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맺음말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105-114)

OECD에서 영토가 가장 작은 국가 중 하나인 라트비아는 지난 25년간 중앙집권적 계획경

제에서 시장경제로 체제를 전환했으며, 2004EU에 가입하고 2016OECD 회원국이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변화들은 라트비아의 경제뿐 아니라 농업의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라트비아 농업은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노동력 감소, 영농후계자의 부재, 기술 적인 한계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경제 전반에서 농업의 입지가 줄어들었다. 그러나 라트비아의 EU 가입 이후, 시장 확대와 CAP 직불금 도입으로 인해 라트비아의 농업은 다시 활기를 띠고 있으며 여러 지표에서 그러한 상황을 반증하고 있다.

라트비아는 세계에서 가장 친환경적인 국가로 꼽히지만, 농업생산의 집약화, 무기질비료 사용 확대로 인해 질소, 암모니아, 온실가스 등의 배출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환경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선진화된 기술 도입, 배출과 생산비연계(decoupling)를 통한 감축 노력이 필요하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보다 정밀한 환경평가를 위한 일관된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농가소득과 환경성과와 관련된 지표(비료 사용, 온실가스 배출 등)의 확보는 라트비아의 지속가능한 농업생산을 위해 선행되어야 한다.

라트비아 농업은 EU 가입 이후 양적, 질적 성장을 성공적으로 이뤄냈으며 그 배경에는 CAP의 직불금 도입이 있다. 라트비아 농가의 소득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농업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일부 직불금의 경우 생산품목 선택에 영향을 주고, 자원 배분을 왜곡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효율적인 생산을 위한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엄형식·마상진. 2010. 「유럽의 농촌지역 사회적기업 현황과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CSB, 2018a. Farm Structure in Latvia 2016.

CSB, 2018b. Statistical Yearbook of Latvia 2017.

European Commission. 2018. Statistical Factsheet Latvia. https://ec.europa.eu/agriculture /sites/agriculture/files/statistics/factsheets/pdf/lv_en.pdf (검색일: 2019.02.26.).

FAO. 2016. AQUASTAT Country Profile-Latvia.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FAO).

OECD. 2018. The Innovation,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Sustainability in Latvia.

참고사이트

구글 지도 (https://www.google.com/maps) (검색일: 2019.02.20.)

라트비아 통계청 (https://www.csb.gov.lv/en/statistics) (검색일: 2019.02.23.) 세계은행 (www.worldbank.org) (검색일: 2019.02.25.)

Farm Accountancy Data Network (http://ec.europa.eu/agriculture/rica) (검색일: 2019.02.25.)

쉎 국가별 농업자료

연도별 월별 제 목

2015년

1월 이스라엘‧ 파라과이이스라엘 농업 개황 및 농업정책 파라과이 농업 현황과 시사점

2월 나이지리아나이지리아 농업 현황 및 시사점

3월

볼리비아・대만‧ 카자흐스탄 볼리비아 농업 현황과 시사점 대만 농업 현황

카자흐스탄 농업 현황과 시사점

4월 노르웨이‧ 뉴질랜드노르웨이 농업 현황과 시사점 뉴질랜드 농업 현황과 시사점

5월 루마니아‧ 콜롬비아루마니아 농업 현황과 시사점 콜롬비아 농업 현황과 시사점

6월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농업 현황과 시사점 키르기스스탄 농업 현황과 시사점

7월

핀란드‧ 쿠바‧ 르완다 핀란드 농업과 농정의 특성 쿠바의 지속가능한 농업과 정책 르완다의 농업발전정책

8월 스웨덴‧ 덴마크스웨덴의 농업혁명과 지속가능한 농업 덴마크 농업 현황과 시사점

9월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타지키스탄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10월 방글라데시‧ 캐나다방글라데시의 농업현황과 농업정책 캐나다의 농업 및 농식품산업 현황

11월 우간다‧ 르완다우간다 농업협동조합

르완다 농업 현황과 시사점

12월 엘살바도르‧ 아르헨티나 엘살바도르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아르헨티나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쉎 국가별 농업자료

연도별 월별 제 목

2016년

1월 과테말라‧ 에콰도르과테말라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에콰도르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2월 니카라과니카라과 농업현황과 시사점

3월 브라질브라질의 농업현황과 시사점

4월 미얀마미얀마의 농업현황과 정책

5월 스리랑카스리랑카의 농업현황과 정책

6월 파키스탄파키스탄의 농업현황과 정책

7월 쿠바쿠바농업의 이해와 협력가능성

8월 네팔네팔의 농업 현황과 정책

9월 불가리아불가리아의 농업현황 및 정책

10월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프리카공화국의 농업현황과 정책

11월 아제르바이잔아제르바이잔의 농업현황

12월 이집트이집트의 농업 현황과 정책

2017년

1월 가나가나의 농업 현황 2월 필리핀필리핀의 농업현황과 정책

3월 우즈베키스탄우즈베키스탄의 농축산업 현황과 정책 (계속)

쉎 국가별 농업자료

연도별 월별 제 목

2017년

4월 일본일본의 농업현황

5월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의 농업 현황과 정책

6월 세네갈세네갈의 농업 현황 7월 러시아러시아의 농업 정책과 전망

8월 온두라스온두라스의 농업현황

9월 오스트리아오스트리아의 농업 및 농업정책

10월 폴란드폴란드의 농업현황

11월 미국미국의 농업 현황과 농업 정책

12월 모로코모로코의 농업현황

2018년

1월 영국영국 농업과 브렉시트 영향

3월 벨기에벨기에 농업현황과 시사점

4월 EUEU의 농업 생산 동향

5월 EUEU 농업·농촌 및 공동농업정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6월 싱가포르싱가포르 농업과 식량안보 전략

7월 스페인스페인의 농업 현황 (계속)

쉎 국가별 농업자료

연도별 월별 제 목

2018년

8월 EUU의 농가 및 농가경제 동향

9월 나미비아나미비아의 농축산업

10월 미얀마미얀마의 물이용 현황과 농업용수 관리정책

11월 대만대만의 농업 현황과 정책 동향

12월 스위스스위스 농업과 직접지불제도

2019년

1월 룩셈부르크룩셈부르크의 농업현황과 정책

2월 인도인도의 농업·농정 현황 및 과제

세계농업 「국가별 농업자료」 원문자료 (https://www.krei.re.kr/wldagr/index.do)

(계속)

국제기구・연구 동향

세계 농업관련 주요 연구 동향 | 송주호

세계 농업관련 주요 연구 동향

송 주 호 * 5)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105-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