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I. 연구방법

3. 변수의 정의

가. 당뇨병 및 공복혈당장애

종속변수는 당뇨병 및 공복혈당장애 유병률이다. 당뇨병 및 공복혈당장 애는 앞에서 언급된 미국당뇨병학회 진단기준인 <표3>를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표4>에 정의하였다.

<표4> 본 연구에서 당뇨병 및 공복혈당장애의 정의

본 연구에서는 제1형 및 제 2형 당뇨병을 구분할 수 없었으나 소아 당 뇨병이 주로 제 1형 당뇨병인 점을 고려하여 20세 이전에 당뇨병에 유병률 된 자는 연구대상자에서 제외하였다.

나. 사회계층

독립변수는 사회계층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계층'을 건강의 불평등과

관련되어 사회경제적 특성을 달리하는 인구집단이라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회계층은 직업계층, 소득계층, 교육계층, 결혼계층으로 분류 하였다.

(1) 직업계층

김영모의 사회계층분류 중 직업범주를 일부 수정하여 분류하였다. 또한 학생 및 재수생, 군인, 무급가족종사자는 연구대상자에서 제외 되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주부를 포함하였다. 주부를 직업계층으로 구분하는 데 는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여성인구 중에서 주부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며 당뇨병의 유병률은 성별에 따라 유병률의 차이 가 있으므로 임의로 제거할 수 없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켰다. 본 연구의 직 업계층은 다음과 같다.

- 전문 행정 관리직 - 사무직

- 판매서비스직 - 기능단순노무직

- 무직[주부 포함(여성만 해당) : 집안일, 가사]

- 농어업

(2) 소득계층

본 연구에서는 가구원수 보정 월 가구 소득을 정진호 등(2002)이 제시한 월가구 소득을 가구원수의 0.5승으로 나누어 구하였다.

한편, 소득이 최저생계비 이하인 자는 절대빈곤층으로 구분된다. 우리나

라 통계청에서는 2005년 1인 가구 최저생계비를 40만원으로 설정하여 고시 한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가구원수 보정 월 가구 소득은 40만원을 기준 으로 다음과 같이 소득계층을 분류하였다.

- 빈곤층 : 가구원수를 보정한 월 가구 평균소득이 40만원 이하 - 비빈곤층 : 가구원수를 보정한 월 가구 평균소득이 40만원 초과

(3) 교육계층

본 연구에서 교육수준은 최종 학력을 기준으로 초등학교졸업 이하, 중학 교졸업 이상[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전문대포함) 이상 포함]으로 구분하 였다. 이때 중학교 수료, 중퇴, 재학, 휴학은 전학력으로 분류하였다.

- 초등학교졸업 이하

: 무학, 초등학교 수료, 초등학교 중퇴, 초등학교 졸업, 중학교 수료, 중퇴, 재학, 휴학

- 중학교졸업 이상

: 중학교 졸업, 고등학교 중퇴, 수료 및 졸업, 대학교 재학, 휴학, 자퇴 및 수료,

대학교(전문대 포함) 졸업, 대학원 중퇴, 재학, 휴학 및 수료

(4) 결혼계층

결혼계층은 인구사회학적 변수로써 분류되기도 하나, 본 연구에서는 배 우자의 유무에 따라 빈곤을 측정한 연구에서(Mary, 1987)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배우자가 없는 경우보다 더 가난하지 않았다. Henk 등(2005) 여성 당뇨병환자의 체중감소에 대해 배우자의 중재가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이

에 본 연구에서 결혼계층은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 유배우 : 결혼을 하였고 배우자와 동거하고 있는 상태

- 무배우 : 미혼, 사별, 이혼, 결혼하였으나 별거하고 있는 상태

다. 인구학적 및 질병력적 특성과 건강행위적 특성

혼란변수는 선행연구에서 당뇨병 및 공복혈당장애 유병률과 유의한 관 련성이 보고된 요인들 중에서 인구학적 특성(성별, 연령), 질병력적 특성(당 뇨병의 가족력, 동반질환)과 건강행위적 특성(당질섭취, 흡연, 음주, 운동, 수면시간, 복부비만)으로 분류하였다.

인구학적 특성중 성별은 남자와 여자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회경 제적 요인의 효과가 뚜렷이 나타나는 장년층인 30~64세를 기준으로 연령은 30~39세, 40~49세, 50~59세, 60~64세로 범주화하였다. 질병력적 특성으로 당 뇨병의 가족력은 1촌(부모, 형제, 자매의 관계)을 기준으로 가족력 유무로 분류하였으며 동반질환은 미국당뇨병학회와 대한당뇨병학회 위험인자 기준 을 참고하여 고혈압, 심장질환(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고지혈증을 동반 질환으로 분류하였다.

건강행위 중 당질섭취는 ASPEN guideline과 관련문헌을 참고하여 성인 에게 권장되는 일일 당질공급량을 체중당 5g을 기준으로 5g/kg/day미만과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흡연여부는 현재흡연과 비현재흡연으로 구분하였다.

비현재흡연은 과거흡연과 비흡연을 포함한다. 음주여부는 AUDIT 14점을 기준으로 일반음주자(AUDIT 14점 미만)와 문제음주자(AUDIT 14점 이상) 로 분류하였다. 운동여부는 미국당뇨병학회에서 제 2형 당뇨병관리를 위해 주당 700~2000kcal의 에너지를 소비가 되기 위해 주당 3~5일, 1일 20~60분

의 최대 심박수의 55~79% 정도 강도의 유산소 운동을 권고하는 바, 중등도 신체활동 일수가 주 5회 이상, 1회 30분 이상 운동하는 경우로 구분하였다.

즉, 주당 150분 이상 운동하는 경우와 주당 150분 미만으로 운동하는 경우 이다. 수면시간은 1일 7~8시간 수면시간은 정상으로, 수면시간 1일 6시간 이하와 9시간 이상은 비정상으로 구분하였다. 복부비만은 International Obesity Task-Force (IOTF)에서 제시한 복부비만을 기준으로 복부비만과 정상으로 구분하였으며 남자와 여자의 복부비만 진단 기준은 성별에 따라 다르다. 남자의 경우 허리둘레가 90cm 이상이면 복부비만이고 90cm 미만 이면 정상이다. 여자의 경우 허리둘레가 80cm 이상이면 복부비만이고 80cm 미만이면 정상이다.

일일 당질공급량의 기준

ASPEN guideline에 따르면 성인에게 요구되는 일일 열량은 20~35kcal/kg이다. 건강한 성인에서 일일 요구량 중 당질에 의한 열량공급 의 적정 비율은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45~55%를 권장하고 있다 (Contemporary Nutrition Support practice 2nd edit. part III).

이를 참고하여 1일 공급열량 35kcal/kg중 당질에 의한 열량공급 비중을 중위값인 50%를 기준으로 산출하면 당질에 의한 열량공급은 17.5kcal/kg/day이며 이를 당질의 양으로 환산하면 약 5g/kg/day이다 (당질 1g=3.4kcal).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당질섭취 5g/kg/day이상인 경우와 5g/kg/day미만인 경우로 구분하였다.

일반음주자와 문제음주자 이상 분류 기준

일반음주자와 문제음주자 이상을 분류한 기준은 AUDIT 점수에 따라 분류하였다. AUDIT은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의 약자로 서 문제음주자를 분류하는 측정도구이며 6개국 공동 연구를 통해 세계보건 기구가 개발한 설문 도구이다. AUDIT은 음주의 양, 음주 행태, 음주를 통 한 정신 사회학적내용으로 구성된다. AUDIT은 심각한 알코올 의존의 증상 유무를 가려내는 것보다는 초기의 위험성 있는 음주를 선별하는 것이 목적 이다(Saunders, 1993). 김종성 등(1999)은 문제음주(정신 사회학적 문제가 없는 신체적 문제 음주, 알코올 남용, 알코올 의존)를 선별기준으로 AUDIT 점수 12점 이상, 13점 이상, 14점 이상을 제시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김종성 등(1999)의 연구에서 문제음주자를 선별하는데 민감도와 특이도 가 가장 높았던 14점을 기준으로 하여 일반음주자와 문제음주자로 분류하 였다. Audit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 내용은 <표5>과 같다.

문항 점수

구분 변수 내용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