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부모-자녀 상호작용 검사도구(부모용)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4-73)

부모-자녀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Hetherington과 Clingempeel(1992)이 개 발한 부모-자녀 상호작용 척도인 PCI(Parent-Child Interaction)를 문경주와 오경 자(1995)가 번안하였고 허자연(2017)의 논문에서 사용된 도구를 활용하였다. 이 도구는 긍정적 훈육행동, 애정 행동의 2개 하위요인 24개 문항의 5점 Likert 평정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 수록 부모-자녀 상호작용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부모-자녀 상호작용 연구 도구 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계수는 아래 <표 3>과 같다.

<표 3> 부모-자녀 상호작용 연구 도구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하위요인 문항 번호 문항 수 신뢰도(α)

긍정적 훈육행동 1~12, 18, 23 14 .89

애정 행동 13~17, 19~22, 24 10 .81

전체 1~24 24 .90

부모-자녀 상호작용 연구 도구의 Cronbach’s α를 산출한 결과, .90으로 높게 나 타났고, 하위요인의 신뢰도 계수는 .81~.88로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나 본 연구에

서 사용한 부모-자녀 상호작용 척도의 구성 항목들이 내적 일관성이 있는 문항으 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또래 유능성

유아의 또래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박주희와 이은해(2001)의 척도를 활용하였 다. 이 도구는 유아용으로 제작하여 교사에 의해 평정하도록 개발되었으며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의 3개 하위요인, 15개 문항의 5점 Likert 평정척도(거의 그렇지 않다 1점부터 거의 항상 그렇다 5점)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유아의 또래유능성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또래 유능성 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계수 는 <표 4>와 같다.

<표 4> 또래유능성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계수

하위요인 문항 번호 문항 수 신뢰도(α)

사교성 3, 6, 9, 12, 15 5 .83

친사회성 2, 5, 8, 11, 14 5 .85

주도성 1, 4, 7, 10, 13 5 .81

전체 1~15 15 .87

또래유능성 연구 도구의 Cronbach’s α를 산출한 결과, .87로 나타났고, 하위요 인의 신뢰도 계수는 .81~.85로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또래 유능성 척도는 신뢰할만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3.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으 로 자료를 처리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 유아 및 부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유아 및 부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유아 놀이성, 부모-자녀 상호작 용, 유아 또래유능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과 F 검증 을 실시하였다.

넷째, 유아 놀이성, 부모-자녀 상호작용,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다섯째,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대한 유아 놀이성과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영향력 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 놀이성과 또래유능성 관계에 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 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사용하였고,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1982)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유아 놀이성, 부모-자녀 상호작용, 또래 유능성에 대한 인식

유아 놀이성, 부모-자녀 상호작용, 또래 유능성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 한 결과는 아래 <표 5>와 같다.

<표 5> 연구변인의 기술 통계

연구변인 M SD 왜도 첨도

신체적 자발성 4.05 .75 -.49 -.62

사회적 자발성 3.78 .73 -.26 .08

인지적 자발성 3.55 .78 -.02 -.55

즐거움의 표현 4.09 .61 -.14 -.56

유머 감각 3.79 .80 -.20 -.55

유아 놀이성 3.85 .60 .04 -.46

긍정적 훈육행동 3.91 .69 -.15 -.66

애정행동 3.92 .89 -.50 -.62

부모-자녀 상호작용 3.92 .68 -.38 .05

사교성 4.00 .69 -.01 -.89

친사회성 4.04 .66 -.11 -.66

주도성 4.11 .56 .10 -.70

또래 유능성 4.05 .58 .16 -.68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변수들의 평균을 살펴보면, 5점 만점에 유아 놀이성은 평균 3.85점(SD=.60),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평균은 3.92점(SD=.68), 또래 유능성 의 평균은 4.05점(SD=.58)로 나타났고 왜도와 첨도 값이 ±2 이내로 나타나 본 연 구변수는 정상분포 곡선의 형태를 띠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유아 및 부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 분석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유아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 석한 결과는 아래 <표 6>, <표 7>과 같다.

<표 6> 유아 성별에 따른 유아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 인식 차이

하위 요인

남자(N=114) 여자(N=140)

t p

M SD M SD

신체적 자발성 4.06 .77 4.05 .75 .111 .912

사회적 자발성 3.71 .78 3.84 .68 -1.467 .144

인지적 자발성 3.48 .75 3.60 .79 -1.240 .216

즐거움의 표현 4.03 .62 4.13 .59 -1.353 .177

유머 감각 3.81 .80 3.78 .80 .297 .766

유아 놀이성 3.82 .61 3.88 .59 -.845 .399

사교성 3.93 .69 4.05 .69 -1.380 .169

친사회성 3.99 .65 4.08 .66 -1.093 .276

주도성 4.10 .53 4.11 .58 -.188 .851

또래 유능성 4.01 .56 4.08 .60 -1.016 .310

유아 성별에 따른 놀이성을 분석한 결과, 남자 유아의 평균은 3.82점(SD=.61), 여자 유아의 평균은 3.88점(SD=.59)으로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t=-.845, p>.05)는 나타나지 않았다. 놀이성 하위요인에서도 성별 유의한 집단 간 평균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래 유능성을 분석한 결과, 남자 유아의 평균은 4.01점(SD=.56), 여자 유아의 평균은 4.08점(SD=.60)으로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집단 간 유의한 평 균 차이(t=-1.016, p>.05)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래 유능성 하위요인에서도 성별

유의한 집단 간 평균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 연령에 따른 놀이성을 분석한 결과, 만3세 유아의 평균은 3.82점(SD=.66), 만4세 유아의 평균은 4.02점(SD=.64), 만5세 유아의 평균은 3.73점(SD=.47)로 나 타났고 만4세 유아와 만5세 유아 사이에서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F=5.531, p<.01)가 나타났다. 놀이성 하위요인의 사회적 자발성 요인에서는 만4세 유아와 만5세 유아, 인지적 자발성 요인에서는 만3세 유아와 만5세 유아, 만4세 유아와 만5세 유아 사이에서 유의한 평균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즐거움의 표현 요인에서 는 만4세 유아와 만5세 유아 사이에서 유의한 평균 차이가 나타났다.

<표 7> 유아 연령에 따른 유아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 인식 차이

*p<.05, **p<.01, ***p<.001

하위 요인 만3세(N=78)a 만4세(N=81)b 만5세(N=95)c F

(p) Scheffé

M SD M SD M SD

신체적 자발성 3.96 .78 4.20 .80 4.00 .69 2.413 (.092) 사회적 자발성 3.73 .78 3.95 .71 3.68 .69 3.359*

(.036) b>c 인지적 자발성 3.60 .81 3.78 .76 3.31 .69 8.882***

(.000) a,b>c 즐거움의 표현 4.07 .63 4.24 .65 3.96 .52 5.055**

(.007) b>c 유머 감각 3.75 .84 3.93 .80 3.70 .75 1.890

(.153) 유아 놀이성 3.82 .66 4.02 .64 3.73 .47 5.531**

(.004) b>c 사교성 3.98 .76 4.15 .63 3.88 .66 3.495*

(.032)

친사회성 4.06 .71 4.10 .66 3.97 .61 .955

(.386) 주도성 4.06 .64 4.23 .54 4.04 .48 3.299* (.039) 또래 유능성 4.03 .67 4.16 .56 3.96 .51 2.675 (.071)

유아 연령에 따른 또래 유능성을 분석한 결과, 만3세 유아의 평균은 4.03점 (SD=.67), 만4세 유아의 평균은 4.16점(SD=.56), 만5세 유아의 평균은 3.96점 (SD=.51)로 나타났지만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F=2.675, p>.05)는 나타나지 않 았다.

2) 부모-자녀 상호작용 분석

부모의 연령에 따른 부모-자녀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아 래 <표 8>과 같다.

<표 8> 부모 연령에 따른 부모-자녀 상호작용 인식 차이

*p<.05, **p<.01

부모 연령에 따른 부모-자녀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만30세 미만 부모의 평균은 4.15점(SD=.57), 40세 이상 부모의 평균은 3.99점(SD=.52), 30~39세 부모의 평균은 3.80점(SD=.73)으로 나타났고 만30세 미만과 30~39세 부모 사이에서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F=6.588, p<.01)가 나타났다.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긍정적 훈육행동(F=5.717, p<.01)과 애정 행동(F=4.569, p<.05) 하위 요인에서도 만30세 미만과 30~39세 부모 사이에서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 요인

만30세 미만a (N=66)

30~39세b (N=152)

40세 이상c

(N=36) F

(p) Scheffé

M SD M SD M SD

긍정적 훈육행동 4.10 .62 3.79 .73 4.05 .51 5.717**

(.004) a>b 애정 행동 4.19 .75 3.80 .93 3.93 .84 4.569*

(.011) a>b 부모-자녀 상호작용 4.15 .57 3.80 .73 3.99 .52 6.588**

(.002) a>b

2. 유아 놀이성, 부모-자녀 상호작용, 또래 유능성 관계 및 영향

1) 유아 놀이성, 부모-자녀 상호작용 및 또래 유능성 관계

유아 놀이성, 부모-자녀 상호작용 및 또래 유능성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 <표 9>와 같다.

유아 놀이성과 부모-자녀 상호작용, 유아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 부모-자녀 상호 작용과 또래 유능성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변 수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는 .30∼.79 사이에 분포되어 있어 측정변 수들 간에 .90 이상의 높은 상관을 보이는 변수들이 없어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9> 유아 놀이성, 부모-자녀 상호작용 및 또래 유능성 관계(N=254)

**p<.01

연구변수 1 2 3 4 5 6 7 8 9 10

유아 놀이성

1 신체적 자발성 1 2 사회적 자발성 .55** 1 3 인지적 자발성 .49** .61** 1 4 즐거움의 표현 .60** .56** .62** 1 5 유머감각 .63** .52** .62** .65** 1 부모-자녀

상호작용

6 긍정 훈육행동 .63** .65** .70** .73** .62** 1 7 애정 행동 .47** .58** .49** .47** .55** .49** 1

또래 유능성

8 사교성 .30** .52** .45** .33** .40** .40** .46** 1 9 친사회성 .37** .54** .50** .38** .38** .46** .37** .79** 1 10 주도성 .47** .48** .48** .41** .47** .44** .42** .72** .77** 1

2) 또래 유능성에 대한 유아 놀이성과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영향

또래 유능성에 대한 유아 놀이성과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한 결과는 아래 <표 10>, <표 11>과 같다.

<표 10> 유아 놀이성이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p<.01, ***p<.001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공차(Tolerance), 분산팽창지수(VIF)를 활용해 독 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을 검증한 결과, 공차의 값이 0.1이상, VIF 값이 10이하 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이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차배근, 차경욱, 2013).

유아 놀이성이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아 놀이성은 또래 유능성을 약 37.9% 설명하고 있으며 회귀식(F=30.243, p<.001)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 놀이성의 사회적 자발성(β=.362, p<.001), 인지적 자발성(β=.229, p<.01)은 또래 유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들이 놀이 활동에서 사회적 및 인지적 자발성 수준이 높을수록 또래 유능성 수준이 높 아질 수 있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독립변인

종속변수: 또래 유능성

B SE β t 공차 VIF R² F

(상수) 2.046 .208 9.852***

.379 30.243***

신체적 자발성 .031 .054 .040 .569 .505 1.978 사회적 자발성 .289 .055 .362 5.287*** .533 1.875 인지적 자발성 .172 .055 .229 3.117** .466 2.148 즐거움의 표현 -.043 .072 -.045 -.606 .450 2.221 유머감각 .093 .055 .127 1.682 .442 2.264

<표 11>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p<.001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공차(Tolerance), 분산팽창지수(VIF)를 활용해 독 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을 검증한 결과, 공차의 값이 0.1이상, VIF 값이 10이하 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이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자녀 상호작용은 또래 유능성을 약 28.9% 설명하고 있으며 회귀식(F=51.001, p<.001)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긍정적 훈육행동(β=.331, p<.001), 애정 행동(β=.291, p<.001)은 또래 유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자 녀 상호작용에서 부모들이 유아에게 긍정적 훈육행동과 애정 행동을 많이 할수록 유아의 또래 유능성 수준이 높아질 수 있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3. 유아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 관계에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유아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 관계에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 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독립변인이 매개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이 종속변인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종속변인에 대한 독립변인의 영향력이 매개변인과 독립

독립변인

종속변수: 또래 유능성

B SE β t 공차 VIF R² F

(상수) 2.202 .188 11.717***

.289 51.001***

긍정적 훈육행동 .280 .052 .331 5.433*** .762 1.313 애정 행동 .191 .040 .291 4.780*** .762 1.313

변인이 함께 영향을 미칠 때 그 효과의 크기에 따라 부분 또는 완전매개효과로 판 단할 수 있다.

유아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 관계에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 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아래 <표 12>, <그림 1>과 같다.

<표 12> 유아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 관계에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p<.05, ***p<.001

유아 놀이성 부모-자녀

상호작용

또래 유능성

.818*** .189*

.577***(.422***)

Sobel Test Statistic Z=2.11, p<.05

<그림 1> 유아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 관계에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유아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 관계에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1단계에서 독립변수인 유아 놀이성이 매개변수인 부모-자녀 상호작용에 미 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β=.818, p<.001), 2단계에서 독립변 수인 유아 놀이성은 종속변수인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

단계 종속변인 독립변인 B SE β t R² F

1 부모-자녀 상호작용(매개)

유아

놀이성 .933 .041 .818 22.578*** .669 509.755***

2 또래 유능성 (종속)

유아

놀이성 .561 .050 .577 11.205*** .333 125.560***

3 또래 유능성 (종속)

유아

놀이성 .411 .086 .422 4.751***

.344 65.914***

부모-자녀

상호작용 .161 .076 .189 2.125*

속변수인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도 유의하였으며(β=.189, p<.05), 유아 놀이 성이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두 번째 방정식(β=.577, p<.001)보다 세 번 째 방정식(β=.422, p<.001)에서 줄어들었다. 따라서 부모-자녀 상호작용은 유아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놀 이성은 또래 유능성을 약 33.3%(F=125.560, p<.001) 정도 설명하고 있으며 부모 -자녀 상호작용이 투입되었을 때는 설명력이 34.4%(F=65.914, p<.001)로 1.1%

늘어 유아 놀이성이 통제되어도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Sobel의 Z 값은 2.11로 유아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 관계에서 부모-자녀 상호작용 의 부분매개효과는 p<.0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4-7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