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무질서코일(random coil): 수소결합지역이 잘못되거나 결핍됨

문서에서 아미노산과 단백질 (페이지 49-78)

이차구조의 형성

1. α-나선(helix)의 구조: 오른쪽으로 도는 

1. α-나선구조

1. 오른쪽으로 도는 α-나선  시계반대방향

2. 각 펩타이드결합의 -NH, -CO 사이의 수소결합 

안정화(첫 번째 잔기의 아미노프로톤과 네 번째 잔기의 카보닐 산소 사이에서 얻어짐)

3. 한 번 회전에 3.6개 아미노산, 0.54nm 4. 불안정성:

· 비슷한 하전을 띤 R-그룹(Asp. His, Glu, Lys, Arg) 정전기적인 반발

· β-탄소 근처의 잔기들의 큰 치환 때문(Ile, Thr)

· 가지사슬 수소결합이나 이온결합의 형성 때문

그림 2-29. α-나선의 평균크기

2. β-병풍구조

- 잔기 사이의 거리: 0.35nm

- 근처 폴리펩타이드의 사슬의 –NH와 –CO그룹 사이의 수소결합에 의해서 안정화

- 평행과 비평행(실크의 섬유는 비평행의 β-병풍구조)

- 아밀로이도시스(amyloidosis)  주된 구조가 β-병풍구조 - β-파이브릴로시스(β-fibrillosis)  이차구조가 잘못 축적됨 - 아밀로이드(amyloid): 뒤틀린 β-병풍구조의 집합체

- 아밀로이드 퇴적  만성적인 부종, 일종의 암, 뇌의 질병(알츠하이머)

- 실험쥐: 수소결합 붕괴 시약 다이메틸설폭사이드 아밀로이드 감소

그림 2-30.

β-병풍구조의 평행과 비평행한 수소결합의 구조

· 다른 잔기와 펩타이드사슬 간의 상호작용 같은 정리된 계속적인 모양을 갖지 못하는 경우

3. 무질서한 코일

· 폴리펩타이드 사슬이 집약된 분자로 만들어지게 되는 원인(공 또는 타원체 모양의 구형단백질).

· 네 개의 아미노산 잔기  머리핀구조를 형성

4. β-회전

- 이차구조와 삼차구조의 중간구조:

초이차구조 또는 구조의 요소(motif) - 구형단백질:

α-나선과 β-병풍구조의 다양한 비율과 조합 - 초이차구조:

· βαβ요소  두 β-병풍구조 사이에 α-나선이 들어 있음

· β-머리핀구조 β-병풍구조가 역평행으로 진행함으로써 머리핀모양

· αα-요소 두 개의 α-나선이 비스듬히 반대방향으로 진행

· 그리스 열쇠 요소 네 가닥의 β-머리핀이 역평행으로 포개짐

· β-장벽의 요소: 연장된 β-병풍구조가 원통모양 구조 5. 초이차구조의 성분

그림 2-31. 초이차구조의 종류

분자가 스스로 선호하는 낮은 에너지 상태를 탐색한다.

단백질은 일차 아미노산의 순서가 이차 및 삼차구조에 영향을 주게 된다.

1. 폴리펩타이드 사슬간의 견인력과 반발력의 힘의 균형

 포개짐(folding)

2. 아미노산 가지사슬들 간의 견인력:

공유결합, 이온결합, 수소결합, Van der Waals 견인력, 소수성기의 상호작용

3. 반발력: 정전기적인 반발력, Van der Waals 반발력

삼차구조 및 관련 결합력

그림 2-32.

단백질의 삼차구조를 안정화시키는 공유결합 및 여러 가지의 상호 작용

- 공유결합: 펩타이드결합, 이황화결합

배위결합: 두 원자에 의해서 동등하지 않은,

전자쌍의 공여로 만들어지는 화학결합

 전이금속, 유기리간드들 사이에서의 상호작용이 중요.

- 이온결합: 반대 하전을 갖는 두 그룹 사이의 정전기적인 견인력에 의해 일어남.

1. 견인력

- 수소결합:

· 두 개의 전기음성적인 원자들 사이의 수소원자의 공여로 일어남

· 단백질에서 공유할 수 있는 수소원자를 갖는 그룹:

-N-H(펩타이드 질소, 이미다졸 및 인돌), –SH(시스테인), –OH(세린, 트레오닌, 타이로신, 하이드록시프롤린),

-NH2, NH3+(아르지닌, 라이신, 글루타민), -CONH2(카바미노, 아스파라진, 글루타민)

· 수소원자를 공유할 수 있는 그룹:

-COO-(아스파트산, 글루탐산, α-카복실산), -S-CH3(메싸이오닌), -S-S-(이황화 그룹),

=C=O(펩타이드와 에스터 연결)

- Van der Waals 견인력

· 한 분자에서 고정된 쌍극자가 다른 분자의 쌍극자를 유발

· 고정된 쌍극자의 양하전의 끝은 전자그룹을 끌어들이려 하고, 한편 음하전의 끝은 서로 밀어내려고 한다.

· 상호작용의 세기 1/r6

· 비극성 가지사슬들 간의 견인력 - 소수성상호작용:

비극성 가지사슬(방향족 고리, 탄화수소그룹)서로 붙게 되는 원인. π전자는 다른 π전자들과 서로 포개지는 능력이 견인력으로 작용.

- 정전기적인 반발력: 이온성 힘의 반발 - Van der Waals 반발력:

서로 매우 짧은 거리의 원자들 사이에서 작동.

전자구름의 상호반발에 의해서 유도된 쌍극자 때문에 나타난다.

2. 반발력

삼차구조의 결정

- 1950년대 X선 결정구조연구:

- 단백질의 α-나선 β-병풍구조, 핵산 DNA 이중나선의 구조

· 마이오글로빈: 죤 켄드류(John Kendrew)

· 헤모글로빈: 막스 페루츠(Max Perutz)

- X-선 조사  굴절의 모양(무거운 원자-더 진한 색) - 납이나 우라늄 사용, X-선 굴절모양의 비교

- 해상도 6Å  400, 1.4Å  25,000

그림 2-33. 단백질 결정에 X-선을 통과시킨 굴절의 모양

그림 2-34. 마이오글로빈의 X-선 회절의 모양

그림 2-35.

콩 단백질인 콘카나발린 A의 삼차구조 전자밀도 지도

- 근육에서 산소보관, 세포를 통하여 산소를 운반:

153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한 개의 폴리펩타이드사슬과 철을 포함하는 분자인 힘(heme)

- 힘분자의 유기화학 성분인 폴피린: 네 개의 피롤고리 - 여덟 개의 구역의 α-나선, 다섯 개의 비나선구조 구역

존재

- 힘: 분자의 바깥쪽, His F7  힘의 평면 - 가역적인 산소부착  Fe2+ 일 때

- 물 분자 여섯 번째 배위:

· Fe2+  Fe3+(산화)

· 페릭마이오글로빈은 산소결합 불능 1. 마이오글로빈

그림 2-36.

프로토폴피린IX와 철을 포함한 힘(heme) 그룹

그림 2-37. 마이오글로빈의 삼차구조

- 124개의 아미노산, 한 개 폴리펩타이드, 네 개의 이황화결합 - β-머캅토에탄올, 요소, 구아니딘염산염:

효소능력의 상실

- 공기의 노출  설퍼하이드릴그룹의 재산화:

여덟 개의 시스테인잔기가 네 개의 이황화그룹을 만들 수 있는 105가지 다른 분자내부의 이황화그룹을의 형성 가능 - 자발적으로 효소가 생물학적인 활성을 갖도록 재건된다.

유전자코드에 의해서 지정된 라이보뉴클리에이스의 아미노산의 순서는열역학적으로 선호되는 효소의 원래

입체구조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2. 라이보뉴클리에이스

그림 2-38. 라이보뉴클리에이스 A의 일차구조

그림 2-39.

라이보뉴클리에이스 A의 변성 및 재현

- 두 개 이상의 동등한 또는 다른 폴리펩타이드 사슬을 포함하는 기능성 단백질이 갖는 입체구조 - 두 개 이상의 단위체  올리고머(oligmer)

- 여러 단위체 : 촉매활성 조절이 효율적 - 단위체는 비공유성 힘에 의해서 서로 결합 3. 사차구조

단백질의 포개짐

타입 I.

1. 아미노산의 순서에 따라 α-나선과 β-병풍구조의 형성 2. 먼 거리의 상호작용으로 α-나선들이 접근하여

초이차구조의 형성

3. 완전한 단위체로 전체적인 포개짐 타입 II.

1. 폴리펩타이드의 자발적인 붕괴

2. 비극성 잔기의 소수성 상호작용의 조정에 의해 집약된 공모양의 구조를 만들게 됨

3. 용융된 공(molten glubule) 1. 포개짐의 원리

분자샤페론(chaperon):

- 부분적으로 포개졌거나 잘못 포개진 폴리펩타이드와 상호 작용

- 정확한 포개짐의 경로를 선택하거나 포개짐이 일어나도록 미세한 환경을 조절하는 기능

- Hsp70, 분자량 70,000 (heat shock protein)

- 소수성 잔기가 많아서 부적절한 응집을 막는 폴리펩타이드 지역에 결합

- 아직 포개지지 않은 폴리펩타이드를 보호하는 기능

- 세포막을 통하여 이동되기 전까지 포개짐을 억제하는 기능.

- 대장균에서 얻은 DnaK(Hsp70) 과 DnaJ(Hsp40) - 샤페로닌(chaperonin):

대장균에서 GroEL/GroES라 부르는 샤페로닌 체계가 필요

2. 포개짐에 관여하는 효소나 단백질

그림 2-40.

그림 2-41.

단백질 포개짐 과정에서 샤페론의 역할

이성화반응을 촉매하는 두 개의 효소

1. 단백질-이황화-이성화효소(protein disulfide

문서에서 아미노산과 단백질 (페이지 49-7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