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섬이라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지역 외부로부터의 인구유입이 인구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다문화적 요소가 풍부한 제주를 사례 로 하여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지역사회기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 하였다. 이 논문은 제주의 이주 역사를 자원으로 하여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 영역별 주제와 자료를 중심으로 교육내용 구성을 시도함으로써 다문 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국제이주와 국내이주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중심 주제로 삼아 교육내용으로 다룸으로써 국제이주자의 지역사회 정착과 통합의 문제를 국내이주자의 지역정착의 문제와 연결시키고자 하였다.

이는 이 논문이 태어난 고향이나 출신국가를 떠나 새로 정착한 국가의 지역사회 에서 살아가는 이주자의 삶과 문화에 대한 인정과 배려의 문화 이해하기를 교육 내용으로 하는 다문화교육의 실행은 우리 사회를 진정하게 다문화사회로 만들 어가는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고, 역사적으로 변형되는 역동적 인 실체인 지역사회를 역사적으로 접근할 때 지역구성원의 다양성과 존재양상 이 잘 드러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특히 이 논문은 지역사회기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을 강조하였 고, 제주 사례를 중심으로 국내와 국제 이주를 영역별 주제로 선정하여 관련 자 료를 제시함으로써 추후 일반시민 대상 범용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하고 교육대상자의 특성별로 세분화해 적용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해 이 논문에서 제시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높이 기 위해서는 수요자 대상 조사결과와 지속적인 전문가 자문 등의 방법을 통해 일 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범용 프로그램으로 적용 발전시킬 필요가 있고, 교육 대상자의 특성별로 세분화한 교육 자료의 구성이 필요하다. 이때 어떤 요소를 부 각시켜 교육대상자의 다문화감수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심층 논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제주의 이주 역사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현대적인 의미의 이주 시대를 열었던 1960년대 산업화시기 국내 이주자 및 2000년 이후 새로운 국내 이주자 그리고 국제 이주자로서 결혼이주자와 외국인노동자 사례와 자료를 이 주라는 틀과 다문화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지역사회기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시도하였다. 제주의 이주 역사를 자원으로 주제를 선정하고 교육내용과 자료를 구성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이 자연스럽게 국내, 국제이주를 같은 수준에 서 접근하고, 이를 통해 지금까지의 초국적 이주 중심의 다문화사회 논의를 확장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다문화교육 활동은 사람들의 삶의 터전인 지역사회 안에서 이루어진다. 따라 서 다문화교육의 주제와 내용 또한 교육대상자가 생활하는 지역의 사례와 자료 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교육대상자로서 지역주민들의 공감대 형성은 물론 다문화시대 새로운 지역성 찾기를 위한 지역 단위의 방안 모색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제주의 역사·문화적 특성에 부합한 주제라 할 수 있는 이주를 중심으로, 국제이주와 국내이주 사례와 자료를 다문화교육 내용으로 구성함으 로써 그동안의 다문화교육의 범위와 내용을 확장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실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 교육대상별 교육 콘텐츠 구성과 강의안 개발이 요구된다 는 점에서 그리고 제주지역만을 대상으로 해 지역에 대한 이해를 위한 주제와 자

료 중심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한계를 안고 있다. 이와 함께 지역사 회 관련 내용으로 교육의 주제와 내용을 구성해 수요자들이 흥미를 느끼도록 하 는 방법, 지역 사례들을 통해 전체 지역사회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 구성 방법 등 방법의 지역화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이것들은 후속 연 구 주제이며, 본 연구자들의 연구계획에 포함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나아가 지역 에 정착한 다양한 이주자들의 이주와 정착과정에 대한 다양한 자료들이 수집되 어야 하고, 이들의 정착과 지역공간의 변화 등에 대한 자료수집도 필요하다. 아 울러 국내와 국제 이주 관련 내용에서 사례와 자료가 제한적으로 제시된 점도 이 논문의 한계이다. 2018년 전국적인 쟁점이 되었던 ‘예멘난민’ 등 난민, 계절노동 자, 선원, 유학생 등 제주의 특성을 보여주는 이주자 사례나 해외로 이주한 제주 인 사례를 포함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구성이 필요하다. 이것들은 앞으로의 연 구과제가 될 것이다.

교신: 염미경(제주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mgyeum@jejunu.ac.kr)

Correspondence: Mi Gyeung Yeum(Professor, Dep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mgyeum@jejunu.ac.kr)

2021.01.15 접수, 2021.01.20 심사, 2021.02.16 게재확정

참고문헌

강운선, 2014, 다문화정책에 대한 고등학생의 잠재적 인식 유형과 다문화 교육경험에 따른 차 이, 현대사회와 다문화, 4(1), 119-142.

교육부, 2015, 2015 개정교육과정, 교육부.

김다원, 2018, 지역화교육을 위한 초등 사회과 지역교과서 내용구성 논의, 한국지역지리학회 지, 24(4), 557-573.

김대현·이은화, 1999, 교육과정 지역화의 과제와 전망, 부산대학교사범대학논문집, 37, 65-78.

김민영·최현, 2015, 제주도 이주의 현황과 전망, 탐라문화, 50, 40-79.

김민정, 2018, 1990년대 한국여성의 국제결혼과 또 하나의 ‘다문화가족’, 페미니즘 연구,

18(1), 91-139.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4(3), 747-782.

임지혜·박봉수, 2014, 지역기반 다문화 체험교육의 의미와 실제: 인천시 남동구 사례를 중심

Gruenewald, D. A., and Smith, Gregory, A., 2008, Place-Based Education Grounding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in Geographical Diversity, in D.A. Gruenewald and G.A.Smith (Eds.), Place-Based Education in the Global Age: Local Diversity. NY:Lawrence Eribaum Associates.

Ingram, J. B., 1979, Curriculum Integration and Lifelong Education. Oxford: Hamgurg and Pegamon Press.

Johnson, D., and McMillon, G., 2008, Holistic approach on service learning in interior design.

Journal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Education, 126(1), 57-60.

Morgan, A., 2011, Place-based Education versus Geography Education?, In G. Butt (ed.), Ge-ography Education and the Future. NY: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Mottaz, C., 2003, Quality High School Curriculum for Alternative Settings. Lanham, Mary-land and Oxford: Scarecrow Press Inc.

Theobald, P., and Curtiss, J., 2000, Communities as curricula. Forum for Applied Research and Public Policy, 15(1), 106-111.

Smith, G. A., 2002, Place-based Education: Learning to Be Where We Are. Phi Delta Kappan, 83(8), 584.

Sobel, D., 2004, Place-Based Education: Connecting Classrooms and Communities. MA:

Orion Society.

A Case Study of Community-Based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Hai Ying Li* · Mi Gyeung Yeum**

Abstract_This thesis attempted to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by attempting to organize multicultural edu-cation topics, contents, and material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case of this paper is the Jeju,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an island and has historically been influenced by population inflows from outside the reg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since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are carried out in the local community, the home of people’s lives, the subject and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also be composed of examples and data from the region where the subject lives. The next point is that the topics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organized so that they can be ac-cessed in the history of the region. Since communities are a dynamic entity that is historically transformed, the diversity of local members can be revealed when approaching migration historically.

Keywords_ Localiz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Locality, Community, Migration, Jeju

* First-Author, Jeju Women & Family Research Institute, Research Fellow, lhydoor@jewfri.kr

** Corresponding Author, Jeju National University, Dep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Professor, mgy-eum@jejunu.ac.kr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