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맺음말

문서에서 (페이지 31-35)

이상 본문에서 광개토왕대 이전 고구려본기 기록의 原典과 그것의 編纂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본문에서 살핀 내용을 요약 정리하는 것으로서 맺음말에 대신하고자 한다

.

󰡔三國史記󰡕 撰者는 󰡔舊三國史󰡕의 기록을 주요 전거 자료로 삼아 광개토왕대 이전 고구려본기 기록을 찬술

80) 동명성왕 즉위년 건국신화에 보이는 보주(一云 — 朱蒙嗣位), 대무신왕 15년 4월과 서천왕 7년 4월 기록에 전하는 보주가 이에 해당한다.

81) 동명성왕 즉위년 건국신화에 보이는 보주(魏書云), 유리명왕 31년, 민중왕 4년 10월, 태조왕 94년 10월 기록의 보주 등을 이와 같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82) 유리명왕 33년 8월, 동천왕 20년 10월 기록의 보주가 이에 해당한다.

83) 태조대왕 59년, 70년, 고국원왕 41년 10월 기록의 보주 등이 이러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84) 태조왕 94년 12월 기록의 보주에서 󰡔삼국사기󰡕 찬자가 󰡔자치통감󰡕의 기록보다 海東古記의 기록을 더 신뢰하였음을 살필 수 있다.

하였고

,

󰡔구삼국사󰡕 찬자는

600

(

영양왕

11)

에 李文眞이 편찬한 󰡔新集󰡕이나 또는 이것의 내용을 그대로 반 영한 또 다른 史書를 原典으로 하여 광개토왕대 이전 고구려본기 기록을 찬술한 것으로 이해된다

.

󰡔신집󰡕

5

권은 이문진이 󰡔留記󰡕

100

권을 刪修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

고국원왕대 이전 고구려본기 기록에 어떠한 인물 의 逸話 또는 어떠한 역사적 사건의 顚末을 비교적 상세하게 기술한 고구려 자체의 전승자료가 존재한 사실 및 소수림왕대에 주몽과 유리왕

,

대무신왕계로 이어지는 왕계와 태조왕계를 결합하여 새로운 왕계를 정립한 점 등을 미루어 보건대

, 4

세기 후반 소수림왕대에 󰡔유기󰡕를 편찬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

이문진은 󰡔신집󰡕을 찬술하면서 󰡔유기󰡕의 기술을 刪削하거나 改修하였는데

,

왕명을 雅化된 漢式 명칭으로 개정하거나 또는 주몽이 北扶餘가 아니라 東扶餘에서 出自하였다고 기술한 것 등을 대표적인 사례로 들 수 있다

.

󰡔구삼국사󰡕 찬자는 이문진이 改修한 내용을 거의 그대로 수용하였고

,

󰡔삼국사기󰡕 찬자는 󰡔구삼국사󰡕

의 기록을 다시 인용하여 고구려본기에 첨입한 것으로 보인다

.

후대의 기록에 비하여 소수림왕대 이전 고구 려본기의 기록이 풍부한 이유는 바로 󰡔유기󰡕가 그것의 기본원전이었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

현재 소수림왕과 고국양왕

,

광개토왕대 고구려본기의 기본원전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정확하게 말하기 어렵다

.

소수림왕대 이 후 시기의 고구려 역사를 기록한 어떤 史書 또는 古記였다는 막연한 추정만이 가능할 뿐이다

.

󰡔삼국사기󰡕 찬자는 소략한 󰡔구삼국사󰡕의 고구려 기록을 보충하기 위하여 중국 사서의 기록을 적극 활용하 였는데

,

고구려가 중국 왕조와 접촉한 사실을 전하는 중국 사서의 기록을 인용한 것이 주류를 이루었다

.

대 체로 동천왕

20

(246)

이전에는 󰡔後漢書󰡕 本紀나 高句驪傳에서 인용하였고

,

그 이후부터 광개토왕대까지는

󰡔자치통감󰡕의 기록을 주로 인용하였음을 살필 수 있다

.

󰡔구삼국사󰡕 찬자가 󰡔후한서󰡕의 기록을 인용한 것을

󰡔삼국사기󰡕 찬자가 그대로 수용한 사례가 일부 발견되지만

,

대부분은 󰡔삼국사기󰡕 찬자가 󰡔資治通鑑󰡕을 비롯 한 여러 중국 사서에 전하는 기록을 그대로 인용하거나 또는 부분 발췌하여 添入한 것으로 확인된다

.

또한 중국 사서의 기록과 고구려 자체 전승기록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찬술한 사례도 여럿 발견할 수 있다

.

한편 고구려와 신라

·

백제가 접촉한 사실을 알려주는 기록 가운데 일부는 고구려 자체의 전승기록이 原典 인 경우도 있으나

,

절대 다수는 신라

·

백제본기에 전하는 기록을 그대로 인용하거나 부분 拔萃하여 첨입한 경우에 해당하였다

.

󰡔삼국사기󰡕 찬자는 소략한 󰡔구삼국사󰡕의 기록을 중국 사서에 전하는 기록뿐만 아니라 신라

·

백제본기의 기록을 활용하여 보충하였던 것이다

.

이밖에 󰡔삼국사기󰡕 찬자는 일부 새로운 내용을 고구 려본기에 추가로 기술하고

,

王名과 王諱에 관한 異說 및 고구려본기의 기록 가운데 보충 설명이 필요하거나 의문이 드는 사항 등을 補注로 제시하는 한편

,

자신들의 역사관에 입각하여 褒貶한 史論을 揭載하여 최종적 으로 광개토왕대 이전 고구려본기의 기록을 완성하였다

.

결국 󰡔삼국사기󰡕 찬자는 󰡔구삼국사󰡕의 기록을 광개토왕대 이전 고구려본기의 기본 골격으로 삼고

,

여기에 다 중국 사서와 신라

·

백제본기의 기록에 전하는 고구려 관련 기록을 발췌하여 인용한 다음

,

王名과 王諱에 관한 異說 및 고구려본기의 기록 가운데 보충 설명이 필요하거나 의문이 드는 사항 등을 補注로 제시하고

,

최종적으로 자신들의 역사관에 입각하여 褒貶한 史論을 揭載하여 광개토왕대 이전 고구려본기의 기록을 완 성하였다고 정리할 수 있다

.

이와 같은 편찬태도는 장수왕대 이후 고구려본기 기록을 찬술할 때에도 그대로 관철되었을 것인데

,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는 차후의 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

<참고문헌>

高寬敏

,

󰡔三國史記原典的硏究󰡕

,

雄山閣

, 1996.

김창석

,

「신라 현제의 성립과 기능」

,

󰡔한국고대사연구󰡕

48, 2007.

노태돈

,

󰡔고구려사 연구󰡕

,

사계절

, 1999.

末松保和

,

「舊三國史と三國史記」

,

󰡔靑丘史草󰡕

2,

笠井出版印刷社

, 1966.

박성희

,

「고대 삼국의 사서 편찬에 대한 재검토」

,

󰡔진단학보󰡕

88, 1999.

飯島忠夫

,

「三國史記の日蝕記事について」

,

󰡔東洋學報󰡕

15: 3,

東洋文庫

, 1926.

三品彰英

,

「三國史記高句麗本紀の原典批判」

,

󰡔大谷大學硏究年報󰡕

6,

大谷大學大谷學會

, 1954.

신동하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인용 자료에 관한 일고」

,

󰡔삼국사기의 원전 검토󰡕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1995.

여호규

,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

,

신서원

, 2014.

이강래

,

󰡔삼국사기 전거론󰡕

,

민족사

, 1996.

이강래

,

󰡔삼국사기 형성론󰡕

,

신서원

, 2007.

이기동

,

「고대의 역사인식」

,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상󰡕 상

,

창작과 비평사

, 1994.

이기백외

,

󰡔우리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

한국사대토론

1),

󰡔삼성문화문고󰡕

88, 1976.

이정훈

,

「구삼국사의 편찬 시기와 그 배경」

,

󰡔역사와 실학󰡕

31, 2006.

임기환

,

「고구려 초기의 지방통치체제」

,

󰡔경희사학󰡕

14, 1987.

임기환

,

「고구려 왕호의 변천과 성격」

,

󰡔한국고대사연구󰡕

28, 2002.

임기환

,

「고구려와 낙랑군의 관계」

,

󰡔한국고대사연구󰡕

34, 2004.

임기환

,

「고구려본기 전거 자료의 계통과 성격」

,

󰡔한국고대사연구󰡕

42, 2006.

임기환

,

「고구려의 연변지역 경영 – 책성과 신성을 중심으로 –」

,

󰡔동북아역사논총󰡕

38, 2012.

전덕재

,

「이사금시기 신라의 성장과

6

부」

,

󰡔신라문화󰡕

21, 2003.

전덕재

,

「󰡔삼국사기󰡕 신라본기 중

·

하대 기록의 원전과 완성」

,

󰡔대구사학󰡕

120, 2015a.

전덕재

,

「󰡔삼국사기󰡕 신라본기 중고기 기록의 원전과 완성」

,

󰡔역사학보󰡕

226, 2015b.

田中俊明

,

「三國史記中國史書引用記事の再檢討」

,

󰡔朝鮮學報󰡕

104, 1982.

정구복

,

「고려 초기의 삼국사 편찬에 대한 일고」

,

󰡔국사관논총󰡕

45, 1993;

󰡔한국중세사학사󰡕 Ⅰ

,

집문당

, 1999.

정구복

,

「󰡔삼국사기󰡕 원전 자료와 사료비판」

,

󰡔한국고대사연구󰡕

42, 2006.

井上秀雄

,

「三國史記地理志の史料批判」

,

󰡔朝鮮學報󰡕

21·22

, 1961.

井上秀雄

,

「三國史記の原典をもとめて」

,

󰡔新羅史基礎硏究󰡕

,

東出版

, 1974.

정호섭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4~5

세기의 기록에 대한 검토」

,

󰡔신라문화󰡕

38, 2011.

조인성

,

4, 5

세기 고구려 왕실의 세계인식 변화」

,

󰡔한국고대사연구󰡕

4, 1990.

津田左右吉

,

「三國史記高句麗紀の批判」

,

󰡔滿鮮歷史地理硏究報告󰡕 第

9,

東京帝國大學文學部

, 1922.

*

이 논문은

2016

5

24

일에 투고되어

,

2016

6

9

일까지 편집위원회에서 심사위원을 선정하고

, 2016

6

27

일까지 심사위원이 심사하고

,

2016

7

5

일 편집위원회에서 게재가 결정되었음

.

❙Abstract❙

A Study on the Basic Original Text of Samguksagi “Goguryeobongi” and Its Completion

– Focused on the Records before the Reign of King Gwanggaeto –

문서에서 (페이지 31-3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