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역 내 성 간 차이도 커 산동성과 하남성의 ha당 단수는 안휘성보다 연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생산량 13,019 13,010 13,063 13,115 13,168 13,191 13,226 13,238 13,251 13,265 13,279 수입량 275 274 238 220 201 214 213 251 283 276 254 소비량 11,966 12,027 12,187 12,348 12,494 12,630 12,752 12,880 13,011 13,141 13,263 -식용 8,510 8,536 8,578 8,622 8,658 8,690 8,711 8,739 8,767 8,795 8,816 -사료용 1,100 1,069 1,116 1,163 1,207 1,249 1,291 1,335 1,384 1,435 1,488 -가공용 1,376 1,444 1,515 1,584 1,650 1,713 1,773 1,829 1,885 1,937 1,986 -종자용 459 459 458 458 457 457 457 456 456 455 455 -손실 521 519 520 521 521 521 521 520 519 519 518

수출량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연말재고 1,307 1,237 1,094 967 855 755 667 589 503 379 250 자료: 農業部市場預警專家委員會(2016). 󰡔中國農業展望報告(2016~2025)󰡕. p.197. <표 2> 인용.

○ 생산량은 증가하지만 증가폭은 점차 작아질 전망.

에 각각 8,536만 톤, 8,690만 톤, 8,816만 톤으로 연평균 0.4% 증가

- 2016년, 2020년, 2025년 밀의 가공용 소비량은 각각 1,444만 톤,

로 호주, 캐나다, 미국에서 수입할 것으로 예상됨. 일대일로(一带一

○ 향후 밀 가격은 가격지지정책이 약화됨에 따라 변동이 심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3.2. 주요 문제 및 불확실성 요인

품종 구조의 조정

○ 2010년 밀산업 정책변화 이후 주로 빵과 케잌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강력분과 박력분 품종은 생산량이 중력분 품종보다 적고 농업부에서 도 보급에 적극적이지 않았으며 품질과 가격도 낮아 농민들이 재배를 기피하였음.

○ 지난 10년 동안 중강력분과 중력분 품종의 비중은 23%에서 48%로 증 가한 반면, 강력분 품종은 12%에서 2%로 감소하여 고품질 밀의 수입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음. 향후 국내 밀가루 소비구조 변화에 상응하여 고품질 밀의 생산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식량 정책의 변화

○ 최근 들어 밀을 포함한 식량의 국내시장가격이 국제시장가격을 상회 하여 수입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식량관리정책의 개선이 추진되고 있음.

- 2014년부터 주요 농산물의 가격지지정책, 보조정책, 수매비축정책 등을 개선하기 시작함. 신강자치구, 동북3성 및 내몽고자치구 동부 지역에서 면화와 대두 품목의 목표가격제도를 실시함. 2015년에는 동부지역에서 옥수수 임시수매정책 개혁을 실시함.

○ 장기적으로 중국의 식량시장은 정부의 직접적인 간섭이 감소하여 더 욱 시장화가 진전되고, 시장 주체도 다원화될 것으로 전망됨.

자연 재해와 기후 변화의 영향

○ 밀은 생장주기가 상대적으로 길어 생산량은 자연 재해와 기후 변화에 큰 영향을 받음.

- ‘중국수한재해공보(中国水旱灾害公报)'에 따르면 2000~2013년 동 안 전국적으로 가뭄피해면적이 연평균 2,150만 ha, 가뭄으로 인한 식량손실량이 연평균 3,010만 톤에 달함.

- 최근 들어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기온 상승이 보편적인 추세로 나 타나고 있으며 북부지역이 뚜렷함. 특히 화북지역은 지난 20년 동 안 8년에 걸쳐 가뭄피해가 발생하였음.

- 기후변화로 병충해 발생이 빈번해져 1980년대와 비교하여 밀 녹병 월하구(越夏区)의 해발이 100m 이상 상승하였고, 발생 시간도 6개 월 정도 빨라졌음. 본래 남부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던 붉은곰팡이병 과 백반병도 북부지역에서 흔히 발생하고 있음.

-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후변화는 작물의 생육기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기온이 1℃ 상승할 때마다 벼는 7~8일, 겨울밀은 17일 생육 기간이 짧아짐.

○ 향후 10년 동안 전 세계적인 기후온난화 현상이 밀 생산의 안정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됨.

문서에서 중국 농업 전망 (2016-2025) (페이지 24-3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