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뮬레이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9-63)

4. 시나리오 적용과 시뮬레이션

4.2 시뮬레이션

시뮬레이션의 구간은 제주-내륙 항로 중 가장 많은 해상운송 물동량을 차지 하고 있는 제주-목포항로 한정하였으며, 핵심 변수로는 운영기간, 월별 컨테이 너 입출항 물동량, 성수기와 비수기의 물동량, 컨테이너의 임대료, 유지 및 보 수비, 육상과 해상운송비, 항만에서의 상·하역비용등의 취급비용이다. 접이식 컨테이너의 경우 Fold 및 Unfold비용이 포함된다. 시뮬레이션의 구간인 제주-목포항로의 해상용 컨테이너 입출항 물동량 자료를 기초로 진행하였다.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합계 입항 5,489 4,226 5,277 5,377 5,343 5,429 7,339 6,089 6,065 6,359 5,449 5,679 68,121 출항 15,708 13,012 11,790 8,255 4,513 5,804 6,170 4,184 3,719 7,941 9,873 15,237 106,206 과부족 -10,219 -8,786 -6,513 -2,878 830 -375 1,169 1,905 2,346 -1,582 -4,424 -9,558 -38,085

-15000 -10000 -5000 0 5000 10000 15000 20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입항 출항 물동량차이

표13 2015년 제주-목포항로 컨테이너화물 입출항 실적 통계

단위 : 개

출처:여수지방해양수산청 PORT-MIS 2015년 자료 취합

(표13)와 제주-목포항로의 컨테이너 화물의 입출항실적을 나타낸 표이다. 상 대적으로 입항화물이 많은 제주-내륙간의 전체화물 물동량과는 달리 컨테이너 화물의 물동량은 제주도에서 출항하는 화물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 시기도 10월부터 4월까지 급격한 증가가 이루어 졌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원인으로는 제주지역의 특산물인 무와 감귤출하기가 주된 원인으로 파악 되었 다. (그림.27)은 (표13)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물동량 부족현상을 한눈에 알 수 있다.

단위 : 개

그림.27 2015년 제주-목포항로 컨테이너화물 입출항 실적

시뮬레이션의 실제적인 운영구간은 제주항과 목포항이며, 따라서 컨테이너의 이동은 제주항에서 무와 감귤 성수기를 기준으로 최대 주산지인 제주도 남부의 화주(Shipper)로 이동한 후 상품을 적입한 후 다시 제주항까지 제주도내 내륙 운송과 제주항에서 목포항으로 이동하며 목포항에서는 가락동 농산물 도매시장

화주(컨테이너 소유)

화주(컨테이너 임대) 컨테이너 대여업자

(운송사, 하역업자 등)

납품처 (공 컨테이너 발생) 공 컨테이너 납품운송

적 컨테이너 화물운송

해상화물운송

공 컨테이너 회수운송

적 컨테이너 화물운송

적 컨테이너 화물운송

공 컨테이너 회수운송 해상운송 구간

제주 내륙 운송 구간 내륙운송 구간

목포-가락농산물도매시장

적 컨테이너 화물운송

으로 이동한 후 화물을 하역하며, 하역 후 공 컨테이너는 회수 되어 목포항의 컨테이너 데포로 이동하여 다시 제주항까지 공 컨테이너의 해상운송이 이루어 지게 되는데 이것을 1회전(One cycle)운송이라고 한다. 컨테이너의 1회전의 기 간은 16일로 대략 월 2회전 운송되며 시뮬레이션 기간은 1년으로 24회로 한다.

제주 내륙운송구간, 제주-목포 해상운송구간, 내륙운송구간을 그림으로 나타내 면 (그림.28)과 같다.

그림.28 제주-내륙간의 One Cycle운송 구간

4.2.2제주-목포항로의 시뮬레이션

(표14)에서 제주-목포항로의 2015년 컨테이너의 입출항 물동량을 보면 제주로 의 3만1천5백여 개의 적 컨테이너가 입항되었고, 4만9천여 개의 적 컨테이너가 출항되었음을 알 수 있다. 년 간 부족 컨테이너의 수량은 1만7천여 개의 공 컨 테이너의 부족이 발생하게 된다.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적컨테이너 입항 적컨테이너 출항 예상부족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합계

2,541 1,956 2,443 2,489 2,473 2,513 3,397 2,819 2,808 2,944 2,522 2,629 31,534 7,272 6,024 5,458 3,822 2,089 2,687 2,856 1,937 1,721 3,676 4,571 7,054 49,167 -4,731 -4,068 -3,015 -1,333 384 -174 541 882 1,087 -732 -2,049 -4,425 -17,633 구분

적컨테이너 입항 적컨테이너 출항 예상부족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합계

4,065 3,215 1,454 380 170 30 23 75 730 2,050 4,430 4,756 21,378 공컨테이너 입항

구분

표14 제주-목포항로 제주항 컨테이너 입출항 현황

단위 : 개

(그림.29)에서 알 수 있듯이 10월부터 시작하여 12월과 1월에 공 컨테이너의 부족이 가장 심각하며 4월까지 지속적으로 부족현상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그림.29 제주-목포항로 공 컨테이너 예상 부족

따라서 (표15)에서 볼 수 있듯이 실제적인 공 컨테이너의 이동은 성수기를 대 비하기 위해 10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3월까지 집중 되어 발생하고 있다.

표15 2015년 제주항 공 컨테이너 입항 현황

단위 : 개

Activities \ Percent empty 1. Transport port-shipper 50,000 7.20%

f ull 2. Transport shipper-port 80,000 11.52%

f ull 3. Container ha ndling cost 25,407 3.66%

f ull 4. See transport 150,000 21.60%

f ull 5. Container ha ndling cost 25,407 3.66%

f ull 6. Transport port-consignee 120,000 17.28%

empty 7. Transport consignee-port 100,000 14.40%

empty 8. Depot receipt 1,000 0.14%

empty 9. Depot storage 2,000 0.29%

empty 10. Transport depot–termina l 3,000 0.43%

empty 11. Container handling cost 12,700 1.83%

empty 12. Sea transport 100,000 14.40%

empty 13. Container handling cost 12,700 1.83%

empty 14. Transport terminal-depot 3,000 0.43%

empty 15. Depot receipt 1,000 0.14%

empty 16. Depot storage 2,000 0.29%

E xploita tion costs 6,250 0.90%

Total 694,464 100.00%

sta ndard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