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I. 디지털 의복(Digital Clothing)에 표현된 디지털 패러다임의 코드화

3.2 부가

이질적 소재와의 조화를 보여주고 있다. 즉 기존의복에 겹쳐 입는 외적 형식으로써 여러 기능들이 다기능화되어 순차적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여 임의적 접근을 허용할 수 있는 내적 의미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용자 의 선택에 따라 임의의 사용자들과의 연결을 통해 시․공간의 불연속적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림 17-1, 17-2)는 Xybernaut의 ‘xyBerkids’으로, 배낭형의 디지털 의 복으로서 기존의복에 겹쳐 입는 형태로 소품적 형태부가 형식으로 구성되 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17-1)은 (그림 17-2)와 같은 형태로서 불균형과 비대칭적인 외적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18) 역시 (그림 17-1, 17-2)와 같은 배낭형 디지털 의복이다.

(그림 19)는 ‘Japan eyes wearable PC’로, 불균형과 비대칭적, 비구조적 실루엣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초경량화의 데스크탑 몸체를 머리 에 쓸 수 있는 형태이며, 뷰파인더로 보여지는 실시간의 영상들을 이용자 의 선택에 따라 시․공간을 초월하여 불연속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는 의 미가 내포됨을 알 수 있다.

(그림 20)은 France Telecom사의 ‘interwoven’으로, 직물모니터를 장착 한 배낭형 광학섬유제품의 디지털 의복이다. 이질적 소재와의 조화로서 기존의복에 소품적 형태로 부가된 외적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 의복 의 형태가 아닌 비구조적 실루엣의 불균형과 비대칭적인 외적 형식으로서 형태적, 시간적, 공간적 경계의 모호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22), (그림 23)은 MIT 학생들의 Wearable Computer Fashion Show 작품으로, 앞에서 살펴보았던 것처럼 불균형과 비대칭적, 비구조적 실루엣의 외적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복에 소품적 형태로서 도구 적 기능아이템의 조합을 이루고 있으며, 이는 모니터를 통해 이용자의 선 택에 따라 순차적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여 임의적 접근을 통해 사용자들 간의 시간, 공간의 불연속적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결론적으로 부가로 구성된 디지털 의복은 디지털 패러다임 코드 중 주

로 비선형성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의복에서의 비 선형성이란 순차적 접근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임의적 접근을 허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하는 패러다임 코드라 할 수 있다. 다시말해서 시간, 공간의 불연속적인 이동 가능성을 위한 기능의 상호연결과 다기능 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간, 공간의 불연속적 이동의 가능성이 내포된 내적 의미와 기존형태가 파괴되고 기존의복에 소품적 형태를 부가시킴으 로써 형태의 다양함은 물론 각기 다른 요소들을 중첩, 표면화, 그리고 단 편화․조합으로 인한 불균형과 비대칭적, 비구조적 실루엣 형태의 외적형 식으로 구성된 것은 디지털 패러다임의 코드인 비선형성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