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미술교과 흥미도 및 미술수업 중점목표 분석

현재 고등학교 1학년들은 제7차 교육과정이 시작되는 학년으로 모든 면에서 중학교에 비하여 변화가 많다. 교과별 교실로의 이동 수업, 수준별 수업(국, 영, 수 교과), 교과 재량 활동, 창의적 재량 활동 등 새로운 용어와 학습법이 진행되고 있 는 시점에서, 제주도내 고등학생들의 미술교과에 대한 흥미도는 어느 정도인지 살 펴보면 <표 10>과 같다.

<표 10> 미술시간에 대한 흥미도(학생) n=490 구 분

문 항

성 별 학교별 현황 소재지별 현황

남 여 일반계 실업계 시지역 읍‧면지역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매우 즐거움 36 15.13 21 8.33 42 13.21 15 8.72 38 12.26 19 10.56 즐거움 84 35.30 64 25.40 102 32.08 46 26.74 91 29.35 57 31.60 보통 82 34.45 115 45.63 125 39.31 72 41.86 129 41.61 68 37.78 즐겁지 않음 19 7.98 33 13.10 32 10.05 20 11.63 34 10.97 18 10.00 관심 없음 17 7.14 19 7.54 17 5.35 19 11.05 18 5.81 18 10.00 합 계 238 100 252 100 318 100 172 100 310 100 180 100 위 표에서 보면, 전체적으로 긍정적(매우 즐거움, 즐거움)인 반응이 40. 71%로 부

정적(즐겁지 않음, 관심 없음)인 반응을 보인 학생(18.44%)에 비하여 훨씬 많았다.

성별로는 남학생 50.43%가 긍정적인데 비해 여학생은 28.70%로 낮았고, 학교별 로는 일반계 학생들(45.89%)이 실업계 학생들(35.46%)보다 긍정적이었고, 소재지 별로는 시지역과 읍․면 지역이 거의 유사했다.

<표 11> 미술시간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교사) n=21 구 분

문 항

학교별 현황 소재지별 현황

일반계 실업계 시지역 읍‧면지역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매우 흥미 있음 2 15.38 0 0 1 7.69 1 12.50

조금 흥미 있음 7 53.85 4 50.00 6 46.16 2 25.00

보통 3 23.08 3 37.50 5 38.46 4 50.00

별로 관심 없음 1 7.69 1 12.50 1 7.69 1 12.50

합 계 13 100 8 100 13 100 8 100

그리고 교사들이 생각하고 있는 미술시간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는 일반계 학교 교사(69.23%), 실업계 학교 교사(50.00%)의 긍정적(매우 즐거움, 즐거움) 반응이 학생들의 반응과 비례하여 나타났다. 그리고 소재지 별로는 시지역 학교 교사들의 반응이 높았다.

미술교과는 흥미도를 높이는 요인과 저해하는 요인이 있는데 흥미도에서 부정 적 반응을 보였던 학생들의 반응과 교사들이 생각하는 요인은 <표 12>, <표 13>

과 같고 미술시간이 즐거운 이유를 살펴본 것은 <표 14>와 같다.

<표 12> 미술수업 흥미 저해 요인(교사) n=21 구 분

문 항

학교별 현황 소재지별 현황

일반계 실업계 시지역 읍‧면지역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재료준비가 복잡함 3 23.08 4 50.00 3 23.08 2 25.00 그림을 잘 그리지 못함 9 69.23 1 12.50 7 53.85 4 50.00

미술실이 없음 0 0 2 25.00 1 7.69 1 12.50

경제적 부담이 많음 0 0 1 12.50 1 7.69 0 0

기타 1 7.69 0 0 1 7.69 1 12.50

합 계 13 100 8 100 13 100 8 100

교사들의 시각에서 보면, 소재지별로는 모두 ‘그림을 잘 그리지 못함’으로 인하여 흥미도가 떨어지는데 비해, 학교별로 보면 실업계에서는 ‘재료준비가 복잡 함’(50.00%)이 ‘그림을 잘 그리지 못함’(12.50%)보다 훨씬 높은데 비해 일반계에서

는 ‘그림을 잘 그리지 못함’(69.23%)이 ‘재료준비가 복잡함’(23.08%)이 보다 매우

수 교과의 대학진학을 위한 교과 위주로 이루어지는 데에 대한 응답이라 여겨진 다.

그리고 <표 15>에서와 같이 교사들의 수업운영방법에서는, 학교별이나 소재지 별로 별 차이 없이 ‘표현중심인 실기 위주’로 수업을 진행함으로 인하여 <표 13>

에서 확인이 되었듯이 학생들이 미술수업에 대하여 흥미를 잃게 되는 가장 큰 요 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5> 수업운영의 방법(교사) n=21 구 분

문 항

학교별 현황 소재지별 현황

일반계 실업계 시지역 읍‧면지역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표현중심(실기) 7 53.85 5 62.50 8 61.54 4 50.00 실기 이론 중심 6 46.15 3 37.50 5 38.46 4 50.00

합 계 13 100 8 100 13 100 8 100

<표 16> 학생들이 좋아하는 단원(2개 영역) n=490 구 분

문 항

성 별 학교별 현황 소재지별 현황

남 여 일반계 실업계 시지역 읍‧면지역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회화 27 11.34 28 11.11 41 12.89 14 8.14 46 14.83 9 5.00 조소 22 9.24 7 2.78 21 6.60 8 4.65 14 4.52 15 8.33 디자인 96 40.34 122 48.41 127 39.94 91 52.91 136 43.87 82 45.56 공예 24 10.08 47 18.65 48 15.09 23 13.37 46 14.84 25 13.89 서예 4 1.68 10 3.97 10 3.15 4 2.33 10 3.23 4 2.22 감상 65 27.32 38 15.08 71 22.33 32 18.60 58 18.71 45 25.00 합 계 238 100 252 100 318 100 172 100 310 100 180 100

<표 16>에서 학생들은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단원으로, 전체적으로 ‘디자인 영 역’을 1순위로, 2순위는 ‘감상영역’, 3순위로는 ‘회화영역’으로 반응을 보인 반면,

<표 17>에서 보면 교사들이 연간 진행하는 수업은 ‘전 영역’을 고루 진행하고 있 으며, 그 다음 비중이 ‘회화영역’, ‘디자인과 감상영역’ 순으로 진행하고 있어 교사 들이 비중 있게 다루는 영역과 학생들이 선호하는 단원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17> 비중 있게 다루는 단원(2개 영역, 교사) n=42

있고 수업 내용 면에서는 ‘학생들의 흥미와 욕구에 맞게’ 수업을 진행하고 있음도 알 수 있다.

이는 다양한 미술 활동을 통하여 주변 세계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향유할 수 있 는 심미적 태도와 상상력, 창의력, 비판적 사고력을 길러주며, 미술문화를 이해하 고 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인적 인간을 육성한다는 제7차 교육과 정의 교육목표에도 부합된다고 하겠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