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부동산시장 연구 동향(2021.10)

문서에서 53 11 03 (페이지 47-54)

최근 부동산시장 학술연구 동향

공공임대리츠가 인근지역 주택임대료에 미친 영향: 이중차분법과 이벤트 연구의 적용 (주택연구, 2021) 대출제약이 여성가구주 가구의 자가점유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2021)

주택 소유와 부채 보유의 연령 및 세대효과 (주택연구, 2021)

수도권 신도시의 통근비용을 고려한 주거비용 분석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2021)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종전부동산의 공매에 관한 실증연구 (주택연구, 2021) 맨큐-웨일 모형과 주택수요, 그리고 평균주거면적 (주택연구, 2021) 금리변동이 주택가격 순환변동에 미치는 영향 (부동산학연구, 2021)

싱가포르의 주택 집단매각이 공공 민간주택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부동산학연구, 2021)

주택임대료에 미치는 개발제한구역 토지이용 유형별 근접성 가치의 시계열적 변화분석: 성남시를 대상으로 (부동산학연구, 2021)

자가 거주가 미혼 가구주의 결혼 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부동산학연구, 2021) 동태요인모형을 이용한 주택가격 변동요인 분석 (부동산학연구, 2021)

미국통계청 가구펄스조사 미시자료를 이용한 코로나 19백신 접종 의향 결정요인 분석:주택유형·점유형태 중심으로 (부동산학연구, 2021)

주요 산업단지의 산업구조 및 생산성 변화 분석 (부동산학연구, 2021)

소비자의 시장전망이 주택구매 의사 결정과 주택거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연구, 2021) Special issue on delineation of urban areas (Journal of Urban Economics, 2021.09)

Classifying locations and delineating space: An introduction (Journal of Urban Economics, 2021.09) Cities, lights, and skills in developing economies (Journal of Urban Economics, 2021.09)

Measuring the size and growth of cities using nighttime light (Journal of Urban Economics, 2021.09) Building(s and) cities: Delineating urban areas with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Journal of Urban

Economics, 2021.09)

Detecting urban markets with satellite imagery: An application to India (Journal of Urban Economics, 2021.09)

Migration and Housing special issue: Introduction from Editors Kyle Mangum and Raven Molloy (Journal of housing Economics, 2021.09)

정리 : 최진

Migration choices of the boomerang generation: Does returning home dampen labor market adjustment?

(Journal of housing Economics, 2021.09)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migration of elderly households in an aged society: Empirical analysis based on micro data (Journal of housing Economics, 2021.09)

Job loss risk, expected mobility, and home ownership (Journal of housing Economics, 2021.09) Do long-distance moves discourage homeownership? Evidence from England (Journal of housing

Economics, 2021.09)

KRIHS 부동산시장 연구 동향

국토연(기본) 2021-05. 주택시장의 순환국면과 가계자산 변동과의 분석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ing Market Cycle and Changes in Household Assets) 오민준·박천규·최진

• 2021년 2분기 주택시장은 확장국면이었으며, 젊은 층 주택 매수거래가 증가

• 주택매매시장 고점에서 무주택수요의 주택구매가 증가하며, 이들은 높은 차입비율을 통해 높은 가격에 주택을 구매하는데, 자산이 적은 무주택수요는 주택매매시장이 수축기로 전환될 때, 자산 감소, 유동성 위기 등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음

• 반면, 무주택수요보다 자산이 많은 다주택수요는 저점에서 높은 차입비율을 통해 주택을 더 많이 구매하며 주택매매시장이 확장기로 전환될 경우 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자산 증가를 기대할 수 있음

• 금리상승과 주택가격 하락 등 주택시장 환경변화에 수도권, 젊은 층, 고부채 가구가 취약

• 상대적 고연령·고자산가인 다주택수요의 저점 주택구매에 따라 자산 불평등 심화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산 불평등이 증가

연구보고서

국토연 기본 21-05 주택시장의 국지적 불안 원인에 대한 진단과 해소방안 연구

국토연 기본 20-43 부동산 가격공시 제도의 개선방향 연구(1):공시가격 신뢰성 제고를 중심으로 국토연 기본 20-39 주택구매소비자의 의사결정구조를 반영한 주택시장 분석 체계 구축 국토연 기본 20-36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상업용 부동산 수요 및 이용행태 변화 연구 국토연 기본 19-38 중장기 부동산시장 전망과 안정적 시장관리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2) 국토연 기본 19-15 인구감소시대 농촌지역의 유휴토지 관리방안 연구

국토연 기본 18-33 부동산시장 안정을 위한 주택공급 및 재고주택 관리방안 연구(1):지역별 수요대응 주택공급 방안 국토연 기본 18-31 중장기 부동산시장 전망과 안정적 시장관리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1)

국토연 기본 18-06 교통비용을 고려한 주거부담지표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국토연 기본 18-05 건설기술 변화에 대응한 건설인력정책 연구

국토연 WP 21-14 주택시장 환경변화에 따른 시장참여자 심리 변화 국토연 WP 21-01 1인가구 연령대별 주거취약성 보완 방안 국토연 WP 20-13 외지인 주택거래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연 WP 20-08 자산 불평등에서 주택의 역할

국토연 WP 20-07 아파트 가격거품 검증과 시사점(2012년~2020년 1월)

국토연 WP 19-29 부모의 소득·자산 및 분가 여부를 고려한 청년 주거정책 대상 분석

국토연 WP 19-26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 개선방안 연구: 시장 진단의 정확성과 유용성 제고를 중심으로 국토연 WP 19-24 주거실태조사를 통해 본 최근 10년(2008~2018)간 주거양극화 추이

국토연 WP 19-16 홍콩과 일본사례를 통해 살펴본 도시정비사업의 공공관리 확대방안 국토연 WP 19-14 부동산 유동화 수단으로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가능성 연구

국토연 WP 19-23 실거래 데이터와 GIS를 활용한 아파트 가격 및 거래량 변화분석: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국토연 수시 21-05 주택시장 순환국면과 가계자산 변동과의 관계분석 연구 국토연 수시 21-09 주택거래 투명성 강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국토연 수시 21-09 주택거래 투명성 강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국토연 수시 20-23 주택시장 영향요인과 향후 정책방향 국토연 수시 20-21 해외 주요도시별 주택가격 통계기반 구축 연구

국토연 수시 19-11 지역 및 계층별 수요를 고려한 공공주택 공급관리정책 추진방향 국토연 수시 19-08 저소득층 거주 민간임대주택 개량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연 수시 19-05 주택 역전세 현황과 임차인 보호를 위한 정책 개선 방안:전세보증보험제도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국토연 수시 19-01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국토정책 브리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상업용 부동산 수요·이용 행태 변화 (2021.10.12.) 주택구매소비자의 의사결정구조와 주택시장 분석 (2021.08.02.) 주택시장의 국지적 불안, 원인진단과 해소방안 (2021.07.05.) 수도권 신도시정책, 평가와 발전방향 (2021.06.28.) 주택시장 영향요인과 향후 정책과제 (2021.05.24.) 부동산 자산 불평등의 현주소와 정책과제 (2021.03.29.) 코로나19 시대,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지원방향 (2021.03.02.) 저출산 시대에 대응한 양육친화적 주거정책 (2020.09.21.) 주거정책 지방화를 위한 중앙과 지방의 역할분담 방안 (2020.08.24.) 지역과 계층별 수요를 고려한 공공주택 공급정책 추진방향 (2020.07.20.)

북유럽 3개국의 부동산 금융정책과 시사점 (해외 부동산정책 시리즈 ③) (2020.06.22.) 프랑스·싱가포르의 부동산 조세정책과 시사점 (해외 부동산정책 시리즈 ②) (2020.06.15.) 영국의 부동산 조세정책과 시사점 (해외 부동산정책 시리즈 ①) (2020.06.08.)

부동산시장의 미래상과 안정적 시장관리 방안 (2020.04.13.) 주요국의 주택가격 변동과 부동산 조세정책 (2020.04.06.) 인구감소시대 농촌지역의 유휴토지 관리방안 (2020.02.25.)

연령대별 성별 1인가구 증가 양상과 주거특성에 따른 정책 대응방향 (2020.02.03.)

국토이슈리포트

2021년 상반기 서울·경기 지역의 주택 탐색 및 거래 현황과 시장 인식 (2021.10.15.) 수도권 중장기 주택공급 효과와 시사점:2021년 2.4대책 공급효과를 중심으로 (2021.03.25.)

호주 주택시장 동향과 정책변화-시장 안정정책과 코로나19이후 적시적소 주택공급을 위한 전략 (2021.03.23.) 영국 주택시장 동향과 런던의 주택정책-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실제 부담가능한 주택공급 (2021.03.05.) 프랑스 파리의 주택정책 변화와 시사점-임대차시장 안정과 모두를 위한 주택공급 (2021.02.10.) 글로벌 주택가격 상승기의 금리정책과 주택금융시장 체질개선 방향 (2021.02.03.)

수도권 중장기 주택공급 전망과 시사점 (2020.11.25.)

코로나19 같은 감염병 상시 위기 시대, 1인가구 주거불안 양상과 주거정책 시사점 (2020.05.25.) 코로나19가 가져온 부동산시장 충격과 대응방안-사태 악화 및 장기화 시 대응방안- (2020.04.02.) 주거비 부담 경감을 위한 지원정책 (2019.04.01.)

최근 부동산시장 관련 연구내용

주택가격 상승이 지속되면서 주택소유여부, 가능성 등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기본적으로 오래전부터 주택을 소유한 기성세대와 앞으로 신규로 주택을 구매해야하는 젊은 세대사이에서 주택소유에 대한 인식과 현황 등에서 차이가 존재하기에 앞으로 해당 주제에 대한 논의는 더욱 활성화될 예정이다.

금번 국내연구소개에서는 주택 소유와 부채보유에 대하여 연령 및 세대별로 상이한 효과가 존재하는지에 대하여 분석한 연구를 소개한다.

코로나 19 위기와 그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재정 및 통화정책의 영향으로 세계경제는 빠르게 회복됨과 동시에 자산가격 상승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가운데에 실직을 통한 경제적 피해를 받은 경우 주거를 유지하지 못하고 홈리스로 전락하는 등의 주거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금번 해외연구소개에서는 실직 위험이 이동성 채널을 연계하여 해당 위험이 주거소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를 소개한다.

[주택 소유와 부채 보유의 연령 및 세대효과 (이희선. 하준경. 2021. 주택연구 제29권 제3호, pp 69-92)]]

본 연구는 주택 소유와 부채 보유에 연령효과 이외에 각 세대에 특정적인 효과, 즉 세대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한국노동패널조사 11차(2008년)∼21차(2018년) 자료를 사용하여 베이비붐 이전세대, 베이비붐세대, X세대, 에코세대를 비교ㆍ분석한 결과, 연령, 소득, 가구원 수, 학력 등을 통제했을 때 주택 소유 여부와 관련해서는 세대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주택 소유자만을 대상으로 다주택자 여부, 거주주택 외 부동산 소유 확률 등을 분석한 결과, 베이비붐세대 및 이전세대에서 유의한 양의 세대효과가 발견되고 에코세대에서는 음의 세대효과가 발견되었다.

아울러, 부채 보유 여부의 경우에는 세대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부채 보유자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에코세대가 유의하게 부채를 많이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코세대는 여러 변수들을 통제한 분석에서

아울러, 부채 보유 여부의 경우에는 세대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부채 보유자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에코세대가 유의하게 부채를 많이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코세대는 여러 변수들을 통제한 분석에서

문서에서 53 11 03 (페이지 47-5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