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번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나타나는 디자인의 특성과 디자인의 요소에 관 한 연구로 시작하여 이를 반영하는 작품으로 조명과 촛대제작을 다루었다. 먼저 연구 의 배경이 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을 이해하고 그 특성들을 작품에 연관짓기 위 해서 대중과의 상호교감을 위한 조건들이 무엇인가를 살펴 보았다. 그 한 방향은 대 량생산을 가능케 하는 디자인을 추구함이고 또 한 방향은 조형과 기능측면에서 유희 적 표현을 강조함이다. 전자는 포스트모던 시대의 대중들에게 개성과 감성의 욕구를 충족시킬 상품미학과 연결하였고, 후자인 유희적 해학성에서는 사용자의 참여 또는 기하형태의 구조적 특성, 친숙한 색채사용, 그리고 기성규격품의 산업재 등을 연구대 상으로 하였다.

조명이라는 기능이 있는 품목을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형태상의 연구 못지 않게 기 능상의 전문지식도 중요하다. 불을 켜는 도구라는 확실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빛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선행하였으며 실제 제작에서는 조명기구의 부속품인 전구, 전선, 스위치 등에 관한 연구도 필요했다. 기능에 대한 기본지식과 더불어 이를 어떻게 활 용할 때 가장 흥미로울까 하는 것이 포스트모던 디자인의 시작이라 하겠다. 이것은 앞으로 나의 작업들에서 계속될 디자인의 기본원리가 될 것이다.

연구작품 목록

참고 그림목록

[그림 1] 워홀(Andy Warhol), <모나리자>, 1963

[그림 2] 입 생 로랑(Yves-Saint Laurent), 의상디자인, 1960년대 [그림 3] 브랑쿠지(Constantin Brancusi), <새>, 1923∼47

필립 스탁(Philippe Starck), 칫솔 디자인, 1990

[그림 4] 마이클 그레이브스(Michael Graves), Plaza화장대, 1981

[그림 5] 에토레 소트사스(Ettore Sottsass), <트리탑스(Threetops)>, 1980 [그림 6] 마틴 베딘(Martin Bedine), <탁상용 램프>, 1981

[그림 7] 알레산드로 멘디니(Allessandro Mendini),

안나가족 시리즈 중 코르크병따개 (Alessi), 1980년대 [그림 8] 필립스탁(Philippe Starck), <테디베어밴드>, 1998 [그림 9] 도널드 저드(Donald Judd), <무제>, 1965

[그림10] 산본완이(山本完二), <동일형태의 반복>, 1983 [그림11] 종이의 입체화표현

[그림12] 크리스마스카드, <서로 손을 잡고 인사>

[그림13] 칼더(Alexander Calder), <Nervures Minces>, 1963 [그림14] 박지하, <브로치>, 2000

참고문헌

울:건국대학교, 2002.

Study about Metal Lighting with Repeatable Geometric Forms for particular people anymore, and the distinction between art and commercial designs has been gradually disappearing.

This study has applied some sorted-out elements of designs to art works to make designs and the general people feel each other more actively. For the stud y: (1) the visual humorousness ; (2) loud primary colors; and (3) shapes able to be put together have been used as elements of the works. For the structural representation, whose peculiarity can be explained by geometrical shapes, the principle of the combination through repetition has been also applied. And reflecting the traits of the post-modern era, goals of all the elements above are to remove the boundary between works of art and commercial products through tieing them together by the design concept, as well as to become designs to be mass-produced.

All the works by this study are 13 pieces limited to two kinds: lightings and candle-stands, and have included the study of their functions, too. I have tried to represent humorousness by designing the candle-stands to allow various ways to fix diverse kinds of candles in them, and have attempted to make the lightings share associability with the general public by focusing on the rhythmical elements through the repetition of geometrical shapes. Stainless steel, duralumin, iron, brass, etc., that are for the industrial use in general, have been utilized as the materials for the works, and off-the-shelf springs and small cymbals have been also used for their humorous shapes.

Throughout this study, I have tried to respond to the changed handicraft environment in the post-modern era by focusing on their designs for the active mutual rapport. As a result, I have felt that even more thoughts on the new meanings of the mutual sympathy and practical conduct for them are necessary.

Key Word:light, lighting, candle-stands, Postmodernism, Repeatable production, intercommunication with public

관련 문서