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미국은 초기에 국가기본도 정보의 정확도에 대한 수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회 계국을 중심으로 「국가기본도정확도표준(National Map Accuracy Standards)」을 제 정하였다. 다음으로 이것을 수치공간자료의 정확도에 적용하기 위하여 「대축척 지도의 정확도 표준(Accuracy Standards for Large Scale Maps)」을 제시하였다. 마 지막으로 그 뒤를 이어 연방지리정보위원회(FGDC, Federal Geographic Data Committee)에서는 데이터의 품질, 평가, 정확도 관련 표준문서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이용표준 내에 NSSDA(National Standards for Spatial Data Accuracy)을 제 정하였다. NSSDA는 지리공간정보의 위치정확도를 분석하고 검증방법을 제시 하고 있다.

공간데이터교환표준(SDTS, Spatial Data Transfer Standards)은 데이터의 품질요 소를 연계성, 위치정확성, 속성정확성, 논리적 일관성, 완결성 등으로 정하고 각 각에 대한 표준을 정하고 있다.

이 외에도 데이터의 정확도 관련 요소와 다양한 위치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ISO 표준 15046-13(지리정보) 품질규정을 이용하고 있다. 이 표준에서는 최종 성 과물의 사양에 따라 지리정보의 표현 정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표 3-11>은 미국 USGS의 DLG(Digital Line Graphs)의 자료명세서 정확도 관 련 항목을 나타낸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확도 관련 항목으로 이력정보, 위치정확도, 속성정확도, 모서리정합, 품질관리기호 및 완성도 등을 활용하는 것 을 알 수 있다.

<표 3-11> 미국 USGS의 DLG의 자료명세서 정확도 관련 항목

이력정보

(Lineage) 원자료, 자료수집방법, 자료처리단계, 기준체계, 자료해상도, 좌표체계 위치정확도 위치상의 정확도 비교

속성정확도 정확한 속성정보의 적용 여부

모서리정합 인접한 도엽들과의 경계선 상의 위치와 속성정보 비교 품질관리기호 모서리 정합에 관한 정보

완성도 지리정보의 완성도

NSSDA는 위치정확도를 산정하기 위해 통계학적 이론을 활용하고 있다.

NSSDA의 산정식을 살펴보면, 먼저 수평위치정확도 산정식은 “2.447×SQRT[Σ(x

- χ ̄)2/(n-1)]”이고, 다음으로 수직위치정확도 산정식은 “1.96× SQRT[Σ(x-

χ

 ̄)2/(n-1)]”이다. 또한 위치정확도를 표현할 때 95∼99% 신뢰구간의 RMSE로 표 현하고 있다. NSSDA는 위치정확도 뿐만 아니라, 다른 정확도 관련 항목의 산정 식 및 표현방법에 있어서도 통계학적 이론을 활용하고 있으며, 가능한 주관적 판 단을 배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표 3-12>는 NSSDA의 대축척 및 중축척의 위치정확도 평가기준을 나타낸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확도를 CLASS A-1에서 CLASS C-2까지 6단계로 구분 한 후, 각 단계별로 수평 및 수직 위치정확도의 기준을 상이하게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활용목적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정확도를 보유한 지리정보를 취 사‧선택할 수 있으며, 각 단계별 구입비용은 상이하다.

<표 3-13>은 <표 3-12>의 기준 중 최상위 수준인 CLASS A-1의 수평위치정 확도의 허용 거리를 축척별로 나타낸 것이다.

<표 3-12> 미국 NSSDA의 대축척 및 중축척 위치정확도 평가기준

USGS(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의 위치오차 규정은 10% 미만의 오차를 허용하며, 오차의 크기는 1/30 inch 이하이다. 지질조사측량국은 통상적으로 1년 마다 수치지도를 갱신한다. 이때 표준갱신의 경우에는 모든 지형정보에 대한 전 반적인 갱신을 수행하고, 현장조사도 수행한다. 부분갱신의 경우에는 변화요인 에 대한 부분적 갱신만을 수행하고, 현장조사는 수행하지 않는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