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물류역량의 개념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3-66)

두 번째 특징은 생커코리아, DHL, PANALPINA K&N, 지오디스윌슨코리아 디 에스브이에어앤씨 등 다국적 제3자 물류업체(3PL)전체 30개 상위 업체 중 10위권 에 포진을 하고 있어 국내에서 제2자 물류업체(2PL)를 제외하고 큰 영향력을 가 지는 것으로 확인이 된다.

셋째로 한국에서는 물류시장이 개방이 되어 있어 시장에서 자유경쟁으로 치열하 게 시장의 조건이 되어 있다. 특히 물류 산업은 진입장벽이 다른 산업보다 낮아 많 은 수의 업체가 난립하여 가격 경쟁이 치열해 소비자 중심을 시장으로 구별된다.

제3절 제3자 물류업체(3PL)의 물류역량

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이 되어야 하겠다. 현재 물류역량과 관련해서는 물류 아웃소싱 실태, 아웃소싱 선택의 결정요인과 물류역량과 성과간의 인과 관계에 대 한 연구에 활발히 진행을 하고 있다.

다만 물류역량의 요인의 분석과 요인들에 의한 고객 만족도나 충성도의 상관관 계에 대한 실증 분석은 지속적으로 연구가 되어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이 연구는 선진화되기 위한 물류산업으로서는 중요한 단계로 고객과 물류 서비스 제공업자간 의 명확한 입장을 이행함으로 서비스 이용자인 고객은 물류의 저비용으로 효율화 를 이룰 수 있고 물류 서비스 제공업체는 고객의 요구를 심도있게 확인을 하고 영 업 전략을 만들 수 있어 효율적인 준비를 할 수 있고 이에 설정한 목표를 성취하 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류서비스는 고객의 필요에 기반을 하고 있다. 제3자 물류업체(3PL) 입장에서 는 고객의 필요를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물류 업무 제공 능력이 물류역량으로 볼 수 있다. 결국 고객 기업이 외부 물류 전문기업의 물류역량을 이 용하려는 추세가 증대될수록 고객 기업의 필요를 효율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제 3자 물류업체(3PL)들이 성공적인 물류 역무를 관리 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성공적으로 물류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 제3자 물류업체(3PL)가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물류 시설(창고와 운송차량 등)과 연관된 하드웨어(hardware), 운송관리 시스템(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창고관리 시스템(Warehouse Management System) 등의 물류 정보시스템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그리고 물류상 담을 하는 전문 인력과 현장 운영 전문 인력 등의 전문 인력 세 가지 요소를 Saito Minoru, (2005)는 제시하고 있다.

Lambert et al.(1999)의 논문에서는 제3자 물류업체(3PL)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위 해 화주기업과 제3자 물류업체(3PL)간의 동반 관계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상호 협의된 기획과 운영관리, 제한 없는 의사소통, 위험의 공동부담, 물류 서비스에 정확하게 기재된 계약서 등의 요소가 성공적인 계약 관계를 맺고 시행하는데 반드 시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결국 이는 계약자 상호 간에 어떤 방법으로 효율적인 의 사소통을 하느냐가 물류 서비스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물류역량이 된다. 우수한 유통경로, 적합한 연계, 정보공유, 정확한 역할 표기, 기본 규칙의 확정, 서비스 제공 을 중단할 수 있는 자유 등의 물류협정이 Bowersox et al.(1988)에 의하면 성공적인 요인으로 제시하고 있다.

Bagchi & Mitra(2006)의 논문에서는 물류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요인으로 공급체인 통합 운영능력, 산업 또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 전문기술 숙련도, 수행 경험, 자산 투자 경험, IT 시스템 운영, 글로벌 서비스 연결망 등을 제시하였다. 특별히, IT 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대한 투자, 산업 또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 전문기술 숙련도를 물류 전문기업의 중요역량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제3자 물류 전문기업의 물류역량은 고객의 물류 필요를 만족 시킬 수 있는 능력 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3자 물류업 체(3PL)의 물류역량을 “고객의 물류필요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제3 자 물류업체(3PL)가 갖추어야 할 물류서비스 제공능력”이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