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2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10 年 8 月 博士學位論文

중규모 일반병원의 공간변용에 따른 규모추정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건 축 공 학 과

은 철 영

(3)

중규모 일반병원의 공간변용에 따른 규모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Hospital Size with Respect to Its Modification

년 월 일

2010 8 25

조선대학교 대학원

건 축 공 학 과

은 철 영

(4)

중규모 일반병원의 공간변용에 따른 규모추정에 관한 연구

指導敎授 朴 剛 澈

이 論文 을 工學博士學位申請論文 으로 提出 함.

2010 年 4 月 日

조선대학교 대학원

건 축 공 학 과

은 철 영

(5)

은철영의 博士學位論文 을 認准 함

년 월 일

2010 6

朝鮮大學校 大學院

(6)

목 차

ABSTRACT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 1 연구의 방법 및 내용

1.2. ··· 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1.3. ··· 2

병원건축에 대한 일반적 고찰 2.

선행연구의 고찰

2.1. ··· 5 시기별 연구동향

2.1.1. ··· 5 병원 각 부문별 연구동향

2.1.2. ··· 6 병원 규모에 관한 연구 동향

2.1.3. ··· 13 병원의 개요 및 발전과정

2.2. ··· 23

대상 병원의 공간구성 및 유형분석 3.

조사 개요

3.1. ··· 49 대상 병원의 개요 및 일반 현황

3.2. ··· 50 연구 대상 병원의 개요

3.2.1. ··· 50 대상 병원의 진료과 현황

3.2.2. ··· 55 부문별 공간구성과 유형분석

3.3. ··· 57 대상 병원의 부문별 공간구성

3.3.1. ··· 61 외래진료부의 공간구성 및 유형 분석

3.4. ··· 88 외과계 진료의 구성

3.4.1. ··· 90 내과계 진료의 구성

3.4.2. ··· 95 병동부 공간구성 및 유형분석

3.5. ··· 99 소결

3.6. ··· 106

대상 병원의 공간 이용에 대한 규모변화 4.

진료부의 공간 이용 변화

4.1. ··· 108

(7)

병원별 진료부 변용실태

4.1.1. ··· 108 진료부 변용의 특징

4.1.2. ··· 126 병동부의 공간이용

4.2. ··· 148 병동부 변용의 실태

4.2.1. ··· 148 병동부 변용의 특징

4.2.2. ··· 158 지원부의 변용

4.3. ··· 163 소결

4.4. ··· 164

공간변용에 따른 구성면적의 관계분석 5.

개원 당시의 부문별 면적관계 분석

5.1. ··· 165 외래진료부 규모관계 분석

5.1.1. ··· 165 진료지원부 규모관계 분석

5.1.2. ··· 167 전문진료부 규모관계 분석

5.1.3. ··· 170 병동부 규모관계 분석

5.1.4. ··· 171 지원부 상관관계

5.1.5. ··· 173 개원 당시의 병원 면적과 각 부문의 상관관계 분석

5.1.6. ··· 177 현재의 부문별 면적관계 분석

5.2. ··· 178 외래진료부의 규모관계 분석

5.2.1. ··· 178 진료지원부의 규모관계 분석

5.2.2. ··· 181 전문진료부의 규모관계 분석

5.2.3. ··· 182 병동부 규모관계 분석

5.2.4. ··· 183 지원부 규모관계 분석

5.2.5. ··· 185 현재의 병원 면적과 각 부문의 상관관계 분석

5.2.6. ··· 187

개원당시와 현재의 규모관계 비교분석 6.

개원시와 현재의 규모관계 비교분석

6.1. ··· 189 병원 규모추정을 위한 모델 제안

6.2. ··· 191

결론 7.

參考文獻

(8)

표 차례

표 1. 의료법의 변화와 연구 대상 선정의 배경 ··· 3

표 2. 연대별 주요연구자··· 5

표 3. 병원의 각 부문별 연구··· 14

표 4. 병원의 규모산정에 관한 연대별 연구의 동향··· 15

표 5. 병원의 규모산정에 관한 연구··· 21

표 6. 병원의 정의··· 25

표 7. 의료시설의 분류 및 연구 대상 병원의 적용여부 ··· 25

표 8. 연구자별 공간부문의 분류 ··· 28

표 9. 연구자별 발전과정의 분류··· 28

표 10. 병원에 관련된 여러 가지 규제법··· 32

표 11. 의료법의 주요 변천 내용 ··· 39

표 12. 건강보험 급여 범위의 변화 ··· 43

표 13. 국내 사망원인의 연대별 변화··· 45

표 14. 국내 의료장비 도입현황··· 46

표 15. 연구대상 병원의 장비 보유 현황··· 47

표 16. 연구대상 병원의 일반적 현황 ··· 49

표 17. 연구대상 병원의 건축적 현황 ··· 51

표 18. 연구대상 병원의 의료인 수와 진료과 현황··· 57

표 19. 병원의 시대별 구분 방법··· 59

표 20. 병원별 각 층별 구성··· 59

표 21. 병원의 부문 및 부서의 분류··· 60

표 22. HNSS 병원의 부문별 구성··· 61

표 23. HNSS병원의 병실구성 및 모듈 ··· 62

표 24. GJ병원의 부문별 공간구성 ··· 63

표 25. HN 병원 병동부 병실과 NS 구성 및 모듈계획 ··· 64

표 26. HN 병원의 부문별 공간구성 ··· 64

표 27. GJHK 병원 병실구성 및 모듈 ··· 66

표 28. GJHK병원 부문별 공간구성 ··· 67

표 29. HD병원 부문별 공간구성··· 68

표 30. HD 병원 병실구성 및 모듈··· 69

표 31. DA 병원 부문별 공간구성 ··· 70

표 32. DA 병원 병실구성 및 모듈··· 70

표 33. SM병원 부문별 공간구성 ··· 71

표 34. SJSL병원의 부문별 공간구성 ··· 73

표 35. SJSL병원 병실구성 및 모듈계획 ··· 73

표 36. CT병원 부문별 공간구성 ··· 75

표 37. GJYR병원 부문별 공간구성··· 76

표 38. OP병원 병실구성 및 모듈계획 ··· 77

표 39. WAHK병원 부문별 공간구성··· 78

표 40. WAHK병원 병실구성 및 모듈계획··· 78

표 41. IK병원의 부문별 공간구성 ··· 80

표 42. IK병원 병실 구성 및 모듈계획 ··· 80

표 43. SG병원 부문별 구성··· 81

(9)

표 44. SG병원 병실 구성 및 모듈계획 ··· 82

표 45. MRL병원의 부문별 공간구성 ··· 83

표 46. MRL병원 병실 및 모듈계획··· 83

표 47. HM병원의 부문별 공간구성··· 84

표 48. HM병원 병실구성 및 모듈계획··· 85

표 49. SK병원의 부문별 공간구성 ··· 86

표 50. SD병원 병실 구성 및 모듈계획 ··· 87

표 51. 대상병원의 부문별 면적 구성··· 87

표 52. 외과계 진료의 배치 형태··· 90

표 53. 대상병원의 외과계 진료과 구성 ··· 91

표 54. 대상병원의 외과계 진료과 구성 ··· 92

표 55. 내과계 진료의 배치 형태··· 95

표 56. 병동부 평면유형 및 ··· 99

표 57. 조사대상병원의 N.S 구성··· 101

표 58. 입원실의 구성··· 102

표 59. 너스스테이션(N.S)의 배치··· 102

표 60. HNSS병원 진료부··· 108

표 61. GJ병원 진료부··· 109

표 62. HN병원 진료부··· 110

표 63. GJHK병원 진료부··· 111

표 64. HD병원 진료부··· 113

표 65. DA병원 진료부··· 114

표 66. SM병원 진료부··· 115

표 67. SJSL병원 진료부··· 117

표 68. CT병원 진료부··· 118

표 69. GJYR병원 진료부··· 118

표 70. GJHK병원 진료부··· 119

표 71. IK병원 진료부··· 121

표 72. SG병원 진료부··· 122

표 73. MRL병원 진료부··· 123

표 74. HM병원 진료부··· 124

표 75. 외래진료부 진료실 층별 위치··· 126

표 76. 외래진료부 진료실의 변용··· 127

표 77. 내과계 진료실 및 종합검진실 및 인공신장실 위치··· 128

표 78. 내과계 진료실과 부속실의 변용··· 129

표 79. 외과계 진료실 및 영상진료부 물리치료실 위치, ··· 130

표 80. 외과계 진료실과 부속실의 변용··· 132

표 81. 외래진료부 진료과 구성··· 134

표 82. 외래진료부 진료과 구성변화 유형··· 135

표 83. 수술부와 중앙공급부 및 중환자실 관계··· 135

표 84. 외래진료실의 면적변화··· 140

표 85. 진료실의 개수와 면적의 변화··· 140

표 86. 진단영상검사부의 면적변화 단위( : ㎡ ··· 143)

표 87. 진단영상검사부의 개수와 면적의 변화··· 144

표 88. 외래진료부 진료실 평면유형··· 145

(10)

표 89. 진료부 평면의 유형분류··· 146

표 90. HNSS병원 병동부의 변용··· 147

표 91. GJ병원 병동부의 변용··· 147

표 92. HN병원 병동의 변용··· 148

표 93. GJHK병원 병동부의 변용··· 149

표 94. HD병원 병동부의 변용··· 150

표 95. DA병원 병동부의 변용··· 150

표 96. SM병원 변동부의 변용··· 151

표 97. SJSL병원 병동부의 변용··· 152

표 98. CT병원 병동부의 변용··· 153

표 99. GJYR병원 병동부의 변용··· 154

표 100. GJHK병원 병동부··· 154

표 101. IK병원 병동부··· 155

표 102. HM병원 병동부··· 155

표 103. 진단영상검사부의 면적변화··· 160

표 104. 지하층의 변용··· 161

표 105. 외래진료부의 각 부서별 상관분석 결과··· 165

표 106. 진료지원부의 각 부서별 상관분석 결과··· 167

표 107. 전문진료부와 각 부서별 상관분석 결과··· 170

표 108. 병동부 각 부분별 상관분석 결과··· 172

표 109. 지원부 각 부분별 상관분석 결과··· 174

표 110. 개원당시 병원면적의 각 부문별 상관관계 해석 ··· 177

표 111. 외래진료부의 각 부서별 상관분석 결과··· 179

표 112. 진료지원부의 각 부서별 상관분석 결과··· 182

표 113. 전문진료부 각 부서별 상관분석 결과··· 183

표 114. 병동부 각 부서별 상관분석 결과··· 184

표 115. 지원부 각 부서별 상관분석 결과··· 185

표 116. 현재 병원 전체 면적과 각 부문의 상관분석 결과 ··· 187

표 117. 현재 병원면적의 각 부문별 상관관계 해석 ··· 189

표 118. 개원 당시와 현재 규모의 상관관계 우선순위 및 모형의 단계··· 189

표 119. 각 모형별 R2의 변화량··· 192

표 120. 각 모형의 변수 및 계수값 ··· 192

표 121. 각 모형별 함수식과 변수 ··· 193

(11)

그림 차례

그림 1. 연구대상 병원의 설립 및 발전과정 ··· 4

그림 2. 김광문 외 2인의 분류(1983) ··· 7

그림 3. 문창호 외 1인의 분류(1987) ··· 7

그림 4. 캐나다의 Alberta社의 분류··· 9

그림 5. 미국 E.T. Wheeler ··· 9

그림 6. 김광문 외 인의 연구3 (1990) ··· 10

그림 7. 박준수 외 인의 연구1 (1999) ··· 10

그림 8. 김길채의 연구(2003) ··· 10

그림 9. 병원의 각 부문별 연구경향··· 12

그림 10. 대상 병원의 전경 ··· 51

그림 11. 병원별 진료과와 진료의사의 수 ··· 57

그림 12. 대상병원의 부문별 면적··· 89

그림 13. 외과계 구성요소의 조합 유형··· 93

그림 14. Ⅱ유형의 대표적 사례(MRL병원)··· 95

그림 15. 대상병원의 내과계 조닝 현황 1 ··· 96

그림 16. 대상병원의 내과계 조닝 현황 2 ··· 97

그림 17. 내과계 조닝의 기본 구성··· 98

그림 18. 조사대상 병원의 입원실 구성 비율··· 104

그림 19. 외래진료부의 각 부서와의 상관계수 ··· 166

그림 20. 일반외과면적과 외과계진료과 합계면적의 관계 ··· 167

그림 21. 응급실면적과 응급부 합계면적의 관계 ··· 167

그림 22. 잉삼병리실 진단검사의학부 면적관계- ··· 168

그림 23. 특수촬영실 진단영상검사부 면적관계- ··· 168

그림 24. 진료지원부 각 부서와의 상관분석 결과 ··· 169

그림 25. 간호사실과 수술부의 면적관계··· 171

그림 26. 수술실과 수술부의 면적관계··· 171

그림 27. 수술실 수술부 관계 특이값 제외- ··· 171

그림 28. 전문진료부와 각 부서와의 상관분석 결과··· 172

그림 29. 병동부와 각 부서간의 상관분석 결과 ··· 173

그림 30. 환자휴게실과 지원부면적의 상관관계 ··· 175

그림 31. 매점면적과 지원면적의 상관관계 ··· 175

그림 32. 공급지원부면적과 지원부면적의 상관관계 ··· 175

그림 33. 고객지원부면적과 지원부면적의 상관관계··· 175

그림 34. 지원부와 각 부서간의 상관분석 결과··· 175

그림 35. 개원 당시 병원 전체면적과 각 부문간의 상관관계분석 ··· 177

그림 36. 진단영상검사부와 진료지원부의 상관관계와 함수식··· 179

그림 37. 진료지원부와 병원전체면적의 상관관계와 함수식 ··· 179

그림 38. 응급실과 응급부의 면적관계··· 180

그림 39. 응급부와 외래진료부의 면적관계 ··· 180

그림 40. 현재의 외래진료부 각 부문별 상관계수 ··· 180

그림 41. 진료지원부 각 부서와의 상관분석 결과 ··· 182

그림 42. 현재 병동부 상관계수 ··· 184

(12)

그림 43. 현재의 전문진료부 상관계수 ··· 184

그림 44. 현재 지원부의 상관분석 결과 ··· 186

그림 45. 병실부와 병동부 면적의 상관관계 ··· 188

그림 46. 병동부와 병원 전체면적의 상관관계 ··· 188

그림 47. 현재의 병원 전체면적과 각 부문과의 분석 결과 우선순위 ··· 188

그림 48. 개원당시와 현재의 각 부문의 상관계수의 변화 ··· 190

그림 49. 각 모델별 R2의 변화량 ··· 193

(13)

ABSTRACT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Hospital Size with Respect to Its Modification

Scale and function of hospital accommodation were decided by such factors as medical system and development and many other factors such as regional conditions of hospital, purpose of its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policies.

Mid-sized general hospitals have undergone many changes in their space due to changes of medical systems including extension of national medical insurance in 1989, separation of pharmacy and hospital in 1999, and introduction of diagnosis related group in 2002, changes of disease, and development of medical equipments and information system. This study is to present objective and statistical data of these mid-sized hospital designs which are made by client's requirements or benchmarking of similar cas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ground plan of 16 mid-sized general hospitals built in Gwang-ju city from 1990 to 2010. And it classified components of hospital into parts and departments, examined the area of each room, and suggested design methodology model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f space size by parts and guideline in early planning stage of mid-sized general hospital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below.

So far many studies have treated partial classification of mid-sized hospitals Eun, Cheol Young

Advisor : Prof. Park, Kang-Chul, Ph.d.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14)

with the same standards of large-sized general hospitals. But such an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 is suitable for large-sized hospitals, but mid-sized hospitals must have separate classification and it will be appropriate to classify them into outpatient part, consultation support part, special consultation part, ward part and support part.

Spatial composition of hospitals to be examined was spatially and functionally connected with outpatient part, consultation support part and special consultation part, and support part was generally located at the top floor or connected with other parts in some degree, and ward part was placed through three to five stories.

Outpatient part was placed in a space on the same floor as consultation support part. Surgical space was in the same space as X-ray and emergency rooms, internal medicine space was organically related to comprehensive medical examination center and in the same floor as blood collecting room, ECG room and urine test room.

In the nursing unit composition of ward part, these mid-sized general hospitals have average 50 beds which are similar to university hospital or general hospital and many of them use room for many people and one- or two-person room on one story. Plane form of ward showed double corridor type and nurse station was mostly located in the center of plane. It means that nurse station was located in the center of double corridor type for functional and efficient plane composition.

Spatial modification of the mid-sized hospitals was mainly found in single medical part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specialization of hospital.

Basement parking lot was used as clinical pathology room, comprehensive medical examination center or funeral home, and office space of the hospital was leased as separate building or newly built to make special space of the hospital in the space.

Most of the mid-sized general hospitals managed intensive care unit by

(15)

placing it beside operation zone, but since it is not compulsory condition in general hospital with the scale under 300 rooms, their functions were reduced and IK hospital, HM hospital, SJSL hospital, and GJYU hospital eliminated the intensive care unit space except recovery room and then waiting room for guardians was also disappeared and the space was easily modified to space for other purposes.

There was a difference in correlations of space scale between the time when hospital opened and the present. When the hospital opened, importance of consultation support part was great and estimation equation of scale for the mid-sized general hospitals was drawn. In the relation between diagnosis test part and consultation support part, function y=1.6285x+54.572 was obtained and the whole area of consultation support part and hospital showed the function y=5.4427x+2729.1. Calculating these by stages can estimate the area of the whole hospital from each room. However, relation to current hospital area is mainly led by ward part and function which can estimate the whole hospital area with the whole area of ward part including room area (relation between room and ward part y = 1.1764x - 17.765 / relation between ward part and the whole hospital y = 2.3224x + 466.91) was found.

(16)

병원의 수용규모 및 기능은 그 시대의 의료제도와 관련된 요인들과 병원의 지역적 조 건 설립목적 운영방침 등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하여 결정된다 과거 우리나라는, , . 1977년 의료보험 제도의 실시 이후 1989년 전국민 의료보험확대 시행에 따라 전면적인 의료 전달 체계가 확립되었고 이로 인하여 전국민이 의료서비스 혜택을 저렴한 비용으로 누릴 수 있, 게 되었으며 이러한 의료수요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대학병원이나 의원 이외에도, , 100병 상 이상 규모의 일반병원(General Hospital)1)이 개인이나 공동개원2)의 형태로 설립되기 시작한다.

광주광역시의 경우 2차진료기관은 1993년을 기점으로 급속히 증가하며 도시가 성장 발, 전함에 따라 각 지역의 의료중심기관으로서 성장하였다.

또한 이들 병원들은 환자수가 급증함에 따라 중규모종합병원3)의 기준에 맞는 진료과들 을 확충하며 점차적으로 진료과를 개설하거나 병상수의 증가시켜 종합병원으로 승격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1999년 의약분업이 실시됨에 따라 성장일로에 있던 병원들은 수입원이었던 병 원 내 약국이 폐쇄됨으로써 재정적으로 크게 타격을 받았으며 건축공간에서도 큰 변화가 일어났으며 이로인한 병원들의 자급적 노력으로서 병원의 전문화 특성화를 통해 수익 창출, 모델들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진료과를 외과계 내과계로 세분화 전문화를 이루며 전문클. , , 리닉을 활성화시키고 당뇨나 고혈압 비만예방 등의 건강검진센터의 특화를 비롯하여 물리, 치료실을 재활 및 스포츠 재활개념으로 확장시켜 의료개념이 단순한 질병 치료개념에서 치 유와 예방 개념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병원들의 초기 계획단계에서는 건축주의 경험이나 감각이 주가 되어 건 축주의 과거 근무처나 유사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많은 수정과 피드백과정을 거치며 설계자 는 디자인의 개념보다는 기능적이고 의료적 법규에 관한 사항을 검토하는 수준에서 디자인 인이 정리되고 있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병원건축이 전문화되고 특화된 부분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지금까지의 중규모 병원에 1) 의료법상 100병상 이상은 종합병원으로 분류되고 종합병원 규모 중 개 진료과를 갖추지 않았을 때 일반병7

원으로 분류함

2) 공동개원이라 함은 여러 명의 의사가 지분을 가지고 공동 건축주가 되어 개원하는 형태를 일반적으로 지칭.

3) 중규모종합병원: 의료법상300병상 이하의 개 진료과 및 전문의를 갖춘 일반병원을 지칭7

(17)

적합한 스페이스프로그램이나 객관적인 근거 없이 설계되어지는 것이 현 실정이라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0년대 이후의 건립된 광주광역시의 중규모 일반병원을 대상으 로 개원 당시와 현재의 평면 구성 및 면적에 관한 사항을 조사 분석하여 중규모 병원의 규․ 모에 관한 기초적 자료를 제안하고자 한 연구로 중규모 병원의 초기 계획단계에서의 규모 추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중규모 병원의 개원 당시와 현재 평면의 각 공간요소와 면적을 조사하고 이들 각 개별 요소를 단계적으로 그룹화하여 부분과 전체의 개념으로서 개별 요소간의 분석 요소들로 이, 루어진 부서의 그룹 그리고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부문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 으로 하는 각 부문의 면적에 대한 모형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조사는 병원건축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과 법규적 검토의 두가지로 진행되었다 선행연구의 분석은 시대별로 연구의 경향을 살펴. 본 연구의 위치를 파악하고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법규적 검토는 의료제도와 관련된 법규 변화가 병원 건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또한 병원의 현장조사는 도면. 분석의 확인과정으로서 각 대상 병원의 개원당시 도면을 바탕으로 평면 구성 및 동선 관계, 실의 구성 등 개원당시와는 다른 변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분석은 먼저 조사된 현재의 평면을 바탕으로 평면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부문별 로 평면의 구성 및 각 요소에 대한 파악을 하고 개원 당시와는 어떤 변화가 있는지 개원시 와 현재 평면의 변용실태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면적을 바탕으로 단계적으로 상관분. 석을 실시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상관관계와 이들의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부서와 부문별 상 관관계를 파악하여 상관계수가 높은 변수를 중심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통계프로그램은 SPSS Statistics 17.0과 Excel 2007이며 도면의 전산화작업 및 정리는 Autocad 2008을 사용하였다.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병원 103개 중 요양병원이나 전문병원과 같은 특수병원을 제외한 160병상 이상 300병상 이하의 일반병원 및 종합병원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이중. 전국민 의료보험이 실시4)된 이후인 1990부터 현재까지 건립된 중규모 일반병원 16개를

4) 1977년 의료보험 제도의 시행이후1989년 월 전국민 의료보험의 시행으로 의료 서비스에 대한 기대와 수7

(18)

연구 대상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이들 병원은 현재까지 광주광역시에. 건립된 중규모 일반병 원의 전부이며 1989년 전국민 의료보험의 확대 실시 이후 설립되어 초기단계에서부터 종 합병원의 형태로 건립되거나 또는 일반 병원으로 시작하여 종합병원으로 승격한 병원들이 대부분이다.

효가 급증함에 따라1980년대 후반 중규모 병원으로의 전환이 추진되었고, 1990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를 보 였다 그러나 중규모 병원의 경우 의료수요에 따라 급격히 증가된 것으로 소규모 병원에서의 확장 또는 이전. 을 통해 형성된 것으로 공간 및 동선 면적 배분에 있어 체계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병원내 조제 투약 금지

- ,

처방전 없이 의약품 판매금지 -

경유 이용가능( )

대부분의 병원은 300Bed 이하의

종합병원으로 승격

연구의 대상

(19)

연구 대상 일반병원의 경우 의약분업이 실시된 이후에 설립된 병원도 9개나 되며 이들 병원 중에는 개원하기 전에 다른 용도로 사용된 병원도 있으며 병원을 리모델링하거나 폐 업된 병원을 다시 개원한 경우도 있다 또한 처음 개원시에는 소수의 진료과로 일반 의원급. 수준으로 진료가 이루어지다가 점차적으로 그 지역의 특성 에 맞게 진료의사를 확충하여 점차적으로 종합병원의 규모로 확장된 병원도 있다.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전 국민 의료보험

1989. 7. 의약분업

2000. 7.

광주병원 하남성심병원

HN병원 (구. 호남병원) 광주한국병원

광주현대병원

상무병원 시티병원 송정사랑병원

광주열린병원 운암한국 일곡병원

신가병원

광주희망병원 동광주병원

동아병원

원앙 예식장

(구) 주안병원 (구) 운암중앙병원 리모델링

91. 7.

<현 :광주보람병원>

70 병상 서구 양동 북구 중흥동

40병상

서구 쌍촌동

남구 백운동 남구 봉선동 <현 :한일병원>

95. 6. 179병상

05. 9.

07. 8.22

서구금호동

00. 2. 신축이전

서광병원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병원건축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5) 홈페이지 에서 제목과 주제어를 기준으로 병원건축 에 관련된 자료를 검색하였으며 총“ ” 2,788건 중 건축적 접근으로서 연구된 학위논문과 국내학술지 논문 493건을 대상으로 선행연구를 고찰 하였다.

병원건축에 관한 연구가 대두되기 시작한 시기는 1960년대 말로 볼 수 있다. 1960년대 편의 논문을 시작으로 년대 편 년대 편 년대 편 년 이후에 2 1970 16 , 1980 71 , 1990 181 , 2000

편으로 의료시설과 병원의 수가 증가와 의료보험 확대실시 이후인 년대 이후 급격

223 1990

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종합병원과 종합병원 외의 연구를 비교해 보면 60년대에는 종합병원의 연구만 이루어

5) 학술연구정보서비스 홈페이지http://www.riss.kr/index.do 참조 년대

1960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이후 비고

연구수 2 16 71 181 223 493

주요

연구자 김유 이특구,

김광문(4), 이명호(2), 김정주, 문창호, 박길복, 박찬무, 신영기, 심재덕, 유영민, 이낙운, 이종범, 최호석(1)

김광문(15), 이광노(7), 이낙운(3), 이신호(3), 이재호(3), 이특구(3)

김광문(10), 문창호

양내원 유영민

(7), ,

박혁수 권오

(6), (4),

영, 김호영, 박남규, 송성진 이경회 이기, , 수, 정태우, 조은경, 최유신(3), 권혁기, 김광호 김치헌 문윤, , 기, 백영권, 부척양, 안승엽 유재권 유지, , 춘, 윤동현, 이광노, 이성환 이정만 이희, , 진, 주성철, 최광석 (2)

김하진(5), 김길채, 김상복 박미화 박승환, , , 손재원 우세진 윤우용, , ,

이희진 조준영, , 주진형(3), 강성창, 강전웅 김만영 김성한, , , 김영천 김용우 김춘성, , , 문창호 박윤정 박정훈, , , 양내원 유영민 윤수진, , , 이성영 이정수 이중호, , , 이효원 이희봉 임태섭, , , 정광호 정주현 천상호, , , 최광석 최승규 표건우, , ,

한진희(2) 대상

병원

종 합 2 13 40 90 83

종합외 0 3 31 91 140

(21)

졌고 70년에는 종합병원 13 ,편 종합병원 외 3 , 80편 년대에는 종합병원 40 ,편 종합병원 외 편 년대에는 종합병원 편 종합병원 외 편 년대 이후에는 종합병원 편

31 , 90 90 , 91 , 2000 83 ,

종합병원 외 140편으로 초기에는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다가 80년대부터 종합병원 외의 연구가 늘어나면서 90년대엔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 리고 2000년대 이후에는 종합병원 외의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료시설의 발달로 다양한 의료행위가 이루어졌으며 종합병원이 아 닌 전문병원으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합병원이나 전문병원. 외의 연구는 극히 미진한 것으로 판단된다.

먼저 기존 연구에서 나타나는 병원의 각 부문 분류 체계를 살펴보았다.

연구자마다의 4~6개의 부문으로 분류하였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부문이 더욱 세분화 되어 2003년 김길채의 연구에서는 병동부 외래부 중앙진료부 서비스부 관리부 교육연, , , , , 구부문의 6개로 분류됨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체로 일본의 분류방식을 기초로 하지만 1980년대 이후 변화가 나타 나는데 이낙운 외 인의 연구에서는 일본의 경우와 유사하게 병동부 외래부 중앙진료부2 , , , 공급부 관리부 등, 5개 부문으로 대분류하고 다시 20개의 부서로 소분류하였지만 특이한 것은 공급관계부서를 공급부문으로 분류하고 후생관계실들을 관리부문에 포함하여 일본의, 분류방식과 차별화하기 시작하였다.6)

병원의 주 기능에 해당하는 병동부 외래진료부 중앙진료부에 대한 분류는 큰 차이는, , 없으나 지원부문인 공급 관리 교육 편의에 해당하는 부문들은 시기별 연구자별로 분류기, , , , 준과 명칭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과거보다는 최근에는 각 부문이 세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분류를 하였던 연구 대상의 병원들은 모두 종합병원급으로 수도권지역의 약 500병상 이상의 대규모 종합병원임을 알 수 있다.

먼저 김광문 연구7)의 연구 대상은 1970~1980년대에 건립된 30~493의 병상을 가진 개의 병원을 대상으로 진행하여 이를 병상수에 따라 개의 그룹으로 분류한 후 각 그룹

20 3

마다의 부문별 면적과 그 구성비를 밝혔다 일본의 분류방식을 유지하면서 소분류에서 약간.

6) 채종형 국내 종합병원 스페이스 프로그램 변화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 2009, 참조

p.8

7) 김광문 이낙운 유영민 병원의 부문별 면적구성에 관한 연구 건축, , , , 27 , 6 ,권 호 대한건축학회, 1983, p.43

(22)

의 차이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문창호 이광노의 연구, 8)는 병동부 외래부 중앙진료부 관리부 서비스부의, , , , 5 개로 나누어 역시 일본의 분류방식을 토대로 하였으며 미국의 E.T. Wheeler의 분류방식을 일부 접목하여 서비스부분을 추가하여 5개로 분류하였다 연구 대상 병원은. 200~400병상 범위의 6개 병원으로 선정하였다.

김광문 연구의 공급부분과 유사한 실을 포함하여 서비스부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또한 문창호의 연구에서 제시되었던 캐나다와 미국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8) 문창호 이광노 병원건축의 면적배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 , 3권 호1 , 1987, p.45 이낙운, 유영민

김광문 병 동 부 문

외 래 부 문

중 앙 진 료 부 문

공 급 부 문

관 리 부 문

병 실

기 타 제 실

통 로 부

일 반 외 래 부

응 급 부

검 사 부

방 사 선 부

수 술 부

분 만 부

리해빌리테이션부

약 국

기 계 실

특 수 진 료 실

중 앙 재 료 실

수 혈 부

급 식 부

세 탁 실

중 아 창 고

후 생 관 계

운 영 관 계

일본의 伊藤 誠의 분류방법을 따름

(23)

캐나다 Albert社의 분류는 크게 21개 부서로만 분류하였으며 관리부 접수부 의무기록, , 부 건물유지관리부 도서 및 시청각부 사회사업부 등을 독립된 부서로 취급하였다, , , .9) 또는 미국의 E.T. Wheeler의 분류를 인용하였는데 이는 간호부 진료시설 서비스부 관리부 특, , , , 수서비스로 대분류하여 병동부를 따로 분류하지 않고 간호부에 포함하였으며 외래진료부를 특수서비스로 분류하였다 또 진료시설로는 검사 및 방사선 물리치료부 등을 포함하여 기. , 존의 분류체계와는 많은 부분에서 차이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김광문 외 3인의 연구10)에서는 중소규모 병원에 대하여 의료법상의 용어가 아

9) 앞 주 문창호의 연구, p.44

문창호, 이광노 병 동 부 문

외 래 부 문

중 앙 진 료 부 문

관 리 부 문

서 비 스 부 문

일 반 병 동

중 환 자 실

통 로 면 적

외 래 진 료 부

응 급 부

검 사 부

방 사 선 부

수 술 부

분 만 부

신 생 아 부

접 수 , 수 납 기 타

약 제 부

중 앙 공 급 부 물 리 치 료 부

급 식 부

세 탁 부

근 조 부

기 계 실

기 타

일본의 伊藤 誠의 분류방법을 따름

(24)

닌 대규모병원에 비하여 병상규모가 작은 의료조직을 관례적으로 지칭하는 개념으로 설명 하였고 어느 정도의 규모인지 명확한 정의가 내려져있지 않다 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12개 중소병원으로 하였고 이들의 병상수는 20~199병상이다 이를 다시 병상수에 따라. 4그룹

소규모병원 중규모병원 으로 분류하였다 ( , ( ,小 中 大, )) .

부문별 분류는 외래진료부 중앙진료부 병동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기존의 분류체계, , 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중소규모병원의 중요성을 인식. 11)하여 중소규모의 병원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그 분류체계에 있어서는 대규모의 병원의 분류체계를 그대로 따른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박준수외 1인의 연구12)에는 종합병원과의 혼돈을 피하기 위하여 중소규모 병‘ 원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그 대상을 종합병원과 의원을 제외한’ 100병상 전후의 중소규 모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10) 김광문 최광석 정태우 서상문 중소도시에 건립하는 병원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 , , , 6권 호

4 , 1990, p.69

11) 중소병원의 긍정적인 측면으로 지역적으로 고루 배치된다면 공간적 접근성과 대규모병원과 담장질병의 종 류를 달리 함으로서 병원을 특성화할 수 있다는 점 병원의 대형화를 방지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크게할 수, 있다는 장점을 설명하였다.

12) 박준수 서기영 중소규모 병원의 면적배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 15권 호4 , 1999, 캐나다의Alberta사

병 동 부 문 외 래 부 문 중 앙 진 료 부 문

관 리 부 문 서 비 스 부 문

의 무 기 록 부 건물유지관리부 도서및시청각부 사 회 사 업 부 Alberta

Hospital and Medical Care, Space- Programming Methodology, 1982

문창호, 이광노

캐나다의 Alberta社의 분류 문창호의 연구에서 재인용

( )

미국 E.T.

Wheeler

진 료 시 설

서 비 스 부 문

특 수 서 비 스 E. Todd

Wheeler, Hospital Modernization and Expansion, McGraw-hill, Inc. , 1971, 12 문창호, 이광노

미국 E.T. Wheeler 문창호의 연구에서 재인용

( )

(25)

김광문, 최광석 정태우, 서상문

병 동 부 문 외 래 부 문

중 앙 진 료 부 문

박준수, 서기영

병 동 부 문

외 래 부 문

중 앙 진 료 부 문

공 급 부 문

관 리 부 문

병 실 면 적 기 타 제 실 면 적 통 로 면 적

진 료 부 면 적 응 급 부 면 적

방 사 선 부

물 리 치 료 부

중 앙 재 료 실

운 영 관 계 후 생 관 계

또한 병원의 각 부문분류도 김광문의 연구와 동일하다 연구의 대상은 중소규병원으로. 선정하였지만 분류체계에서는 병동부 외래부 중앙진료부 공급부 관리부로 분류하여 기존, , , ,

(26)

의 분류 체계와 동일하다.

병원의 각 부분의 분류에 있어서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일본의 분류체계를 그대로 따르 면서 시작되어 현재까지도 그 분류가 거의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연구대. 상의 선정에서도 대규모 병원과는 병상수나 공간의 구성 등 많은 차이가 나는 중소규모 병 원에 관한 연구에서도 기존의 체계를 그대로 적용하여 대규모의 종합병원의 체계를 적용한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지금까지의 연구와는 다른 중소규모의 병원에서는 그 규모와 구성에. 따른 다른 분류체계를 가져야 한다는 판단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체계와 다른 다소 혼 합된 분류체계를 따르기로 한다.

다음으로 병원의 각 부분에 대한 경향을 살펴보았다.

부분별 연구로는 병동부 중앙진료부 외래진료부 서비스부 관리부 공급부 그리고 공, , , , , 용부분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병원의 외부공간에 대한 연구도 있었다 이중 병동부문에 관. 한 연구가 112편으로 가장 활발했고 중앙진료부 67 ,편 외래진료부 52 ,편 서비스부 16 ,편

김길채 병 동 부 문

외 래 부 문

중 앙 진 료 부 문

서 비 스 부 문

관 리 부 문

교 육 연 구 부 문

임 상 병 리 해 부 병 리 생 리 기 능 진 단 방 사 선 피 료 방 사 선 핵 의 학 과

통 원 수 술 부 신 생 아 실

재 활 의 학 인 공 신 장 특 화 센 터 건 강 검 진

(27)

공용부 13 ,편 공급부문 6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년대에 응급부와 급식부의 연구를 시작으로 년대엔 중앙진료부문의 수술부를

1960 1970

중심으로 방사선부와 병동부문 외래진료부문의 진료실 서비스부문의 급식부의 연구가 이, , 루어졌다. 1980년대 중앙진료부문의 연구가 13 ,편 병동부문의 연구가 12 ,편 외래진료부문 의 연구가 10편으로 고루 나타났고 공급부문의 연구가 6 ,편 서비스부문의 연구가 2 ,편 관 리부문의 연구가 1편 나타났다 세분해 보면 병동부의 연구가. 10편으로 가장 많았고 외래 진료부문의 진료부 6 ,편 중앙진료부문의 방사선부가 4편 순으로 나타났다 중앙진료부문의. 연구는 수술부 검사부 재활치료부 분만부의 연구가 이루어 졌으며 중앙진료부문의 전체, , , 적인 관계에 관한 연구도 나타났다.

년대의 부문별 연구는 병동부문의 연구가 편으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중앙진

1990 48

료부문 30 ,편 외래진료부문 17 ,편 관리부문 공용부분, 2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병동부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는 평면의 형태와 각 실의 규모 비교를 비롯하여 간호사 실의 위치파악과 간호사의 작업동선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복도의 형식 및 각실의 동 선을 파악을 위한 연구가 일부 진행되었으며 중환자실 공용부 호스피스병동에 관한 연구, , , 들도 나타났다.

또한 중앙진료부에 관한 연구도 증가하여 수술부 방사선부의 면적과 위치적 특성에 관, 한 연구를 비롯하여 각 검사실의 위치와 동선에 관련된 연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리. 고 외래진료부에 관한 연구와 진료실과 진료대기실의 크기와 동선 및 위치에 관한 연구와

부문별연구

병동 병동

병동

병동 병동

중앙진료

중앙진료

중앙진료

중앙진료

중앙진료

외래 외래

외래

외래

외래

0 10 20 30 40 50 60

60년대 70년대 80년대 90년대 2000년이후

연구수 공용 병동 중앙진료 외래 서비스 관리 공급 외부

(28)

응급실의 위치와 진입동선 계획의 관한 연구를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부에 관한 연구로는 증축된 부분의 위치에 관한 계획적 연구를 확인 할 수 있었고 급식 세탁실 등 공급실 등의 동선계획에 관한 연구가 있으며 로비와 화장실, 등의 공용부분의 위치와 크기에 관한 계획적 연구가 시작되었다.

병도부에 대해서는 1990년대부터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는데 이는 병원건축의 기본 모듈을 결정짓는 입원실의 평면분석을 기본으로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고 의료기기의 발달 과 의학의 발달로 인해 중앙진료부문의 연구가 세분화되고 다양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 다.

부문 부서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 이후 합계 비고

공용

전체         3 3

로비       1 6 7

화장실       1   1

편의시설         1 1

복도         1 1

0 0 2 11 13

병동

일반   2 10 37 33 82

간호사실       5 2 7

공용공간       1 5 6

중환자     2 1 2 5

복도       3 2 5

호스피스       1 2 3

주간보호시설         3 3

휴게         1 1

2 12 48 50 112

중앙 진료

전체     2   1 3

수술   4 3 7 2 16

방사선 1 4 7 2 14

재활     1   5 6

분만     1 5   6

검사     2 1 1 4

건강진단 증진/       1 3 4

촬영       1 2 3

핵의학       2   2

MRI       2   2

클린룸       1   1

임상병리       1   1

인공신장       1   1

영상의학         1 1

신생아       1   1

비만클리닉         1 1

1 5 13 30 18 67

외래

진료   1 6 8 17 32

대기     2 8 2 12

응급 1   2 1 4 8

1 1 10 17 23 52

서비스

급식 1 2   1   4

세탁     2 1   3

물품창고         1 1

장례식장       2 6 8

(29)

년 이후의 부문별 연구를 살펴보면 병동부문의 연구가 편으로 가장 많이 이루어

2000 50

졌고 외래진료부문이 23 ,편 중앙진료부문이 18 ,편 공용부분이 11 ,편 서비스부문 7편 순으 로 나타났다. 1990년에 이어 병동부문의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는데 전체적인 평면의 특성과 규모를 파악하는 연구와 더불어 공용공간 연구를 중심으로 간호공간과 휴게공간 휴, 계시설의 연구로 세분되고 있으며 고령화사회로 인한 노인전문병원의 증가로 호스피스병동 과 주간보호시설에 관한 연구도 나타나고 있다 중앙진료부문 역시 노인전문병원의 증가로. 재활치료부와 건강진단 증진센터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의료기기의 발달로 인한 영/ 상의학부의 연구와 사회변화에 다른 비만클리닉 등의 연구가 나타났다 공용부분의 연구는. 많은 의료시설의 보급으로 인해 병원들의 경쟁이 심화됨에 다라 병원의 이미지를 좌우하는 로비공간의 연구가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전체적인 공용공간의 구성과 편의시설에 관한 연 구도 나타나고 있다.

병원의 규모산정과 관련된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키워드 규모 면적으로 검색된, 연구 중 본 논문과 직접적인 관련 있는 20편을 중심으로 병원의 규모산정에 관한 선행연구 를 살펴보았다.

부문 부서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 이후 합계 비고

1 2 2 4 7 16

관리

수납     1     1

의무기록       2   2

0 1 2 0 3

공급

전체     2     2

약제부     2     2

멸균재료부     2     2

0 6 0 0 6

외부       1 4 5

총계 3 10 44 104 113 274

년대

1970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이후 비고 분석

대상 연구 총 편 ( 20 )

연 구 자

박길복(1976)

이낙훈외 (1983), 문창호외(1987),

오진수(1998)

김선국외(1994), 이성환외(1996), 이정만외(1996), 권오영외(1998), 백영권(1998),

김하진외(2001), 임태섭(2002), 김길채(2003), 김성호(2003),

(30)

병원건축의 규모에 관한 연구는 연대별로 1970년대에 1 , 1980편 년대에 3 , 1990편 년대 에 11 , 2000편 년대 이후에 5편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1980년대의 연구는 부문을 세분하 여 구성요소들을 정립하고 부문별 면적과 구성비율을 분석하여 건축적 특성을 파악하려는 시도가 주를 이루고 있다.

년대는 년대에 정립된 부문별 구성요소에 따라 공간을 분류하고 공간별 관계 1990 1980

를 유형화하여 평면유형을 분류하여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 졌고 특정지역과 타지역의 특성을 비교하거나 외국의 사례를 비교하려는 연구가 나타났다.

년대 이후에는 증개축에 의한 병원의 세부 규모의 변화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 2000

가 이루어졌고 국내 병원의 최소기준면적의 실태와 외국의 기준을 비교하여 최소기준의 필 요성에 관한 연구도 나타났다.

연구자별 연구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총 30편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연구자별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1976년 박길복13)은 국내 8 ,개 일본 8개의 병원을 대상으로 전체적인 면적구성과 부문별 면적구성을 분석하여 일본과 국내의 병원을 비교하였는데 그 결과 일본 과 국내의 병원에서 큰 차이는 없으나 미국과는 차이가 많이 났고 면적구성은 병실(40%)>

외래진료부(15%)>중앙진료부(20%)>관리부분(10%)>서비스부분(15%)순으로 나타났다고 하 였다.

이낙운14) 은 70년대 후반부터 80년대 초반에 준공되었거나 준공예정인 20개의 병원을 13) 박길복 종합병원 기초설계를 위한 면적구성에 관한 연구, , 1976,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이낙훈 유영민 김광문 병원의 부문별 면적구성에 관한 연구, , , , 1983, 대한건축학회지27권115호 년대

1970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이후 비고 백영권외(1998),

권오영(1999), 김광호외(1999), 박준수외(1999), 이철승외(1999)

김길채(2008)

연 구 대 상국내, 일본의 8개 병

병상 이상 개인병 20

종합병원 대학병원, 종합병원 산부인과 지, , 방공사 의료원

연구 주제의 특징

대상은 개원 후 안정된 중규모 이상의 병원을 주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대상의 건축적 특 성을 분석한 연구가 많이 나타남.

또한 조사 당시 운영되고 있는 병원과 개원 예정 병원을 비교분석하거나 외국의 사례와 비교분석하는 연구도 나타남.

연 구 방 법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시설현황을 파악하고 도면 분석을 통해 조사대상을 방문하여 현황

파악 및 문헌조사 내용을 실측조사 및 검증 인터뷰를 통하여 실태조사 및 만족도 조사,

관 련 내 용경제 사회 문화의 변화 의료기기와 의학의 발달· · , ,

년 월 전국민 의료보험 실시 년 월 의약분업 등

1989 7 , 2000 7

(31)

대상으로 부문별 면적과 구성 비율을 조사 분석하였는데 병원전체의 면적인 1병상당 일반 적으로 45~55㎡였고 병동부는 25.4~40%, 외래부는10~20%, 중앙진료부는15~25%, 공급 부는15~25%, 관리부는10~15%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문창호15)는 개원 후 3~4년 이상 경과하여 성장과 변화가 이루어져 공간구성상 평행을 이루고 있다고 판단되는 병원을 선정하여 부문별 면적 구성 비율 각 부서의 면적 구성 비/ , / 율 부문별 병상당 면적을 비교분석하였는데 병원전체의 병상당 순면적은, 25~35㎡의 범 위이고 각 부문 및 부서의 순면적비율과 G/N비를 제시하였고 병원 전체의 G/N비는 의 범위로 나타났다고 하였고 실제업무에 사용할 때는 병원의 규모 건물의 모

1.20~1.22 ,

듈 평면 유형 건물형태 등의 제반요인들을 전제해야 한다고 하였다, , .

오진수16)는 광주에 위치한 입원환자 20인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병원으로서 개인이 독립적으로 개업 운영하고 있는 의료시설을 조사 분석한 결과 20병상으로 시작하여 증개축 을 통해 35~40병상으로 증가하였고 병동부문은 병상당 면적이 9.0㎡→15.7㎡로 증가하였 고 전체면적의 39.2%를 차지한다고 하였다 외래부문은 병상당. 1.5㎡→3.3㎡로 발전하였고 전체면적의 8.2%를 점유하며 중앙진료부문은, 2.0㎡→7.2㎡로 확대되었으며 전체17.9%를 차지한다고 하였다 공급부문은. 0.9㎡→1.5㎡로 증가되었고 전체 3.8% 차지하고 있으며 공 용부문은 병상당 6.5㎡로 전체면적의16.2% 차지한다고 하였다.

김선국17)은 1990년대 개원한 7개 병원과 준공예정인 2개의 병원을 조사 분석한 결과 병원건축을 계획할 때 적정 병상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조사대상 병원의, 평면 형태는 병동부문에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오염된 물품 등의 적정, 보관장소를 계획시 고려해야한다고 하였다 분산형 화장실 설치로 병실의 질적향상을 도모. 하고자 하였으며 중정 및 광정 담화실의 도입 등 병동구성상 쾌적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두, 드러졌다고 하였다.

이성환18)은 서울 시내에 위치하는 개원 후 비교적 안정화 단계에 있는 종합병원으로 연 보 발행시 거주 지역별 환자분포현황을 기록한 병원을 조사한 결과 각 병원의 성격과 특성 에 따라 이용환자의 거주지 분포는 다르게 나타났고 서울을 제외한 전국 환자의 비율은 정도 나타났다고 하였고 각 구의 인구밀도와 유사하며 의료보험 실시 전후가 거의

30~40% ,

15) 문창호 이광노 병원건축의 면적배분에 관한 연구, , , 1987,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권 호3 1

16) 오진수 병원건축의 면적구성에 관한 연구 광주지역 개인병원의 면적조사를 중심으로, - -, 1988,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김선국 김광문 종합병원 병동의 평면유형 및 면적구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대, , , 회논문집 제, 14권 호2 , 1994

18) 이성환 김길채 김광문 종합병원 규모산정을 위한 진료권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병원건축학회지 제 권, , , , 1 제 호2 , 1996

(32)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지방 환자의 비율은 실시 후 높아졌다고 하였다.

각 병원의 진료권은 일반적으로 병원이 위치하는 곳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으나 심도 의 측면에서 상이한 현상을 보이는 것은 각 병원의 성격 특성 운영방침에 따른 것으로 보, 인다고 하였다.

이정만19)은 아산재단 서울중앙병원 2000과 삼성의료원 강남병원을 조사 분석한 결과 병실의 면적이 병동면적에 대하여 46.82%, 37.90%로 나타났고 입원환자들의 보호자들을 위한 환자보호자 공간과 입원환자 상호교류와 휴식을 위한 환자공용공간은 낮은 비율을 보 인다고 하였다 외래 및 응급부문 면적은 전체 환자 공간의. 45.11%, 50.03%로 나타나고 외래홀은 15.75%, 14.71%로 나타났다고 하였으며, 후생시설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으 며 3.32%, 1.25%의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다중공용공간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하였 다.

백영권20)은 안산소재 100병상 이상의 병원 2곳을 조사 분석한 결과 안산시 의료 현황 은 전국 평균 서울 경기도내 인접도시의 절반 수준으로 열악하고 의료시설 등급별 분포로, , 볼 때 종합병원은 매우 낮은 반면 의원의 비율은 높아 전문화와 특성화가 요구된다고 하였 고 시중심의 인구 밀도 밀집 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고 신개발지역의 의료시설이 취약하, 다고 하였다.

조사대상병원의 병동평면형식은 중복도형이고 전체구성형식은 수직형 수직분리형 집중, , 형의 특성을 보이고 동선은 다양한 형태가 보인다고 하였으며 부문별 면적은 병동부 중앙>

진료부 외래부 서비스부 관리부 순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 > .

양내원21)은 1990년 이후에 건립된 10개의 종합병원을 조사한 결과 환자생활에 직접적 으로 연관된 최소한의 규정이 전혀 없어 병원의 질적인 차이를 규제할 수 있는 방법이 마 련되어 있지 않고 우리나라는 일본의 법규를 오랫동안 도입했으나 최소기준으로써 전혀 현, 실성이 없어 조사 및 간호 관계 제실의 명확한 기능분석을 통한 최소기준을 제안하는 연구 가 이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박재승22)은 안산시 소재 3개 병원을 대상으로 안산시의 의료현황을 파악하고 병원의

19) 이정만 최아현 대형 민간병원의 사례분석에 의한 사용자별 면적배분 현황에 대한 연구 한국 병원건축 학, , , 회지 제 권 제 호1 2 , 1996

20) 백영권 안산시 종합병원의 공간구성 및 면적배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석사학위논문, , , 1998

21) 양내원 권오영 우리나라 종합병원 병동부의 최소기준 설정을 위한 건축 계획적 연구, , , 1998, 한국 의료 시 설 복지 학회지 권 호4 7

22) 박재승 백영권 안산시 소재 종합병원의 공간구성 및 면적배분에 관한 연구, , , 1998, 한국 의료 복지 시설 학회지 권 호4 6

(33)

공간구성과 부문별 면적배분을 분석하여 타지역 병원과의 비교분석한 결과 안산시의 병상 수의 비율이 전국대비 낮으며 의원의 비율은 높아 전문화된 종합병원급의 의료기관이 충당 되어야 한다고 하였고 지역별 안배가 불균등하므로 응급의료서비스를 갖춘 산재전문병원의, 설립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권오영23)은 1990년 이후에 건립된 10개의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시설 현황을 파악한 결과 병동부 각 부분의 차이에 의해 환자들의 불평등한 조건에서 치료를 받고 있으며, 2~3 인실은 침대이동 등의 기능상 문제도 가지고 있었다고 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최소기준이. 최대수용인원 병실의 부속실 병상의 배치 간격에 대한 기준이 없어 불합리한 것으로 보, , , 이고 위생시설도 병원의 특성을 고려한 기준없이 일반 공공시설의 기준을 적용하고 있어, 불합리하다고 하였으며 병실의 가구나 창 환자의 휴식공간의 기준도 없다고 하였다, .

양기영24)은 종합병원 중 3차 진료기관과 500병상 이상 규모의 병원 중 1990년대에 설 계되거나 준공 또는 준공예정인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병동부문은 재원일수 감 소 단기 환자와 중환자의 양극화 단기병동의 수요증가 중환자부의 세분화등의 변화가 나, , , 타났다고 하였고 외래부문은 내원환자의 감소로 인해 면적 비율이 감소하였으며 중앙진료, 부는 첨단의료장비도입으로 면적이 증가하였고 방사선부의 의료 수요 증가 수술부의 기준, 이 강화 방문자 휴게시설과 근무자 전용실 등이 증가되었으며 근조부의 별동화와 고급화가, 나타났다고 하였다.

김광호25)는 전국 205개 종합병원급 의료관계시설을 대상으로 대한병원협회에서 발표한 통계자료에 의한 병상수 증가 분석과 의료시설 시도별 분포 및 병상당 인력분석 공간유형, , 화 및 기능 분석 선행연구를 통한 국내외 면적배분을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진료부내 방사, 선부가 재편되어 영상진단부 추가 되면서 필름보관실과 의무기록실 축소되었고 재원일수, 감소로 병동부 면적은 감소하였으며 단기병동은 증가했다고 하였고 업무환경지원 교육연, , 구시설확충 영안실의 고급화 별동화 기계부문의 면적비율증가 되었다고 하였다, , , .

박준수26)는 전주시 소재 종합병원과 의원을 제외한 병상수 100병상 전후의 중소규모 병원을 대상으로 변경 전후의 각 부문별 총면적을 비교분석하여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 분석한 결과 병상당 총면적이 종합병원보다 낮은 것은 적정 병상수에 대한 고려없이 이루 23) 권오영 우리나라 종합병원 병동부의 최소기준 설정을 위한 건축 계획적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

석사학위논문, 1999

24) 양기영 김광호 문찬영 임성재 이경회 국내 종합병원의 공간구성과 면적배분에 관한 연구, , , , , , 1999, 대한건 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9권 호1

25) 김광호 문찬영 배정익 임성재 이경회 국내 종합병원의 연대별 면적 배분 변동에 관한 연구, , , , , , 1999,대한 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9권 호1

26) 박준수 서기영 중소규모 병원의 면적배분에 관한 연구, , , 1999, 대한건축학회 논문집15권 호4

참조

관련 문서

홍윤(2000)은 집중호우는 시․공간적으로 집중성이 강한 중규모 기상현상으로써 태풍이나 열대 저기압,중위도 저기압 및 불안정과 관련된 중규모 대류계에 의해

여름철 집중호우를 야기하는 대표적인 형태는 중규모 대류계(Mesoscale Convective Systems, MCSs)이다... 하층제트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축구화에 숨은 과학 원리를 이해하고, 우리 실생활 속 많은 경우에 과학 기술이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축구를 비롯한 스포

‘내지’의 근대도시화와 함께 발현된 새로운 유흥문화로서의 ‘카페’라는 존재 가 재조일본인 사회에 투입되면서 경성의 카페가 세련된 신문명의 이미지 와 더불어

특히,본 시스템은 국내에서 최초의 단상 중규모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설치 운전된 시스템으로 배전계통과 원거리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시 뮬레이션에서 확인한바와

As a result, the number of vasopressin and oxytocin-containing neurons was decreased in the paraventricular and supraoptic nucleus in chronic alcohol group..

특히 최근 생활권 산사태 피해가 급증함에 따라 인명피해 발생의 위험까지 생겼 다. 이런 산사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효율적인 방법 은 바로

중국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은 한국의 경제에 긍정적인 효과에 가져올 수 있다.. 반대로 중국의 대한국 직접투자 비중은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다. 특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