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병원 전체 진료부 전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93-200)

진료지원부

진단검사의학부

0.885 0.893

진료부외래 내과계진료과

외과계진료과 단 일 진 료 과

0.515

0.811

0.529

0.928

병동부 간호근무부

병 실 부 공 용 부

0.906 0.508 0.113

0.787 0.672

0.849 0.652

진단영상검사부

건 강 검 진 부 물 리 치 료 부 인 공 신 장 부 0.442

0.791

0.376

0.744 중 환 자 부

0.321

지원부 건물지원부

경영지원부 공급지원부

0.295 0.706 0.814

고객지원부 0.685

0.788 0.811

서 0.511, 유의확률 0.51로 통계적으로 의미없으며 특징적인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외과계진료과에서는 정형외과에서 상관계수 0.877로 정형외과와 외과계진료과는 매우 밀접한 관계로 나타났다 그 외의 일반외과와. 0.533으로 유의확률 0.05에서 유의한 값을 보였으며 나머지 신겨외과나 흉부외과 등과는 특별한 사항은 없다.

단일진료과는 소아청소념과 상관계수 0.655로 나타났지만 유의확률로 보았을 때 의미 있는 수치는 아니라고 할 수 있으며 나머지 실에 대해서 유의한 변수는 없었다.

응급부에서는 주된 기능인 응급실과 상관계수 0.88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사당 직실과 0.838로 나타났다.

진단영상검사부와 진료지원부 면적의 상관관계

y = 1.6285x + 54.572 R2 = 0.7611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0 100 200 300 400 500

진단영상검사부

진료지원부 지원지원부와 전체면적의 상관관계

y = 5.4427x + 2729.1 R2 = 0.7354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0 200 400 600 800

진료지원부 면적 병원 전체면적

상관계수의 우선순위 비고

내 과 계 진 료 과 유의변수 없음

외 과 계 진 료 과 정형외과(0.877)** 0.01수준에서 유의 단 일 진 료 과 소아청소년과(0.655)* 0.05수준에서 유의

응 급 부 응급실(0.883)**,의사당직실(0.838)** 0.01수준에서 유의

외 래 진 료 부 응급부(0.854)

**, 단일진료과(0.720)**, 응급실(0.669)**, 일반외 과(0.647)*

대상 병원에서 나타나는 내과진료과와의 상관계수는 0.199, 유의확률은 0.460로 유의하 지 않으며 나머지의 진료과는 사례수가 적으므로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을 것이다 외과계진. 료과는 정형외과와 상관계수 0.877로 나타났으며 유의확률, 0.01로 매우 유의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일반외과와 상관계수. 0.533, 유의확률은 0.05로 유의하다고 할 수 있다 역시. 나머지의 변수들에 대해서는 사례수가 적어 유의한 변수는 없었다 단일과계진료과에서는.

소아청소년과와 0.655의 비교적 높은 상관계수를 가지며 유의확률 0.004로 유의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응급부에서는 가장 주된 기능인 응급실이 상관계수. 0.883로 가장 유 의한 변수를 나타내며 당직실이 상관계수, 0.838로 높게 나타났다.

각 개실과 부서와의 관계에서는 응급실 응급부와 당직실 정형외과 일반외과 외과계진- , , -료과 소아청소년과 단일진-료과의, - 5개의 사례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개의 부서와 외래진료부의 전체 면적과의 상관분석에서는 응급부와 상관계수 로

4 0.854

나타나 가장 밀접한 관계로 나타났으며 단일진료과의 관계에서는, 0.720, 외과계진료과에서 는 0.647로 강한 상관계수를 나타냈다 또한 응급실과도. 0.669로 나타나 응급실과 응급부, 그리고 응급부와 외래진료부 면적과는 매우 밀접한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외래진료부의 전체면적은 4개부서 중에서 응급부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두 번째로 는 단일진료과와 관련이 있으며 외과계진료과나 내과계진료과의 경우는 특별한 관계는 확 인할 수 없었다 또한 이 응급부는 응급실과. 0.883로 가장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므로 이 를 역으로 응급실의 면적 응급부 면적 외래진료부 전체면적이라는 단계적인 추정이 가능할- -것이다.

응급실과 응급부의 관계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0 100 200 300 400 500 600

응급실의 면적

응급부의 면적 응급부와 외래진료부의 관계

0 200 400 600 800 1000 12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응급부의 면적 외래진료부 면적

진료지원부의 진단검사의학부에서는 주기능인 내시경실과 임상병리실 체혈실을 제외하, 고는 병원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앞의 3개의 실은 대상병원의 대부분이 동일하 게 나타나고 있다 진단검사의학부의 상관분석 결과 개원 당시의 분석값과는 다르게 유의한. 변수는 나타나지 않았다.

진단영상검사부에서는 조작실과 상관계수 0.679로 나타났지만 유의확률이 낮으며 다. 두 번째인 MRI실과도 0.592로 유의확률 0.05수준에서 유의한 관계를 보인다.

진단검사의학부를 이루는 요소 중 내시경실이나 임상병리실의 경우 조사대상 병원 모두 에서 나타나는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 볼 수 있으나 전체면적에 대한 영향력이 약해, 통계결과에 유의한 변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판단된다 또한 진단영상검사부에서도. 촬영실 특수촬영실, , CT, X-RAY실과 같은 경우 거의 모든 병원에서 설치되는 가장 기본적 인 요소라 할 수 있으나 병원마다 각 공간에 대한 비중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통계적으로

외래진료부

단 일 과 계 진 료 과

외과계진료과

흉 부 외 과 성 형 외 과 일 반 외 과 정 형 외 과

신 경 외 과

간 호 사 실

내과계진료과

소 수 술 실 응 급 접 수

0.877

0.854

0.883

0.655

0.838 0.720

유의한 변수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개의 부서 중에서 수술부는 통증클리닉과 의 상관계수를 나타내며 유의확률은

4 0.803 ,

로 유의하다 수술실과 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마취의실과 상관계수 로

0.005 . 0.588 , 0.581

나타났다 수술부의 주된 기능인 수술실보다 통증클리닉과의 상관계수가 높은 것은 수술부. 내에서 통증클리닉의 중요성이

건강검진부에서 종합검진센터가 0.995로 유의확률 0.000으로 가장 강한 상관관계를 나

상관계수의 우선순위 비고

진단검사의학부 면적 유의한 변수 없음

진단영상검사부 면적 조작실(0.679)*, MRI (0.592)실 * 0.05 수준에서 유의 진 료 지 원 부 면 적 진단영상검사부(0.893)**, 진단검사의학부(0.554)*, 조작실

(0.721)**, MRI (0.567)실 * 0.01과 0.05수준에서 유의

진료지원부

진단검사의학부 진단영상검사부

뇌 혈 류 검 사실 특 수 내 시 경

뇌 파 검 사 실

진 단 검 사 의 학 과

심 장 초 음 파 실

임 상 병 리 실

산 부 인 과 P A P

방 사 선 실 맘 모 촬 영 실

카 메 라 실 A n g i o 촬 영실 특 수 촬 영 실

필 름 보 관 실

C T 촬 영 실 요 역 하 검 사실 M R I 촬 영 실 R / F 검 사 실

X - R AY촬 영실

0.679

0.554 0.893

0.721 (조정실-진료지원부)

타내고 있다 물리치료부에서는 물리치료실이 가장 관계가 밀접하며 인공신장부에서는 인. , 공신장실의 관계가 가장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다 건강검진부나 물리치료부 인공신장부. , 는 주된 기능의 실과 부속된 몇 개의 실만으로 구성되어 부서 자체의 구성이 외래진료부나 수술부에 비해 실의 구성도 작고 간단하여 주된 기능의 실이 가장 밀접하게 나타나는 것으 로 판단된다.

이들 4개의 부서로 이루어진 전문진료부의 면적은 수술부와 상관계수 0.668로 가장 밀 접한 관계로 나타났으며 마취의실과 0.663으로 수술부의 상관계수가 유사하다 또한 물리. 치료부와 물리치료실과도 0.05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전문진료부에 가장 밀접한 수술부를 중심으로 통증클릭닉과 수술부를 감안하여 통증클 리닉 수술부 전문진료부의 순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 .

상관분석 결과 병실부의 면적은 특실 면적과 0.889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2인실의 면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2인실, 1인실의 면적의 합계이므로 병동부와의 특별한 관 계로 보기는 힘들 수 있다 입원실의 면적은 기준 모듈에 의한 공간의 구획이므로 병원의. 운영이나 진료과의 성격 특성과 관계가 더욱 밀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입원실과 각 개실, . 과의 관계에서는 특별한 관계를 찾을 수 없었다.

상관계수의 우선순위 비고

수 술 부통증클리닉(0.803)**,수술실(0.588)*,마취의실(0.581)* 0.01과 0.05 수준에서 유의 건 강 검 진 부종합검진센터(0.995)** 0.01 수준에서 유의

물 리 치 료 부물리치료실(0.815)** 0.01 수준에서 유의

인 공 신 장 부인공신장실(0.938)** 0.01 수준에서 유의

전 문 진 료 부 면 적수술부(0.668)

**, 마취의실(0.663)*, 물리치료부(0.619)*, 물리치

료실(0.607)* 0.01과 0.05 수준에서 유의

상관계수의 우선순위 비고

병 실 부 합 계특실(0.889)**, 2인실(0.816)** 모두 0.01 수준에서 유의 간 호 근 무 부 합 계린넨실(0.930)**, N/S(0.825)** 0.01 수준에서 유의

간호사근무부에서는 린넨실과 0.930으로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 로 나타났다 공용부에서는 휴게실과 로 가장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N/S(0.825) . 0.911 ,

다음으로는 샤워실이 0.788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그 밖에도 기타 공용실들이. 많이 있으나 이들을 이루는 요소의 수가 각 병원마다의 차이가 많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요소의 수가 적어 특별한 관계는 찾을 수 없었다.

그리고 병실부, 간호사근무부, 공용부로 이루어지는 병동부의 전체 면적은 병실부와 로 나타나 강한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이는 병동부를 구성하는 요소 중 입원실이 차

0.974 .

지하는 면적이 가장 크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일 수 있으나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모형을 설정하는데 있어 비율이나 산정식에 밀접할 수 있다 또한. 2인실 면적은 0.802, 1인실 면 적은 0.601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근무부와. 0.645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유의확,

상관계수의 우선순위 비고

공 용 부 합 계샤워실(0.788)** 0.01 수준에서 유의

병 동 부 합 계병실부(0.974)

**, 2인실(0.802)**, 간호근무부(0.645)**, 린넨실

(0.632)*,1인실(0.601)* 0.01과 0.05 수준에서 유의

병동부

간 호 근 무 부

다 용 도 실 간호근무(N/S)

0.974

0.645

2 인 실 1 인 실 3 인 실 4 인 실

5 인 실 6 인 실 7 인 실 8 인 실

보호 자 대기 실

장애 인 화장 실 오 물 처 리 실

0.825

중 환 자 부

V I P 실

중 환 자 실 격리실 간 호 대 기 실 처치실 대 기 실 화 장 실

0.788

0.930 0.889

0.802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93-20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