 교육계 사이의 괴 리가 더욱 심화되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산업별 수요와 공급의 합리적인 조정은 산업계의 여러 가지의 모습이 학교교육 에 반영될 때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산업계의 여러 가지 모 습들에는 업무 수행에 요구되는 스킬(skills)의 유형 및 수준, 산업계에서 수행하는 (또는 수행하게 될) 직무내용, 입직 이후의 개인적인 성장 가능성 및 경로 등이 포 함될 수 있다. 이는 특정한 산업 내에서 어떠한 직업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이 어떠한 상호작용의 관계를 갖고 있고, 특정한 직업에 입직한 이후에 펼쳐질 경로는 어떠한지 등에 대한 정보의 생성․활용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이 글 에서는 전자산업을 구성하고 있는 직업에는 무엇이 있으며, 이들이 어떠한 관계를 이루고 있고, 이들 가운데 핵심직업은 무엇이며, 핵심직업별 커리어 경로는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전자산업에서의 직업연구의 기본 틀을 제공 하고자 하였다.

Ⅱ. 전자산업의 핵심직업

1. 전자산업 분야의 직업에 대한 개념과 분류

가. 전자산업 분야 직업의 개념 및 범위

전자산업은 관점에 따라 그 범위에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또한 최근의 ‘네트워크 화’ 또는 ‘디지털 컨버전스화’로 인하여 전자산업의 범위가 더욱 모호해지는 경향도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전자산업을 “전자(electron)의 운동 특성을 응용하는 기기나 여기에 주로 사용되는 부품 또는 재료를 제조․활용(개발, 생산, 판매 등도 포함) 하는 산업(한상근 외, 2005)”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전자산업은 통신업과 구분되는 제조업으로 ① 반도체, 인쇄회로, 전자관 등의 전자부품, ② 휴대폰, 컴퓨터, 모니터, 위성방송수신기 등 산업용기기, ③ TV, 냉장고, 에어콘, 음향기기 등 가정용기기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정의에 기초해 전자산업분야 직업의 범위를 1차적으로 정한다면 해당 제 조업에 종사하는 인력을 직업분류의 모집단으로 삼을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문제 가 되는 것은 “전자산업 종사자”와 “전자산업 분야 직업 종사자”를 구분해야 한다 는 점이다2).

전자산업 핵심직업 종사자

전자산업 핵심직업 종사자 전자산업

종사자

전자산업분야 직업종사자 전체 산업 종사자

전체 산업 종사자

[그림 1] 전자산업 종사자와 전자산업 분야 직업 종사자의 개념적인 관계도

‘전자산업 종사자’는 말 그대로 전체 산업 종사자 중에서 전자산업 제조업에 종 사하는 모든 인력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개념은 어느 인력이 종사하는 생산단위 (사업체 단위, 기업체 단위 등)의 성질에 따른 것으로, 삼성전자에 근무하는 전자 공학 엔지니어뿐만 아니라 삼성전자빌딩에 근무하는 수위 역시 전자산업 종사자에 포함된다. 이는 전자산업이 제조업 총고용의 몇 %를 전자산업이 담당하는지 등과 같은 산업에 바탕을 둔 분석을 하는 경우에 유용한 접근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의를 따르면 2002년 12월 현재 전자산업의 총 종사자수는 3,382,865명이며, 직업

2) 권남훈 등(2001)은 정보통신인력을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와 ‘정보통신 직업 종사자’로 구분하였는데, 이러한 분류의 틀은 이 연구에서의 ‘전자산업 종사자’와 ‘전자산업분야 직업 종사자’의 구분과 유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문서에서 행 사 일 정 행 사 일 정 (페이지 44-16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