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맺음말

문서에서 중국 (페이지 30-38)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은 중국어를 공부하면서 주체적 의식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중국문화에 대해 공부하려고 노력하였다. 그것 은 중국 문화에 대한 이해 없이는 의사소통 과정에서 오해나 갈 등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어를 구사한다고 해서 의사소 통이 잘 이루어진다고 장담할 수 없는 것은 원만한 의사소통이라 는 것은 언어의 장벽뿐만 아니라, 문화의 장벽도 넘어야 하기 때 문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이러한 시각과 다르게 현재 중국 정부 가 자국의 우수한 문화를 다양한 방법을 통해 외국인들에게 전파 하려는 의도가 강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중국 정부의 의도적 문화 교육 아래, 중국 정부는 수많은 중국의 문화 중에서 어떠한

문화를 중심으로 전파하려고 하는지 또 그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 해볼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21세기 세계 최강의 국가로 자리 잡고 있는 중국이 자신의 문화를 세계에 전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지금, 공자학원을 통해 실시되고 있는 HSK 기출문제에 나타나는 중국 문화 요소를 행동문화, 성취문화, 정보문화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중국이 외국인들에게 어떠한 문화를 어떻게 전달하고 있는지 그 실제를 파악하였고, 동시에 어떠한 문화적 요소가 얼마 나 존재하는지도 고찰하였다. 중국 HSK 시험이 중국 정부를 거 쳐 출제된다는 사실을 감안하더라도 HSK 시험문제는 의미 없이 출제되는 것이 아니라 치밀한 계획 하에 출제된다고 볼 때, HSK 에 등장하는 중국 문화 요소의 분석을 통해 그 경향을 파악하고 특징을 분석하는 작업은 그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문화 전파에 대한 구체적인 모습을 파악하 기 위해 먼저 HSK 기출문제에서 나타난 중국 문화와 관련된 단 어들을 찾았고, 그것을 다시 해멀리(Hammerly)의 문화 유형을 기 초로 행동문화, 정보문화, 성취문화 등으로 문화 항목을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대상 HSK 기출문제는 총 2,405문항이었다. 1급이 200문항, 2급이 300문항, 3급이 400문항, 4·5급이 500문항, 6급이 505문항이 다. 이중 문화적 요소가 들어있는 문항은 모두 240문항으로 9.97%를 차지하였다. 1급에서 13문항(6.5%), 2급에서 19문항 (6.3%), 3급에서 37문항(9.25%), 4급에서 44문항(8.8%), 5급에서 47문항(9.4%), 6급에서 80문항(15.8%)이었다. 영역별 문화적 요소 의 비율을 보면, 듣기 영역 1,175문항 중 90문항(7.65%)에서 문화 적 요소가 나타났고, 독해 영역 1,050문항 중 141문항(13.4%)에서 문화적 요소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쓰기 영역 180문항 중 9문항 (5%)에서 문화적 요소가 나타났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한 문항 에서 두 개 이상의 문화적 요소가 나타난 경우가 모두 36문항이

었다는 점이다. 급수별로 보면, 1급에서 2문항, 2급에서 1문항, 3 급에서 3문항, 4급에서 3문항, 5급에서 10문항, 6급에서 17문항이 었다. 영역별로 보면, 듣기 영역에서 11문항, 독해 영역에서 25문 항, 쓰기 영역에서 0문항으로 나타났다. 해멀리(Hammerly)의 문 화 유형인 행동문화, 정보문화, 성취문화 등으로 문화 항목을 분 류하여 살펴보면, 행동문화는 86개, 성취문화는 38개, 정보문화는 152개로 모두 276개의 문화적 요소가 나타났다.

첫째, 행동 문화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은 언어적 요소이다.

6급에서 12번, 5급에서 8번, 4급에서 8번, 3급에서 4번, 2급에서 7 번, 1급에서 5번 나타나 급수별로 골고루 모두 32번 등장하였다.

이러한 문화 요소는 대화 속에서 자연스럽게 다양한 속담이나 관 용어(慣用語), 사자성어(四字成語), 한어(漢語), 중문(中文) 등을 사 용하여 중국적인 문화 요소를 구사하도록 하였고, 한자의 구성에 대한 설명 또한 등장하였다. 그 다음으로 가장 많이 나타난 행동 문화 요소는 의식주(衣食住)였는데 대부분이 음식에 대한 것이었 다. 6급에서는 푸얼차(普洱茶), 사천음식, 산동음식 등을 소개하는 문항이 있었고, 5급에서는 북경오리구이, 생선요리인 쉐이주위(水 煮魚), 중국의 여러 지방 음식 소개, 녹차의 효능, 만한전석(滿漢 全席) 등을 출제하였다. 4급에서는 젓가락 사용법, 토마토계란면 (西红柿鸡蛋面), 물만두(饺子) 등을 설명하였다. 3급에서는 중국의 남쪽 지방은 쌀을 먹고, 북쪽 지방은 국수를 먹는다는 습관을 두 번에 걸쳐 소개하였다. 1급에서는 중국 요리를 배우는 것을 좋아 한다는 식의 문제를 출제하였다. 이외에도 명절·풍습에서는 중국 의 다양한 명절과 풍습에 대한 문제가 나타났다.

둘째, 성취 문화 요소는 행동문화와 정보문화에 비해 양은 많지 않았다. 문화재로 소개되는 것은 3가지로 모두 6급에서 등장하였 다. 당삼채(唐三彩), 병마용 중 궤사용(跪射俑), 명대 도자기였다.

기타 예술에서는 중국의 종이 문화를 소개하였다. 중국의 종이 화 선지를 소개하면서 그 우수성을 알리고, 종이 공예도 소개하였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것은 연구대상 HSK 기출문제 2,405문항 중 에 소수민족의 문화를 소개하는 것이 4번 등장하는데 건축 2개, 마을이 1개이고 다른 하나가 음식이었다. 커지아족(客家族)의 가 옥인 토루, 하니족(哈尼族)의 가옥인 버섯집, 미아오족(苗族)의 마 을 아이자이(矮寨)를 소개하였다. 또한 한족과 만주족의 합작품이 라고 하면서 만한전석(滿漢全席)을 소개하였다.

셋째, 정보문화는 연구대상 중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문화이다.

정보문화에 나타난 문화 요소 중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역사이다.

역사 부분은 크게 인물, 시대 구분, 내용 등으로 살펴보았다. 먼 저, 연구대상 HSK 기출문제 2,405문항 중에 등장한 인물은 모두 30명이다. 30명의 인물을 살펴보면, 현대 시대의 인물이 6명이었 고, 고대 시대의 역사적 인물이 24명이었다. 현대 인물 중 두 명 은 중국 프로농구 스타인 야오밍(姚明)과 올림픽 탁구 금메달리스 트 덩야핑(邓亚萍) 선수였다. 또한 30명 중 6급에서 등장한 인물 이 21명이고, 5급에서 등장한 인물이 10명이었다. 이 중 두 번 등 장한 인물은 당태종(唐太宗)으로 5급과 6급에서 한 번 씩 등장하 였다. 5급과 6급을 제외한 기출문제에서는 인물이 등장하지 않았 다. 여기서 특이한 점은 공자학원에서 출제하는 HSK 문제에서 공자가 등장하지 않은 점과 중국을 건국한 모택동이나 개방의 지 도자인 등소평과 같은 현대 시대의 역사적 인물이 등장하지 않았 다는 사실이다. 다음으로는 역사 부분에서 시대 구분이다. 여기에 는 현대사가 등장하지 않았다. 모두 고대시대를 배경으로 인물을 소개하였거나 역사적 사실을 서술하였다. 고대 시대 중에서도 춘 추전국시대를 배경으로 한 것이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내용은 역사적 사건보다는 역사적 인물 간의 이야기가 많았다는 점이다.

이외에도 중국의 4대 발명품을 소개하는 문제가 있었고, 물레방아 의 발명과 천자문 및 서원의 시작을 소개하기도 하였다.

정보문화의 상징물에는 중국을 상징하는 것으로 무엇을 등장시 켰을까? 초급에서는중국’이라는 국가명을 가장 많이 등장시켜

친근한 국가로서의 중국을 부각시켜가고 싶은 나라’의 이미지를 심어주려고 하였다. 고급에서는 판다(Panda), 태극권(太極拳), 소 림사(少林寺) 등 외국인들이 좋아하는 대상을 등장시켜 보고 싶고 배우고 싶은 중국 문화를 외국인에게 알리고 있다. 정보문화의 사 회 부분에서 유일하게 국경절(國慶節)을 소개하였다. 정보문화에 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지리 부분이었다. 지리 부분 은 다시 행정구역으로서의 주요 도시와 주요 관광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초급에서는 행정도시로서의 주요 도시인 중국의 수도 북 경(北京)만이 등장한다. 고급에서는 다양한 주요 도시와 관광지를 보여주고 있었다. 주요 관광지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곳은 만리 장성(萬里長城)과 황산(黃山)이었다.

이상으로 살펴본 연구대상 HSK 기출문제에 나타난 중국 문화 전달에는 몇 가지 분명한 원칙이 있었다. 먼저, 중국인을 묘사함 에 있어서는 인간적이고 긍정적인 면을 부각시키려고 하였고, 중 국 문화에 있어서는 고대 문화의 우수성과 독창성을 강조하면서 자국 문화의 우월성을 드러냈다. 이에 기출문제에 나타난 중국인 은 인간적인 도를 아는 사람이고 현명한 사람이며, 중국의 사회와 문화 역시 우수하고 독보적이라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과거의 번 영과 발전은 현재 중국이 이루고자 하는 모습이었고 현재 중국 정부가 부르짖고 있는중국의 꿈(中國夢)’과 통하는 듯하였다. 이 모든 것들은 외국인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정보전달의 시 각에서 구성하였고, 한 문화에 대해 반복적으로 기출문제에 노출 시켰다. 예를 들어, 반복적으로 중국의 주요 도시와 주요 관광지 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외국인들로 하여금 호기심을 자극하여 한 번 가보고 싶은 마음이 들도록 하였다.

다음으로는, 중국 문화를 소개하는 방법에 있어서이중효과’를 기대하면서 출제하였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야오밍(姚明)에 대한 소개를 통해 또 다른 중국 문화 요소인 지리 부분의 무한(武漢)이 라는 도시를 이야기하였다. 중국 역사상 미국 MBA에서 최고의

활약을 한 중국의 농구스타 야오밍(姚明)을 소개하면서 중국의 3 대 누각으로 손꼽히는 황학루(黃鶴樓)가 있는 무한(武漢)을 소개 하여 외국인들에게 가보고 싶은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 러한 출제 경향은 모든 영역에서 유지되었다.

우리가 여기서 생각해야 할 것은 중국의 일방적 문화 전파에 따른 부정적 영향으로, 가장 걱정되는 부분은 다른 국가의 일방적 수용이다. 중국 문화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은 중국의 일방적인 자국 중심적인 선전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될 경우 우리와 충돌하는 문화적 이슈가 있을 때 그들은 무조건 중국이 옳은 주장이라고 중국의 편을 들을 수 있다. 한국은 중국 의 바로 이웃 국가이면서 같은 불교 및 유교문화권에 속한다. 두 나라 간에 많은 문화적 요소들이 비슷한 상태에서 중국의 일방적 주장만을 따른다면 주체적인 한국 문화의 뿌리까지 흔들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든 것이 중국의 것이고 중국에서 전파되었다는 식의 문화적 교육이 나타날 수 있다.26) 이러한 중국의 무의식적인 교육 이 다른 나라 및 한국의 어린 학생들에게 깊게 심어진다면 잘 바 뀌지 않을 수 있는 위험성이 있는 것이다.

앞으로 중국은 과거 중화사상을 기반으로 세계를 바라보면서 자국의 문화를 전파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이에 단순한 문화적 전 파를 뛰어넘어 자국의 문화 우월주의 색채도 더욱 짙어질 것이다.

이에 대해 우리는 객관적 시각으로 바라보면서 중국의 일방적 주입식 문화 전파에는 합리적 입장을 취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아무런 의식 없이 중국의 문화정책에 동조한다면 쉽게 객관적 사 실을 간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사실에 근거한 중 국 문화에 대해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 주 체적으로 중국의 과거와 현재를 객관적으로 알아가려는 노력이

26) 한국의 단오절 세계문화유산 등재는 중국 내에서 중국의 단오절을 한국에 빼 앗겼다는 식의 보도가 나왔고 이로 인해 중국인들은 한국에 대한 부정적 감정 이 높아지기도 하였다.

필요하다. 우리는 서방국가와는 다르다. 우리와 문화적 충돌이 자 주 발생하는 상황에서 주체적인 의식을 가지고 중국의 문화전파 를 받아들여야 한다. 중국의 소수민족으로 인정받은 우리의 한민 족인 조선족은 자신들의 문화를 지키면서 살아왔다. 그러나 현재 중국은 조선족문화도 중국의 문화로 편입하고자 노력하고 있고 있다. 조선족문화인 아리랑, 한글, 김치 등 여러 문화를 자국의 문 화로 지정하여 보호한다고 선전하는 동시에 세계문화유산에 등재 하려고 하고 있다. 이런 차원에서 중국의 자문화 중심적 문화 전 파에 대해 우리가 취하는 주체적 문화수용 노력은 우리의 문화를 지켜는 행위이다. 또한 세계인이 중국에 대한 정확한 사실을 알 수 있도록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학교는 물론 정부에 서도 꾸준하게 진행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중국 문화, HSK, 행동문화, 정보문화, 성취문화

<참고문헌>

김영진(2008). HSK 음식 문화 관련 어휘 연구 및 지도 방안.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훈(2010). 中學校 ‘生活 中國語’ 敎科書의 文化敎育에 關한 硏究.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이경(2009). HSK 어휘에 보이는 AB·BA식 쌍음절어에 관한 소고. 중국인문과 학 41. 79∼100.

김춘옥(2014). 新HSK 어휘집에 수록된 심리동사 연구.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나상배(2003). 역주 하영삼. 언어와 문화.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더글라스 브라운(1996). 신성철 옮김. 외국어 교수 학습의 원리. 파주: 한신문화사.

민현식(2012). 한국어 문화교육의 제반문제. 한중인문학연구35. 1∼27.

박경자, 강복남, 장복명.(1994). 언어교수학.서울: 박영사.

문서에서 중국 (페이지 30-3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