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을 가능하게 한 패러다임 코드라 할 수 있다. 다시말해서 개인의 능력, 취향, 선택에 따라 다양한 상호작용 및 개인 주체의 적극적인 개입이 가능하게금 개인화가 추구된 내적 의미와 기존의복의 형태와 실루엣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이질적 요소들간의 단편화․조합, 탈부착의 가능성 이 의복의 특정부위에 새로운 기능적 형태의 결합이라는 외적 형식으 로 구성된 것은 디지털 패러다임의 코드인 상호작용성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본다.

2. 부가로 구성된 디지털 의복은 디지털 패러다임 코드 중 주로 비선형성 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의복에서의 비선형성이 란 순차적 접근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임의적 접근을 허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하는 패러다임 코드라 할 수 있다. 다시말해서 시 간, 공간의 불연속적인 이동 가능성을 위한 기능의 상호연결과 다기능 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간, 공간의 불연속적 이동의 가능성이 내 포된 내적 의미와 기존 형태가 파괴되고 기존의복에 소품적 형태를 부 가시킴으로써 형태의 다양함은 물론 각기 다른 요소들을 중첩, 표면화, 그리고 단편화․조합으로 인한 불균형과 비대칭적, 비구조적 실루엣 형태의 외적형식으로 구성된 것은 디지털 패러다임의 코드인 비선형성 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본다.

3. 유추로 구성된 디지털 의복은 디지털 패러다임 코드 중 주로 통합성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의복에서의 통합성이란 이 질적 요소들간의 복합적, 지속적 생성, 변형, 진행과정을 통해 고정관 념이 해체된 혁신적인 창조의 의미를 내포한 패러다임 코드라 할 수 있다. 다시말해서 단순히 옷에 부착시킨 형태가 아니고, 의복 자체가 컴퓨터이거나 컴퓨터 자체가 의복인 멀티미디어적인 통합이라는 미래 화, 그리고 형태․이미지 통합이란 초표피성 등이 내포된 내적 의미와 특별한 재단과 봉제의 단계를 거치지 않은 기존의복의 형태와 실루엣 으로 구성된 외적형식이며, 의복의 전 부위에 새로운 기능적 형태를

비가시적으로 부여함으로서 유추가 가능한 구조적 해체-재구성 된 것 을 디지털 패러다임의 코드인 통합성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본다.

본 연구결과, 대중화가 가능한 디지털 의복 개발은 컴퓨터 공학뿐만 아 니라 섬유공학, 의류과학, 산업디자인 및 인간공학 등의 여러 분야들간의 연계를 통해 추진되어야 하며, 특히 의복이라는 특성상 의류분야에서 활 발한 연구가 시도되어야 한다고 본다.

외국의 경우, 비록 오랜 기간은 아니지만 산․학 협력하에서 실제 상용 화 될 수 있는 디지털 의복을 개발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전문가들 조차 디지털 의복에 관한 산업적인 흐름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단지 IT산업에 주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디지털 의복과 관련된 산학연 계가 절실하게 필요하며, 이보다 앞서 디지털 의복이 단지 컴퓨터 기술이 라는 의식보다는 다양한 산업이 통합된 미래산업으로 창조되어야 한다는 의식으로의 전환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러므로 의류분야가 주축이 되어 차세대 의류산업을 정보화 물결에 부응한 새로운 형태로 등장시켜야 한다고 사려된다.

이를 위해 먼저 디지털 의복의 핵심인 디지털 컴퓨터가 갖는 유해성 전 자파의 차단문제, 베터리의 안전성과 용량의 문제, 통신 인프라에 대한 차 세대 무선 기술의 지원 문제 등의 선결과제의 해결을 위해 여러 측면에서 의 연구가 요구된다. 더욱이 의복을 구성하는 소재면에서도 디지털의 새 로운 개념 도입 및 모더니즘적인 소재의 초경량화, 최소형화의 시도가 시 급하다고 본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술을 이용해 신체를 변화시키고 기능 을 더욱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인체 내에 실리콘 칩을 이식함으로서 신경 계통을 컴퓨터에 연결하려는 혁신적인 연구 등과 같이 직물과 패션산업의 관심사는 신체에 대해 더욱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문제를 효과적으로 반영 하여 ‘well-being'측면으로 접근함으로서 수익성을 창출하려는 전략을 적 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의 감성적 요구를 반영하는 디지털 의복의 개발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디지털기술과 함께 Luxury, Sport Wear의 복합현상과 결속한 의복소재개발의 비약적인 진전과 맞물

려 가벼움과 보호적인 기능 그리고 개성과 미를 추구하는 의복의 본질적 인 목적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도 디지털 의복 연구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여러 분야에 걸쳐 계 속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의복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면, 좀더 구성적인 요소들의 체계가 정착되었다기 보다는 계속적인 실험을 통 해 다양한 스타일로 표현됨으로써 디지털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은 지 속적인 개발과 연구를 초래할 것이라 사려된다. 또한 본 논문의 디지털 패러다임의 특성 코드화를 통해 보다 나은 디지털 의복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기를 바라며, 미래의 보다 발전된 형태의 디지털 의복을 연구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논문을 통해서 앞으로도 섬유 및 의류 분야에서 디지털 의복의 중요 성을 인식하고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