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부분대상” 개념의 미학적 의의

우리는 지금까지 클라인이 발견했고, 들뢰즈가 정정한, ‘부분대상’ 개념을 살 펴보았다. 부분대상은 존재론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지만, 무엇보다도 예술과 미학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개념은 예술 작업에 있어 부분대상으로서의 대상은 언제든 다른 대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는 특성을 잘 확인해 준다. 이는 예술가가 창작을 하며 재료를 다룰 때 탁월하게 드러나는 특성이기도 하다.25) 완 성된 작품으로서가 아니라 과정 중에 있는 재료로서, 대상이 지니는 가소성(可塑 性)은 존재물 일반을 부분대상으로 이해해야 할 필연성을 확인시켜 준다. 나아가 존재물 일반을 예술적 대상의 위치에 놓는다는 이러한 생각은 존재론을 일차적으 로 미학적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게 해준다.26) 존재는 변형과 생성이지 불변과 정지가 아니다. 존재는 ‘자기-생산(auto-production)’이다.27) 이는 존재론이 그 근

25) 재료와 예술 작품의 관계에 대한 들뢰즈의 입장은, 김재인, 들뢰즈의 미학에서 “감각들의 블록(un bloc de sensations)”으로서의 예술 작품 , 미학 76집(2013)을 참조.

26) 예술 창작을 존재의 근본 운동으로 해석하는 들뢰즈의 입장은, 김재인, 들뢰즈의 예술론 을 통해 본 예술가적 배움. 초기 프루스트론을 중심으로 , 미술과교육 15권 1호(2014)를 참조.

27) ‘자기-생산’이라는 존재론적 운동에 대해서는, Jae-Yin Kim, “Deleuze, Marx and Non-human Sex: An Immanent Ontology Shared between Anti-Oedipus and Manuscripts from 1844” in Theory and Event, vol. 16, issue 3, 2013 참조.

저에 미학적 본성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는 탁월한 철학적 성찰이다. 많은 현대 예술은 이 점을 증언하면서 동시에 존재론의 자리를 대신하고 있는데, 들뢰즈의 미학은 대부분 이에 대한 논의에 할애되어 있다.

지면의 한계 때문에 우리는 존 케이지(John Cage)의 작업을 좋은 사례로 제 시할 수밖에 없을 듯하다.28) 대상 자체는 부분대상이며, 전체에 종속되는 것이 아 니라 오히려 부분 자신의 독자적인 창작이다. 그것은 실패를 자신의 일부로 포함 한다. 들뢰즈는 과타리와 함께 쓴 저서에서 케이지의 사례를 인용한다. 우선 안 티 오이디푸스. “실험적이란 낱말은, 성공과 실패의 견지에서 나중에 판단될 행 위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고 단순히 그 결과가 미지인 행위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된다면, 적절하다”(AO 445 재인용. “실험적”은 원문 강조). 다음으로

천 개의 고원. “우리는 계획을 이룰 수 없었다. 그것은 침묵의 한 형태이다. … 우리 계획이 실패했다는 것, 우리가 만나지 못했다는 것이, 모든 것이 실패했다는 걸 의미하는 건 아니다. 그 계획은 실패가 아니었다.”29) 후자에 대해 들뢰즈는 이 렇게 논평한다. “모든 해석에 맞서서 하나의 실험을 긍정하는, 이 음(音)의 고정 면(ce plan fixe sonore)을 가장 완벽하게 전개한 최초의 인물은 분명코 존 케이 지인데, 거기서는 침묵이 운동의 절대적 상태 역시도 표시한다.”30) 실패한 실험이 라고 했을 때 그것은 전체적 관점에서의 성공에 비추어 판단되는 것이다. 케이지 의 표현을 빌면 “나중에 판단될 행위”, 즉 ‘온전한 전체’에 비추어 판단될 그 무엇 이다. 그러나 실험은 그런 차원의 판단에 종속되지 않는, 그 자체로 완전한 행위 이다. 그렇기 때문에, 온전한 성공의 견지에서 실험을 평가해서는 안 된다. 실험 은 그 자체로 값어치가 있다. 실험은 “그 결과가 미지인 행위”를 가리킬 뿐이다.

실험이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는 케이지의 말은, 전체에 종속되지 않는 부분대

28) 현재 활동 중이거나 근래에 활동한 작가들에 대한 언급이 빠진 것은 아쉽게도 지면의 한 계 때문이다. 그렇지만 부분대상 개념은 많은 작가들의 작업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9) Gilles Deleuze & Félix Guattari, Mille Plateaux Capitalisme et schizophrénie 2, Paris:

Les éditions de Minuit, 1980, p. 329. 재인용.

30) Gilles Deleuze & Félix Guattari, ibid., p. 327.

상의 미학-존재론적 의미를 잘 드러낸다.

물론 실제로 실험은 아주 자주 실패한다. 그러나 실험을 실패하게 만드는 것은 대개는 실험의 시도를 방해하는 것들, 실험 자체를 행하지 못하게 가로막는 것들이 다. 사실이지, 실험이 시도조차 되지 못한다면 결과를 기대하기란 난망한 일이다. 예 술 창작에서 실험은 무한히 허용되어야 하며, 단순히 허용이라는 말로는 부족하고, 무한히 시도될 수 있게 권장되어야 한다. 실험은 무조건 옳다. 결과에 비추어 평가되 지 않는 실험, 결과를 두려워하지 않는 실험, 결과에 종속되지 않는 실험, 이런 부류 의 실험은 무조건 해 봐야 하되, 결과의 무거움은 두려워하거나 기피하지 말아야 한 다. 나중에 보았을 때, 성공하지 못한 실험은 부질없이 잊힌다. 세월은 잊힌 실험들로 가득 차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실험을 마다하랴. 작가는 실험하는 존재이며, 실 험하는 삶을 자신의 운명으로 긍정한다. 처음부터 결과를 걱정하는 자는 작가가 아니 다. 그는 실험할 자격이 없다. 완성된 전체 작품을 꿈꾸는 자는 실험을 시작하지조차 못한다. 실험은 부분의 건립이다. 모든 대상은 부분대상이다. 부분을 만드는 과정이 생물적 죽음에 의해 불가피하게 종결될 때, 그제서 사람들은 그것을 그 작가의 “전 체”라 부른다.

1)

* 논문투고일: 2014년 5월 2일 / 심사기간: 2014년 5월 28일-6월 9일 / 최종게재확정일:

2014년 6월 10일.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